{{{#!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부대 | |||
사령부 | 예하 부대 | 예하 단 | ||
직할 | 지상정보여단 | 드론봇전투단 | ||
1군지사 | 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 |||
<colbgcolor=#009600> 수도 | 17사단 | 제3경비단 | ||
I | 1포병여단 |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7포병단 | ||
III | 3군수지원여단 | 동해안군수지원단 | ||
V | 5포병여단 | 제1포병단 · 제5포병단 · 제8포병단 | ||
VII | 7공병여단 | 도하단 | ||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 | ||||
사단 | 예하 단 | |||
직할 | 32사단 | 세종시경비단 | ||
5군지사 | 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 |||
육직부대 | ||||
사령부 | 예하 부대 | 예하 단 | ||
군수사 | 보급창 | 제1보급단 · 제2보급단 · 제3보급단 | ||
정비창 | 특수무기정비단 · 항공기정비단 · 기동화력장비정비단 · 기동화력부품정비단 · 총포/사통장비정비단 · 통신전자장비정비단 · 생산지원단 | |||
교육사 | 종군교 | 군수교육단 · 병기교육단 · 병참교육단 · 수송교육단 | ||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 |
제1포병단 | 제2포병단 | 제3포병단 | 제5포병단 | |
| 파일:제5포병여단 마크.png | |||
제7포병단 | 제8포병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제8포병단 第八砲兵團 The 8th Artillery Group | ||||||
| ||||||
싸우면 승리하는 최정예 포성부대 | ||||||
창설일 | 1985년 10월 1일(제8포병단) | |||||
상징명칭 | 포성부대 |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
상급부대 | 제5포병여단 | |||||
규모 | 단 | |||||
단장 | 대령 신명진 | |||||
위치 |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 | |||||
1. 개요
제5군단 제5포병여단 소속 예하 포병단이다.2. 소개
단 본부는 경기도 포천시 내촌면에 위치해 있으며#, 제5포병여단의 예하 포병단 중 한 부대이다.단장은 대령이며 예하 대대장은 중령 지휘관이다.
부대 경례구호는 5포병여단과 같이 '승진' 을 사용한다.
상비 부대인 1, 5포병단과 달리 9포병단과 더불어 동원 예비군 부대이고 22년 부대 개편되어 6개의 예하부대가 존재한다.
23년 기준 단본부포대와 2개 대대는 포천시 내촌면에 주둔해 있고, 예하 대대 중 2개의 대대는 강원도 문혜리 동원훈련장 관리부대로 주둔중이며 새롭게 창설된 예하 대대 2개의 대대는 경기도 연천군 고소성리 다락대 동원훈련장 관리부대로 주둔중이다.
강원도 철원의 문혜리 동원훈련장
경기도 연천의 다락대 동원훈련장
3. 예하부대
- 본부포대 [1]
3.1. 제110포병대대
3.2. 제111포병대대
문혜리 동원훈련장을 관리하는 부대이다. 동원훈련 이후 동원훈련장의 청소 및 관리를 담당하며, 기본적으로 연 1회 예비군 동원훈련을 담당한다.원래 예비군 동원훈련장의 목적과 다르게, 다른 '상비' 부대들이 훈련간 시설 협조나 숙영 협조를 해대서 대대 고유 업무를 하다가도 동원훈련장 관리를 하는 상황이 비일비재하다.
3.3. 제112포병대대
3.4. 제113포병대대
문혜리 주둔지의 전체적 방호를 담당하는 부대이다.이 외에도 다른 대대들과 같이 연1회 예비군 동원훈련을 주관하며, 대대 고유업무도 수행한다.
3.5. 제117포병대대
3.6. 제118포병대대
4. 과거부대
5. 출신 인물
5.1. 포병단장
볼드체는 대장 진급이 된 단장. |
역대 제8포병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초대 | 예) 대령 | 前 단장 | |||
00대 | 오종호 | 예) 대령 | 前 단장 | ||
00대 | 서정욱 | 대령 | 3사 24기 | 現 6포병여단장 | # |
00대 | 권영현 | 소장 | 학군 27기 | 前 제15보병사단장 | |
00대 | 문삼헌 | 대령 | 육사 00기 | 前 단장 | |
00대 | 김영민 | 대령 | 3사 00기 | 前 단장 | |
00대 | 이충희 | 대령 | 간부사관 16기 | 現 단장 |
5.2. 장교/부사관
예비군 부대라 그런지 사병에 비해 간부 수가 매우 많다실제 편제와 다르게 비편제 업무를 하는 간부들이 단본부 및 대대별로 상당하다.
예를 들면 1포대장 = 교육장교, 3전포대장 = 단 교육장교,
2포대 3포반장 = 대대 탄약반장 등 사람이 적다 보니 실제 대대에서 병력관리는 포대장 1명과 전포대장이 잡고 나머지는 다른 업무로 비편제 임무를 수행하는 등으로 진행한다.
동원훈련이나 전술훈련평가 등 빅 이벤트가 다가올 때는 간부가 부족해 옆대대에서 지원간부 또는 용사를 잠시 데려오는 경우가 일반적이다.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단본부, 110대대, 112대대가 위치한 포천은 영내앞은 별로 번화가가 없지만 조금만 나가면 진접 등의 번화가가 수두룩하며, 도로접근성 역시 좋아 1시간 내로 의정부, 1시간 30만에 서울을 주파할 수 있다.111, 113대대가 위치한 철원은 영내앞은 다른 주둔지보다 낫지만 도로접근성이 다른 주둔지 중 가장 최악이다. 물론 근처에 동송, 신철원 등의 번화가가 있지만, 그것만 장점이다.
117, 118대대가 위치한 연천은 부대앞에 아무것도 없다.과장 좀 보태서 그냥 허허벌판이다.
다만, 주위에 전곡, 연천의 번화가가 있다.
접근성은 포천 다음으로 좋은데, 1호선 전철이 개통된 경원선을 타고 연천 밑 바로 대도시인 동두천까지 30분이 채 안걸리며, 그 외에 의정부, 서울까지 경원선을 타고 주파할 수 있으며, 차량으로도 빠르게 주파할 수 있다.
6.2. 부대 정신 구호
도전하는! 압도하는! 승리하는! / 승진포병 / 화이팅 화이팅 화이팅!
6.3. 8포병단가
우리는 대한의 건아
포성부대사나이
8포병단 이름아래 우리는 하나로 뭉쳤다
천하무적 8포병단
살아있는 전설되어
조국분단의 아픔을 통일의 희망으로
드넓은 하늘아래 조국의 이름걸고
목숨바쳐전진한다 무적 8포병단
-8포병단가
포성부대사나이
8포병단 이름아래 우리는 하나로 뭉쳤다
천하무적 8포병단
살아있는 전설되어
조국분단의 아픔을 통일의 희망으로
드넓은 하늘아래 조국의 이름걸고
목숨바쳐전진한다 무적 8포병단
-8포병단가
7. 사건사고
8. 여담
- 제5포병여단 본부, 직할대 및 예하 포병단과 부대들에겐 꿈과 같은 곳이라 일컬어지며 이러한 이유로는 여단보다 후방에 위치해 있으며 전투부대가 아닌 동원예비군 부대이기 때문이다.
- 여단 예하 그리고 군단 예하가 아닌 인접부대로는 같은 동원부대인 제75보병사단[2]이 존재한다.
- 08, 09년도 배우 이광수(이때는 CF로 유명, 아름아 사랑해!)가 동원훈련을 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