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07 01:48:55

제36해병여단

제36독립해군보병여단
36-та окрема бригада морської піхоти
36-я отдельная бригада морской пехоты
36th Separate Marine Brigade
파일:제36해군보병여단 엠블럼(2).png
<colbgcolor=#005c6e> 창설일 2015년 7월 20일
소속 우크라이나 해군보병대
상급부대 제30해군보병군단
종류 해병대
모토 With us is god and victory
하느님과 승리가 우리와 함께한다
수호성인 미하일로 빌린스키
부대번호 A2802
여단장 미키타 비텍 중령
참전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위치 우크라이나 미콜라이우
웹사이트 파일:텔레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역사3. 편제4. 역대 사령관

1. 개요

우크라이나 해병대 소속 부대이다.

2. 역사

소련 붕괴 이후, 제810근위해군보병여단의 일부 장병들이 항명하며 우크라이나에 충성을 맹세했고, 이들은 제27해군보병대대를 창설했다. 이들은 1997년 제1해군보병여단으로 증설됐다가 2003년 군축에서 대대로 격하된다.

한편 당시 크림 반도의 해안 방위는 과거 소련군의 오데사 군관구 소속 제32육군군단이 거의 그대로 우크라이나군에 흡수되면서 맡고 있었는데, 러시아와의 관계 개선을 이유로 2003년 군축에서 군단이 해체된다. 그 후 크림 반도는 해군과 예하 해군보병대가 방어하게 되며, 이때 군단을 해체하고 남은 육군 병력을 재편성해 다음해 제36해안방위여단이 창설되고 예하에 제1해군보병대대와 새로 창설된 제501해군보병대대(구 제501차량화보병연대)가 배속된다. 이들은 각각 세바스토폴, 페오도시아, 케르치에 주둔하고 있었다.

유로마이단 혁명 이후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사이 긴장이 고조되던 2014년 2월 27일, 난데없이 정체불명의 초록색 군복을 입은 무장집단이 병영을 포위했다. 각 대대/여단본부는 만일의 공격에 대비해 급히 방어를 준비했지만, 3월 19일 러시아군이 이들을 격투 끝에 제압하며 지도부가 체포된다.

이틀 후 지도부가 석방되면서, 러시아군은 여단의 장병들에게 무기를 반납하고 우크라이나로 가거나, 부대를 해체하고 귀가하거나, 러시아로 전향하거나의 세 가지 옵션을 제시한다. 여단의 병력 중 절반 이상이 러시아로 전향했고, 약 5,600명의 여단 병력 중에 여단본부에서 199명, 1대대에서 대대장 드미트로 델랴티츠키 중령 포함 137명, 501대대에서 64명 등 약 28%의 인원만이 우크라이나에 충성을 유지했다. 이들은 미콜라이우를 기점 삼아 자원병을 모으며 다시 1대대, 501대대를 창설해 돈바스 전쟁에 참전했다. 이듬해 우크라이나군에서 제36해병여단을 창설하는 동시에 델랴티츠키 중령을 사령관으로 임명했다.[1] 2014년 마리우폴의 탈환 이후에, 여단은 주둔지를 마리우폴로 옮겨 그곳의 방위를 담당했다.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당시 마리우폴 포위전에서 아조우 연대 등과 함께 도시를 방어했으며, 헬리콥터로 일부 인원이 탈출했지만 전투 결과 거의 모든 편제가 마리우폴에서 와해된다. 여단은 미콜라이우에서 병력을 다시 모아 재창설됐으며, 남부 전선에서 작전을 수행하다 헤르손 탈환 이후 1대대가 바흐무트 전투에 증원된다. 바흐무트 전투의 종결 이후에는 드니프로강 공방전크린키 전투에 참전하고, 501대대가 쿠르스크에 증원되기도 했다.

3. 편제

  • 제1독립해병대대
  • 제501독립해병대대
  • 제1해병대대(제1독립해병대대와 다르다)
  • 제2해병대대
  • 쉬크발 대대(형벌부대)
  • 전차대대
  • 포병대
  • 방공대대
  • 자폭드론대대 "바르토비"
  • 공병대대
  • 군수지원대대
  • 정비대대
  • 정찰중대
  • 신호중대
  • 레이더중대
  • 의무중대
  • CBRN 방호중대
  • 훈련소

4. 역대 사령관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 #000, #000 20%, #000 80%, #000)"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0 0; color: #fff; min-height: 31px"
{{{#FFCA3B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181818,#e5e5e5
초대 제2대 제3대 대행
드미트로 델랴티츠키 안드리 흐나토프 볼로디미르 바라뉴크 세르히 볼린스키
제4대 제5대
빅토르 시코자 미키타 비텍
}}}}}}}}}}}}}}}}}}



[1] 델랴티츠키 중령은 후에 소장까지 진급해 해군보병대 사령관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