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0px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 | | | |
제1정보통신단 | 제2정보통신단 | 제3정보통신단 | 제5정보통신단 | 제12정보통신단 | |
| | | | | |
제90정보통신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103정보통신단 | |
| | | | | |
제105정보통신단 | 제107정보통신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23정보통신단 | 공군작전정보통신단 | |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국군의 편제 | |||||
독립단 · 단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
제12정보통신단 第12情報通信團 The 12th Signal Group | |
| |
승리는 제2작전사로부터! Victory Begins Here! | |
창설일 | 2007년 |
소속 | 대한민국 육군 |
상급부대 | 제2작전사령부 |
규모 | 단 |
역할 | 제2작전사령부 통신지원 |
단장 | 대령 000(육사 00기) |
위치 | 대구광역시 수성구 |
[clearfix]
1. 개요
통신을 주 임무로 하는 대한민국 육군 제2작전사령부 소속 직할부대. 9군단과 11군단 예하에 있던 통신단을 흡수, 통합하여 만들어졌다.2. 소개
대구광역시 수성구에 위치해있고, 단급 통신단이다. 또한 2작사 직할부대이자 비전투부대이다. 부대마크도 사령부 마크와 동일하다.[1]3. 편제
3.1. 대구소재
대구 제2작전사령부 내에 위치해 있으며 통합막사를 사용중이다.3.1.1. 단본부
3.1.2. 제62통신운용대대
단 본부와 함께 대구 사령부 내에 위치해 있다. 영남권을 관할한다. 여담으로 현재의 중대명은 2024년 3월 즈음 변경된 것으로 추정된다.- 본부중대
- 운용중대
- 체계중대
- 지원중대
3.2. 전북소재
전북 완주에 위치해 있다.3.2.1. 제72통신지원대대
단 본부가 있는 대구 수성구에 1개 중대를 파견해놓고 있다. 충청, 호남권을 관할한다- 본부중대
- 지원1중대
- 지원2중대(대구)[2]
- 지원3중대
4. 출신인물
4.1. 단장
볼드체는 장성급 장교 진급이 된 단장. |
역대 제12정보통신단장 | |||||||||
역대 | 이름 | 계급 | 임관 | 비고 | 기타 | ||||
초대 | 000 | 예) 대령 | 前 단장 | ||||||
00대 | 정하욱 | 예) 대령 | 前 단장 | ||||||
00대 | 000 | 예) 대령 | 前 단장 | ||||||
00대 | 김한성 | 준장 | 육사 46기 | 現 육군정보통신학교장 前 사이버작전사령부 사령관 | |||||
00대 | 000 | 대령 | 現 단장 |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사령부 직할 정보통신단으로, 단 본부대와 1개 대대는 대구 사령부 영내에, 다른 1개 대대는 전북특별자치도 완주에 있다. 9군단과 11군단 예하에 있던 통신단을 흡수, 통합하여 만들어진 부대이다. 단 본부대는 행정병 위주로 편성되어 있고, 이외에는 가설, 무전, TMR, 교환, 암호, 레이더, 위성, 팩스 등 통신관련 주특기의 병들이 각 대대 예하 중대마다 다양하게 모여 있다. 사령부 직할이지만 후방이라 그런지 장비는 대체로 구형인 것들이 많다. 간혹 2작사 예하 지역방위사단 통신대대보다도 낡은 장비를 쓰기도 한다. 훈련의 난이도는 보직마다 다르지만 무거운 안테나를 설치해야 하는 TMR병만 빼면 그리 힘들지 않은 편이다.5.2. 통신단가
6. 사건/사고
7. 여담
- 제12정보통신단이 ‘2018년 환경 관리 최우수 부대’로 선정돼 환경부 장관 표창을 받았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