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31 22:28:39

정철환


<colbgcolor=#120a8f><colcolor=#fff> '''
조선일보 기자
정철환
鄭喆煥|Jung Chulhwan
'''
파일:UZCNGEVJBNDA7L4SJ2AL6NNR6Y.jpg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출생 1975년 4월 ([age(1975-04-27)]세)
대구광역시
본적 전라북도 고창군
본관 초계 정씨 草溪 鄭氏
소속 조선일보 편집국 국제부 유럽 특파원
학력 신남성초등학교(졸업)
상도중학교(서울)(졸업)
광신고등학교(졸업)
서울대학교 외교학과(졸업)
경력 한국일보 사회부·경제부 기자 (2002년~2006년)
조선일보 사회부·경제부·산업부·사회정책부 외 (2006년~현재)
링크 조선일보 기자 페이지


1. 개요2. 경력3. 주요 기사4. 관련 기사5. 수상6. 저서7. 여담


1. 개요

대한민국기자이다.

2025년 2월, 러시아 쿠르스크 전투에서 생포된 북한군 병사 2명을 우크라이나 포로수용소에서 세계 최초로 인터뷰해 국내외에서 큰 주목을 받았다.

2023년 5월 한국 언론인 중 처음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수도 키이우의 대통령 집무실 벙커에서 만나 인터뷰했다.

2. 경력

2002년 6월 한국일보 63기 견습 기자로 입사해 2006년 6월 조선일보 42기 기자로 옮겼다.

경제부에서 금융과 국제경제를 담당했다. 조선일보 주말판 위클리비즈[1] 기자로도 활동했다. 위클리비즈에서 건축가 안도 다다오#, 스웨덴 재벌 발렌베리 가문의 마르쿠스 발렌베리 회장#, 리오넬 조스팽 프랑스 전 총리#, 제라르드 클라이스터리 필립스 회장#, 마크 모비우스 템플턴자산운용 회장# 등을 인터뷰했다.

한국일보와 조선일보 양쪽에서 모두 IT 분야를 오래 담당했다. 언론사 입사 전 IT 기업[2]에서 일했다고 한다.

조선일보 노동조합 사무국장[3]을 지냈다. 조선일보 영문판 에디터[4]를 역임했다.

2021년 11월부터 현재까지 조선일보 국제부 유럽 특파원이다. 전쟁과 재해 현장 취재를 많이 했다. 2022년 1월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직전 우크라이나 수도 키이우 르포를 시작으로 지금까지 다섯 차례 우크라이나를 방문했다.

2023년 2월 튀르키예 대지진, 같은해 9월 모로코 지진을 취재했고, 10월에는 이스라엘-하마스 전쟁을 현장에서 보도했다.

2022년 4월 15일에는 유원중 KBS 특파원, 김윤종 동아일보 특파원과 함께 외교부의 전쟁 지역(우크라이나) 취재 제한에 항의하는 성명을 내기도 했다.#

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러시아군과 직접 조우한 유일한 한국 기자다. 2022년 4월 몰도바내 친러 공화국 트란스니스트리아에 들어가 취재하다 러시아군의 검문에 걸려 억류될 뻔했다.#

2023년 5월 30일, 한국 기자로는 처음으로 볼로디미르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을 인터뷰 했다.#

2024년 2월 19일, 러시아 쿠르스크에서 전투를 벌이다 우크라이나 군에 붙잡힌 북한군 포로 리모(26)씨와 백모(21)씨를 우크라이나 현지 포로수용소에서 만나 인터뷰했다.# 미국 뉴욕타임스, 영국 BBC, 프랑스 AFP 등 세계적 매체들을 제치고 한 세계 첫 인터뷰여서 국내외에서 큰 파장이 일었다. 한국 기자가 현직 북한 군인을 인터뷰한 것도 처음이다.

이 인터뷰를 통해 파병 북한군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전투 경험을 하고 있는지 처음 확인됐다. 이들이 대체로 중상위 계층 가정 출신으로 북한 체제에 대한 충성심이 높다는 사실, 사상 감시를 위해 나온 보위부 요원들로부터 "한국군이 드론을 조종해 파병 북한군을 공격한다"는 적개심 교육을 받고 있다는 사실도 최초로 밝혀졌다.

미국 월스트리트저널이 9일 후 두 번째 인터뷰를 내보냈다.[5]


3. 주요 기사

4. 관련 기사

5. 수상

  • 2006. 4. 장애인 먼저 실천 운동본부 우수기사상「차별 속의 차별…손으로 말하는 사람들」
  • 2007. 1.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김흥주 게이트 탐사 추적 보도」
  • 2010. 2. 삼성언론상「청년취업 1만명 프로젝트 연속 보도」
  • 2011. 12. 씨티대한민국언론인상「복지 백년대계, 남유럽 실패연구 연속 보도」
  • 2025. 3. 한국기자협회 이달의 기자상「러시아 파병 북한군 포로 2명 인터뷰」

6. 저서

  • 위클리비즈i (공저) - 21세기북스. 2010
  • 위클리비즈 인사이트 : 미래의 목격자들 (공저) - 어크로스. 2011

7. 여담

  • 프랑스 파리에 상주하고 있다. 유럽 특파원이지만 중동, 아프리카, 구 소련 지역까지 취재한다.
  • 영어와 프랑스어를 구사한다. 독일어도 배웠다고 한다.#






[1] 한때 대한민국 C레벨들은 모두 본다던 엄청 잘 나갔던 조선일보 콘텐츠. 어설픈 유료화 실험으로 망했다.#[2] 한국통신 하이텔. 현재 KT알파[3] 2011~2012년[4] 2018~2019년[5] 조선일보에 선수를 뺏기는 바람에 '서구 매체로는 첫 인터뷰(The Wall Street Journal was the first Western outlet to speak with the men)'라는 해설을 달았다.[6] 미디어오늘 기사[7] 기자협회보 기사[8] 영국 신문 옵저버 산하 토터스 미디어 인터뷰[9] 한국언론진흥재단 인터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