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13:23:46

정오의 별

역대 칸 영화제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
제74회
(2021년)
제75회
(2022년)
제76회
(2023년)
어떤 영웅
6번 칸
클로즈
정오의 별
존 오브 인터레스트

정오의 별 (2022)
Stars at Noon
파일:2022 정오의 별 포스터.jpg
<colbgcolor=#141F11><colcolor=#7F7959> 장르 드라마, 로맨스, 스릴러
감독 클레르 드니
각본 클레르 드니
레아 미지위
앤드류 리트백
원작 데니스 존슨 - the stars at noon (1986)
제작 올리비에 델보
출연 마거릿 퀄리
조 앨윈
베니 사프디
대니 라미레즈
존 C. 라일리
촬영 에릭 고티에
편집 기 레콘
음악 틴더스틱스
의상 주디 슈루스부리
제작사 파일:미국 국기.svg Barnstormer Productions
파일:프랑스 국기.svg Curiosa Films
파일:투명.png Arte France Cinéma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왓챠
배급사 파일:미국 국기.svg A24
파일:프랑스 국기.svg Ad Vitam
개봉일 파일:칸 영화제 로고.svg 2022년 5월 25일
파일:미국 국기.svg 2022년 10월 14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2023년 6월 14일
화면비 2.39 : 1
상영 시간 2시간 18분
제작비 ○○
월드 박스오피스 $225,509
북미 박스오피스 ○○
상영 등급 파일:영등위_18세이상_2021.svg 청소년 관람불가

1. 개요2. 예고편3. 시놉시스4. 등장인물5. 줄거리6. 사운드트랙7. 평가8. 흥행
8.1. 대한민국8.2. 북미 (미국·캐나다)8.3. 중국8.4. 대만8.5. 일본8.6. 영국8.7. 기타 국가
9. 기타10. 관련 문서

1. 개요

클레르 드니 감독, 마거릿 퀄리, 조 앨윈 주연의 2022년작 영화.

미국의 작가 데니스 존슨이 쓴 동명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며, 제75회 칸 영화제에서 그랑프리(심사위원대상)을 수상했다.

2. 예고편

▲ 예고편

3. 시놉시스

니카라과, 꼼짝할 수 없이 발이 묶인 젊은 미국인 기자는 이곳에서 자신을 탈출시켜 줄 좋은 기회처럼 보이는 수수께끼의 영국인과 사랑에 빠진다. 하지만 곧 그가 자신보다 더 큰 위험에 처해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깨닫는다.

4. 등장인물

5. 줄거리

6. 사운드트랙

7. 평가

[include(틀:평가/영화 평점,
IMDb=tt10354106, IMDb_user=5.5, IMDb_highlight=display,
로튼토마토=stars_at_noon, 로튼토마토_tomato=62, 로튼토마토_popcorn=14, 로튼토마토_highlight=display,
메타크리틱=stars-at-noon, 메타크리틱_critic=65, 메타크리틱_user=5.3, 메타크리틱_highlight=display,
레터박스=stars-at-noon, 레터박스_user=3.0, ## 레터박스_highlight=display,
알로시네=281295, 알로시네_presse=2.5, 알로시네_spectateurs=2.2, ## 알로시네_highlight=display,
Filmarks=102738, Filmarks_user=3.0, ## Filmarks_highlight=display,
도우반=33475979, 도우반_user=5.9, ## 도우반_highlight=display,
왓챠=mObVYbn, 왓챠_user=2.9, ## 왓챠_highlight=display,
키노라이츠=105823, 키노라이츠_light=57.14, 키노라이츠_star=, ## 키노라이츠_highlight=display,
MRQE=stars-at-noon-m100140542, MRQE_user=70, ## MRQE_highlight=display,
TMDB=603204-stars-at-noon, TMDB_user=59, ## TMDB_highlight=display,
무비파일럿=the-stars-at-noon, 무비파일럿_user=5.4, ## 무비파일럿_highlight=display,
RogerEbertcom=stars-at-noon-movie-review-2022, RogerEbertcom_user=3.5, ## RogerEbertcom_highlight=display,
엠파이어=stars-at-noon, 엠파이어_user=2, ## 엠파이어_highlight=display,
인디와이어=stars-at-noon-review-claire-denis-1234728397, 인디와이어_user=B+, ## 인디와이어_highlight=display)]

칸 영화제 상영 당시 영화제 공식 별점을 매기는 잡지 스크린데일리에서 4점 만점에 평균 1.9점을 받으며 하위권을 전전하는 등 # 굉장히 호불호가 갈렸으나 영화제 끝에 심사위원대상을 수상하는 의외의 결과를 낳았다. 일각에서는 당시 심사위원장이었던 뱅상 랭동과 클레르 드니 감독의 친분[1] 때문에 상이 주어진 것 아니냐는 의문이 나왔을 정도.

드니가 평소 관심 가졌던 탈식민주의와 성적 본능이라는 테마가 다소 식상하게 재현되었고, 유명 원작을 그다지 잘 살리지 못했다는 평이 많았다. 그래서 유명 할리우드 배우들이 출연했음에도 배급사에서 포기했는지 미국과 한국에서는 거의 직행에 가깝게 공개되었다.

8. 흥행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 개봉일 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 기준일
전 세계 (최초개봉일) $(세계누적) (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미국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미국 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미국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북미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중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중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중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국가}}}{{{#!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미정 미개봉 미정

8.1. 대한민국

누적관객수 -명, 누적매출액 -원[2]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width:300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주차별 상세 내역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0 -10px"
<colbgcolor=#000><colcolor=#fff><rowcolor=#fff> 주차 날짜 일일 관람 인원 주간 합계 인원 순위 일일 매출액 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 -명 -명 미집계 -원 -원
1주차 20XX-XX-XX. 1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3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4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5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6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7일차(화) -명 -위 -원
2주차 20XX-XX-XX. 8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9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0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1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2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13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14일차(화) -명 -위 -원
3주차 20XX-XX-XX. 15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16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17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18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19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0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1일차(화) -명 -위 -원
4주차 20XX-XX-XX. 22일차(수) -명 -명 -위 -원 -원
20XX-XX-XX. 23일차(목) -명 -위 -원
20XX-XX-XX. 24일차(금) -명 -위 -원
20XX-XX-XX. 25일차(토) -명 -위 -원
20XX-XX-XX. 26일차(일) -명 -위 -원
20XX-XX-XX. 27일차(월) -명 -위 -원
20XX-XX-XX. 28일차(화) -명 -위 -원
}}}}}}}}}||

8.2. 북미 (미국·캐나다)

8.3. 중국

8.4. 대만

8.5. 일본

8.6. 영국

8.7. 기타 국가

9. 기타

  • 제작 초기에는 로버트 패틴슨이 남자 주연으로 캐스팅 되었으나[3], 코로나19로 인해 촬영 일정이 지연되면서 더 배트맨과 촬영 시기가 겹쳐 결국 하차했다고 한다. 이후 태런 에저턴에게 해당 배역이 넘어갔으나 에저튼 역시 개인 사정으로 인해 교체되었고, 결국 조 앨윈이 캐스팅되었다.
  • 원작 소설과 극 중의 배경은 니카라과지만 실제 촬영은 파나마에서 이루어졌다. 드니 감독에 따르면 당연히 처음에는 파나마에서 직접 촬영을 하려 했으나, 실제 방문해보니 소설 속에서 묘사되었던 풍경이 내전과 지진 등의 풍파를 겪으며 많이 변해있었고, 결정적으로 로케이션 헌팅 당시 다니엘 오르테가가 재선을 준비하고 있었기에 그런 곳에서 1984년 니카라과 혁명 당시의 풍경을 현재에서 재현하는 영화를 찍는 것은 매우 위험한 일이 될 것 같아 부득이하게 파나마에서 찍을 수 밖에 없었다고 한다.
  • 원작 소설은 출간 당시 컬트적인 인기를 끌었던 책으로 소닉 유스Daydream Nation 수록곡인 'The Sprawl'에서 오마주를 바치기도 했다.

10. 관련 문서


[1] 뱅상 랭동은 드니의 영화 돌이킬 수 없는칼날의 양면에 출연한 바 있다.[2] ~ 20XX/XX/XX 영화진흥위원회 영화관입장권통합전산망 기준[3] 패틴슨은 하이 라이프로 드니와 함께 작업한 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