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중학교 , 여자중학교 , 이외 남녀공학 | ||||
고한중학교 | 나전중학교 | 문곡중학교 | 사북중학교 | 여량중학교 | |
임계중학교 | 정선중학교 | 함백중학교 | 화동중학교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학교 틀 둘러보기 |
|
학교 전경[1] |
<colbgcolor=#055EB2><colcolor=#fff> 정선중학교 旌善中學校 Jeongseon Middle School | |
| |
개교 | 1946년 10월 25일 |
유형 | 일반계 중학교 |
성별 | 남녀 공학 |
형태 | 공립 |
교장 | 박덕규 |
교감 | 조인자 |
교훈 | 쓸모있는 사람이 되자 |
교화 | 장미 |
교목 | 느릅나무 |
학생 수 | 304명[기준] |
교직원 수 | 25명[기준] |
관할청 | 강원특별자치도정선교육지원청 |
주소 |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4길 15 (봉양3리 153-1) |
홈페이지 | |
<nopad> |
1. 개요
강원특별자치도 정선군 정선읍 봉양3리에 위치한 일반계 중학교.2. 학교 연혁
<colbgcolor=#055EB2><colcolor=#fff> 날짜 | 연혁 |
1946. 07. 15. | 정선공립초급중학교 설립인가(6학급) |
1946. 10. 25. | 개교 |
1949. 07. 09. | 제1회 졸업식(구제) 69명(남60명, 여9명) |
1952. 03. 25. | 제1회 졸업식(신제) |
1972. 03. 01. | 정선여자중학교분리(2학급) |
1997. 02. 14. | 정선여중 통합, 정선중학교로 교명 계승(남,여공학) |
1999. 09. 01. | 벽탄분교와 통합(43명) |
2025. 01. 03. | 제74회 졸업식(117명 졸업, 졸업생 총수 16,017명) |
2025. 03. 04. | 제77회 신입생 108명 입학 |
2025. 03. 04. | 제34대 박덕규 교장 부임 |
3. 학교 상징
- 출처: 정선중학교 홈페이지
3.1. 교표
3.2. 교훈
쓸모있는 사람이 되자
3.3. 교육목표
3.4. 교가
뿌리가 같은 정선정보공업고등학교, 정선고등학교와 교가를 같이 쓴다. 다만, 최소한의 차별화를 위해 후반부에 학교 명칭만 달리해서 부른다.
4. 학교 특징
4.1. 복장
- 정선고등학교와 대체로 복장이 비슷하다. 하복 상의는 색상만 다르고 다른 건 다 똑같을 정도(...) 학생들 사이에선 교복이 미관상 좋지 않고, 동복이나 하복 하의는 입기 불편하다고 소문이 자자하다. (하복 하의는 청바지와 비슷하다.)
- 또한 새로운 교감이 부임하며 복장 규제가 더욱 더 강화되었는데, 교복은 필수 착의이며, 청바지나 츄리닝은 입지 못하고, 교내에서 실내화 필수 착용으로 다시 규제를 하기 시작했다.[4] 전까진 무슨 옷을 입던지 자유로웠는데(학칙에는 금지되어 있지만 교사도 넘어가는 추세였다.), 앞서 말했 듯 새 교감이 부임하며 통제가 더 심해졌다.
(사실 안입는 학생은 아무리 뭐라 해도 계속 안입는게 보인다.)
5. 학교 시설
본관
|
별관[9]
|
기타
|
6. 학교 생활
6.1. 주요 행사
- 교내스포츠축전: 매년 5월, 체육대회인 교내스포츠축전을 진행한다. 이번년도는 학사일정으로 보아 10월 2일에 개최될 듯 하다.
- 느릅제: 연말마다 정선중학교의 축제인 느릅제를 진행한다. 전시마당, 체험마당, 공연마당등을 진행한다. 각반마다 필수적으로(...)체험마당을 열어야 한다. 2024년 제 25회 느릅제 기준으로 체험마당과 전시마당은 오전 9시부터 오후 12시까지 진행했으며, 오후 1시부터 오후 4시 40분까지 진행되는 공연마당은 체육관인 한얼관에서 각반과 댄스부, 밴드부들이 공연하는 시간이다.
6.2. 학교 일과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6.3. 시간표
기본적으로 한 교시는 45분간 진행되며, 쉬는시간은 10분이며, 점심시간은 50분이다.매주 화요일 금요일마다 7교시가 진행된다.
월 | 화 | 수 | 목 | 금 | |
~ 08:40 | 등교 | ||||
08:50 ~ 09:35 | 1교시 | ||||
09:45 ~ 10:30 | 2교시 | ||||
10:40 ~ 11:25 | 3교시 | ||||
11:35 ~ 12:20 | 4교시 | ||||
12:20 ~ 13:10 | 점심시간 | ||||
13:10 ~ 13:55 | 5교시 | ||||
14:05 ~ 14:50 | 6교시 | ||||
15:00 ~ 15:45 | 7교시 | 7교시 |
7. 운동부
8. 출신 인물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9.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9.1. 버스
정류소 명칭 | 노선 번호 |
읍사무소앞(2610138/2610139) | 전노선 |
9.2. 철도
10. 사건 사고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11. 기타
- 정선고등학교와 붙어있기 때문에 같은 운동장, 체육관과 별관을 사용한다. 또한 교훈, 교목, 교화가 같다.
12. 둘러보기
[1] 학교 부지 및 많은 시설을 정선고등학교와 함께 사용하기에 위와 같은 사진을 전경으로 한다. 사진 속 가장 왼쪽의 건물은 정선군 교육도서관이며, 오른쪽 방향으로 교목인 느릅나무, 정선중학교 전용 학사, 중고교 공동 학사, 고교 전용학사의 배치이다. 자세히 보면 느릅나무 뒤 건물 한 동이 보이는데, 그 곳이 바로 체육관(한얼관). 신축건물은 해당 각도에선 제1별관에 가려 보이지 않는다.[기준] 2025년 3월 8일[기준] [4] 무슨 이유에선진 모르겠으나 크룩스도 실외화로 취급한다.[5] 제1교무실과 연결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구)과학준비실 자리로 옮겨젔다.[6] 현재는 (구)과학연구실 자리에 위치 중. 과학실습실과 연결되어 있다.[7] 제1교무실과 통합[8] 초창기에는 망가진 의자나 책상이 있었으나 리모델링을 통하여 새로운 책상과 전자칠판 등을 구비해놓았다.[9] 정선고등학교와 연결되어 있다. 정선중학교가 이용하는 시설만 서술.[10] 2, 3학년의 기술수업시 이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