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7:37:28

적기가

1. 국가별
1.1. 영국(The Red Flag)1.2. 일본(赤旗の歌)1.3. 북한1.4. 남한
2. 같이 보기

1. 국가별

1.1. 영국(The Red Flag)

1889년 런던에서 일어난 항만노동자의 파업에 대한 찬사로 짐 코널(Jim Connell)이 작사하였으며 작사가는 Auld Lang Syne의 작사가인 스코틀랜드 시인인 로버트 번스의 The White Cockade에 맞춰 부르는 것을 염두에 두고 작사했으나 번스가 자코바이트였고 The white cockade도 그런 성향을 드러낸 곡이라 대신 영국에서도 잘 알려져 있던 독일의 캐럴O Tannenbaum의 선율에 따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1][2] 1920년대 미국의 공산주의 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같이 퍼졌다. 노동운동과 밀접한 역사를 지닌 영국 노동당의 사실상 공식적인 당가이며 당대회와 같은 행사를 마무리할 때 제창하는데 이때 예루살렘을 함께 부르기도 한다. 물론 원래의 의도처럼 노동운동, 사회운동의 현장에서도 자주 불러진다.

잘 보면 행마다 각운을 맞추고 있음을 알 수 있다. Red - Dead, Cold - Fold 이런 식으로.

구분 가사 번역
1절 The people's flag is deepest red[3]
It shrouded oft our martyred dead
And ere their limbs grew stiff and cold
Their hearts blood dyed its every fold.
민중의 깃발은 가장 짙은 붉은색이며
순교자의 시체를 감쌌다
사지가 굳고 식기 전에
그들 심장의 피가 기의 주름을 붉게 덮었다.
2절 Look round, the Frenchman loves its blaze
The sturdy German chants its praise
In Moscow's vaults its hymns are sung
Chicago swells the surging throng.
보라, 프랑스인은 그의 불꽃을 사랑하고
굳센 독일인은 그에 대한 찬양을 한다
모스크바의 회랑에선 그를 위한 찬가가 울려퍼지고
시카고의 군중은 그 아래 점점 모여든다.
3절 It waved above our infant might
When all ahead seemed dark as night
It witnessed many a deed and vow
We must not change its colour now.
우리의 연약한 권세 위에 적기는 물결쳤다
모든 것이 밤처럼 어둡게 보일 때
그 기는 많은 업적과 맹세를 목도했다
이제 우리는 그 색을 바꾸지 않으리
4절 It well recalls the triumphs past,
It gives the hope of peace at last
The banner bright, the symbol plain,
Of human right and human gain.
그 깃발은 지나간 승리의 기억을 되살리고
마침내는 최후의 평화에 대한 희망을 주리라
빛나는 기, 인간의 권리와
인간의 진보의 뚜렷한 상징
5절 It suits today the weak and base,
Whose minds are fixed on pelf and place
To cringe before the rich man's frown,
And haul the sacred emblem down.
적기는 오늘날의 나약함과 토대에 어울린다
누가 금전과 지위에 정신이 팔렸는가,
얼굴을 찡그린 부자 앞에 굽실거리고
신성한 상징을 내려 끌고 가기 위해서 말이다
6절 With heads uncovered swear we all
To bear it onward till we fall
Come dungeons dark or gallows grim,
This song shall be our parting hymn.
우리 모두는 모자를 벗고 맹세했다
우리가 몰락할 때까지 견디며 전진할 것이라고
지하 감옥의 어둠이나 교수대의 냉혹함이여, 어서 오라
이 노래는 우리의 석별 찬가가 되리라
후렴Then raise the scarlet standard[4] high
Beneath its shade we'll live or die
Though cowards flinch and traitors sneer
We'll keep the red flag flying here.
그러니 이제 붉은 기를 높이 들어라
우린 이 그늘 아래에서 살고 죽을 것이다
겁쟁이들이 위축되고 배신자들이 비웃어도
우린 여기서 계속 적기를 휘날릴 것이다.

1.2. 일본(赤旗の歌)

1921년 일본의 사회주의자 아카마쓰 가쓰마로(赤松 克麿)[5]가 번안했으며 기존의 3/4박자에서 4/4박자로 바꾸었다.


구분 가사 한국어 발음 번역
  1절 [ruby(民衆,ruby=みんしゅう)]の[ruby(旗赤旗,ruby=はたあかはた)]は
[ruby(戦士,ruby=せんし)]の[ruby(屍,ruby=かばね)]を[ruby(包,ruby=つつ)]む
[ruby(死屍固,ruby=しかばねかた)]く[ruby(冷,ruby=ひ)]えぬ[ruby(間,ruby=ま)]に
[ruby(血潮,ruby=ちしお)]は[ruby(旗,ruby=はた)]を[ruby(染,ruby=そ)]めぬ
민슈노 하타 아카하타와
센시노 카바네오 쓰쓰무
시카바네 카타쿠 히에누 마니
치시오와 하타오 소메누
민중의 깃발 적기는
전사의 시체를 감싼다
시체가 굳어 차가워질때까지
피는 깃발을 물들인다
  2절 フランス[ruby(人,ruby=じん)]は[ruby(愛,ruby=あい)]す[ruby(旗,ruby=はた)]の[ruby(光,ruby=ひかり)]
ドイツ[ruby(人,ruby=じん)]はその[ruby(歌唄,ruby=うたうた)]う
モスコー[ruby(伽藍,ruby=がらん)]に[ruby(歌響,ruby=うたひび)]き
シカゴに[ruby(歌声高,ruby=うたごえたか)]し
후란스진와 아이스 하타노 히카리
도이쓰진와 소노 우타 우타우
모스코오 가란니 우타 히비키
시카고니 우타고에 타카시
프랑스인은 사랑한다 깃발의 빛을
독일인은 그 노래를 부른다
모스크바 광장에 노래가 울려퍼지고
시카고에는 노래소리 드높다
  3절 [ruby(力無,ruby=ちからな)]く[ruby(道暗,ruby=みちくら)]けれど
[ruby(赤旗頭上,ruby=あかはたずじょう)]に[ruby(靡,ruby=なび)]く
[ruby(功,ruby=いさお)]と[ruby(誓,ruby=ちか)]いの[ruby(旗,ruby=はた)]を[ruby(見,ruby=み)]よ
[ruby(我等,ruby=われら)]は[ruby(旗色変,ruby=はたいろか)]えじ
치카라나쿠 미치 쿠라케레도
아카하타 즈죠우니 나비쿠
이사오토 치카이노하타오미요
와레라와 하타이로 카에지
지치고 앞길은 어두우나
적기가 머리위에 나부낀다
용기와 맹세의 깃발을 보라
우리는 깃발을 바꾸지 않으리
  4절 [ruby(富者,ruby=ふしゃ)]に[ruby(媚,ruby=こ)]びて[ruby(神聖,ruby=しんせい)]の
[ruby(旗,ruby=はた)]を[ruby(汚,ruby=けが)]すは[ruby(誰,ruby=だれ)]ぞ
[ruby(金,ruby=かね)]と[ruby(地位,ruby=ちい)]に[ruby(惑,ruby=まど)]いたる
[ruby(卑怯下劣,ruby=ひきょうげれつ)]の[ruby(奴,ruby=やつ)]ぞ
후샤니 코비레 신세이노
하타오 케가스와 다레조
카네토 치이니 마도이타루
히쿄우 게레츠노 야츠조
부자에게 아첨하여 신성한
깃발을 더럽히는 이 누구인가
돈과 지위에 유혹당한
비겁하며 저열한 놈들이다
  5절 [ruby(我等,ruby=われら)]は[ruby(死,ruby=し)]す[ruby(迄赤旗,ruby=まであかはた)]を
[ruby(掲,ruby=かか)]げて[ruby(進,ruby=すす)]むを[ruby(誓,ruby=ちか)]う
[ruby(来,ruby=きた)]れ[ruby(牢獄絞首台,ruby=ろうごくこうしゅだい)]
これ[ruby(告別,ruby=こくべつ)]の[ruby(歌,ruby=うた)]ぞ
와레라와 시스마데 아카하타오
카카게레 스스무오 치카우
키타레 로우고오 쿄우슈다이
코레 고쿠베츠노 우타조
우리는 죽을때까지 적기를
내걸고 나아감을 맹새한다
와라 감옥아 교수대야
이것은 고별의 노래이니
  후렴 [ruby(高,ruby=たか)]く[ruby(立,ruby=た)]て[ruby(赤旗,ruby=あかはた)]を
その[ruby(影,ruby=かげ)]に[ruby(死,ruby=し)]を[ruby(誓,ruby=ちか)]う
[ruby(卑怯者去,ruby=ひきょうものさ)]らば[ruby(去,ruby=さ)]れ
[ruby(我等,ruby=われら)]は[ruby(赤旗守,ruby=あかはたま)]る
타카쿠 타테 아카하타오
소노 카게니 시오 치카오
히쿄우모노 사라바 사레
와레라와 아카하타 마모루
높이 내걸어라 적기를
그 아래서 죽음을 맹세하리
비겁한자여 가려면 가라
우리는 적기를 지킨다



하츠네 미쿠가 부른 버전도 있다.

1.3. 북한



제주 4.3 사건 관련으로 제주MBC가 제작한 다큐멘터리 산,들,바다의 노래에서 갤럭시 익스프레스가 부른 버전으로 북한 버전과 가사가 약간 다르다. 국가보안법 문제가 없는 버전이라서 올렸다.


내용 변경이 없으면서 국가보안법 문제가 없는 버전도 있다.

사실 노래 자체는 북한 이전부터 좌익 항일독립운동가들이 번역해 부르던 노래이기 때문에 북한 정권을 찬양할 목적이 아니라면 국가보안법 위반으로 보긴 어렵다.

현재의 버전은 일본 버전의 1절, 4절, 5절을 번안한 것으로 보이며 총 3절로 이루어져 있다. 원래 일제강점기에 좌익계 독립운동가들이 부르던 노래가 북한으로 내려와서 군가가 되었으므로 일제강점기에 불렀던 노래가 계속 불리는 것이니 엄격히 말하면 '북한' 노래는 아니다. 일본 버전에서 나아가 못갖춘마디를 갖춘마디로 바꿔 원본에 비하면 그야말로 마개조. 자세한 변화는 실미도 논란 당시 미디어오늘에 실린 <The Red Flag>의 변천사를 다룬 음대 교수의 글에 설명되어 있다. 링크

다만 정권 수립 초기 북한에서 발매된 버전을 들어 보면 현재의 버전과 가사가 다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절과 후렴 가사는 현재와 같지만 2절은 일본어 버전의 2절을 번안했으며, 3~4절은 일본어 버전의 4~5절을 번안했다.

영화 실미도에서 대원들이 자폭하기 전 부르는 노래인데 이 때문에 실미도 사건 유족들이 강우석 감독을 사자명예훼손국가보안법 위반으로 고발하기도 했으나 검찰에서 무혐의 처분을 내렸다. 링크[6]

2005년 설 특집으로 MBC에서 실미도를 방영했을 때는 적기가를 지우고 다른 음악을 삽입해 방영했다. 링크

2013년 통합진보당 내란선동 사건에서 이들의 회합 당시 이 노래를 불렀다고 하여 이슈가 되기도 하였다.

북한에서는 적기가가 금지곡으로 지정되지는 않았으나, 과거에 비해 적기가를 잘 부르지 않는 것은 사실이다. 북한이탈주민 출신의 동아일보 기자 주성하에 따르면, "북한에서는 적기가 등 체제를 뒤엎자는 내용의 혁명가요를 부르기를 꺼리는 분위기가 있다" 라고 이야기를 한다.링크 북한 당국은 체제에 불만을 갖는 젊은이들의 패기가 두렵기 때문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논리로 북한에서는 아침이슬임을 위한 행진곡을 비롯하여 남한의 민중가요들도 모두 금지곡으로 지정했다. 이 때문인지 진보 성향을 띄면서도 북한을 반대하는 사상을 가진 사람들은 오히려 적기가를 찬양하는 모습을 보이는데, 북한 주민들이 적기가를 부르면서 내부 봉기를 일으켜서 김씨왕조를 무너뜨리고 민주주의 정권을 세워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사실, 적기가는 노골적으로 김씨왕조를 찬양하는 내용도 없는데다 원곡도 영국에서 만들어진 노래였고 독재정권을 혁명으로 무너뜨리자는 내용이라 이적표현물이 되는 것도 아니기도 하다. 물론, 북한에서 만들어진 군가들은 대부분 이적표현물이다.

심영 버전도 있다(....). 참고로 실존인물 심영도 광복 이후 사회주의, 공산주의 활동을 했음을 감안하면 매우 적절한 선곡이다.

가사
1절민중의 기 붉은기는
전사의 시체를 싼다
시체가 식어 굳기전에
혈조는 기발을 물들인다
2절원쑤와의 혈전에서
붉은기를 버린 놈이 누구냐
돈과 직위에 꼬임을 받은
더럽고도 비겁한 그놈들이다
3절붉은기를 높이 들고
우리는 나가길 맹세해
오너라 감옥아 단두대야
이것이 고별의 노래란다
후렴높이 들어라 붉은 기발을
그밑에서 굳게 맹세해
비겁한 자야 갈라면 가라
우리들은 붉은기를 지키리라

초기 버전 가사
1절민중의 기 붉은기는
전사의 시체를 싼다
시체가 식어 굳기 전에
혈조는 기발을 물들인다
2절불란서 사람은 이 기발을 사랑하고
독일 사람은 이 노래를 부른다
막사과 가람[7]에 소리 맞추어
시카고엔 노래소리 높으다
3절부자에게 아첨하여 얻은 돈으로
붉은기를 버린 놈이 어느 놈이냐
자본과 직위에 꼬임을 받은
더럽고도 옹졸한 그놈들이라
4절우리들은 언제든지 붉은기를
높이 들고 나가기를 맹세한다
오너라 감옥아 단두대야
이것이 고별의 노래란다
후렴높이 들어라 붉은 기발을
그밑에서 굳게 맹세해
비겁한 자야 갈라면 가라
우리들은 붉은기를 지키리라

1.4. 남한

이미지가 이미지다 보니 북한에서만 불렸을 것 같지만 사실은 남한에서도 불렸다. 그것도 북한의 조선로동당을 극히 혐오하는 CA그룹 계열에서 불렀다. 다만 사실상 개사한 데다 제목마저 "제헌가"로 바꿨고 음은 "소나무"가 아닌 "오월의 노래"로 번안된 ""Qui à tué grand maman ?"를 땄다.[8] CA그룹 자체가 운동권에서도 소수 그룹인 데다 보통 적기가라고 하면 위의 북한 적기가나 영국 노동당가, 그리고 맨유 응원가를 떠올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빠르게 잊혔다. 참고로 아래의 가사는 그 제헌가의 가사다. 공산주의자들은 사실 혐북 성향을 띄더라도 위의 버전으로 부르는 경우가 많긴 하다.
민중의 기 제헌기는 투사의 피로 얼룩져
시체가 되어 죽기 전에 혁명의 전장에 나선다
높이 올려라 제헌깃발을 그 아래서 일치단결해
군사파쇼와 타협은 없다 민중은 제헌기를 치켜든다

예술의 전당에서 공연된 오페라 손양원에서 노래가 개사돼서 불리운 적이 있다. 알다시피 손양원이 활동했던 시기가 6.25 전쟁 전후이기도 하고 당시 공산주의 세력이 대한민국에서 많이 활동했으며 이들이 손양원의 행보와 직접적으로 연관 있다는 걸 감안하면 어쩔 수 없는 선곡이기도 하다.



파일:ELO00erU8AEepmr.jpg

북한의 적기가를 탈북민이 반공가로 개사한 버전이 있다. 반대 성향의 노래를 비꼬아서 부르는것 자체는 이상할일은 아니다. 비슷한 사례로 시리아 구정권의 선전가인 Allha, Syria, Bashar를 개사해 아사드를 비판한 Get off, Asad가 있다.

조국 법무부장관 규탄 집회에서 태극기 부대 부른 적도 있다(...). #

2. 같이 보기



[1] The White Cockade의 곡조에 따라 부른 곡들도 남아 있다. # #[2] 사실 초기의 민중가요 중에는 노동자들이 따라 부르기 쉽게 하려는 의도로 잘 알려져 있는 민요나 군가 등을 개사한 것들이 많다. 일본 노동운동의 상징적인 곡인 들어라 만국의 노동자도 비슷한 경우다.[3] 노동당의 우경화를 비판하는 좌파들은 이 구절을 'the people's flag is palest pink'로 바꿔 비꼬기도 한다.[4] 'standard' 대신 'banner'로 부르는 경우도 있다.[5] 만주사변 이후 우익으로 전향해 전쟁에 협력한 죄로 5년간 국외추방을 당하기도 했다.[6] 사실 적기가도 순화된 것으로, 감독의 원안에서는 무려 김일성 장군의 노래였다고 한다! 만일 원안대로 개봉되었으면 그 후폭풍이 어땠을지는 상상에 맡긴다.[7] 일본어 가사 モスコー伽藍을 직역했다.[8] 다만 후렴 부분은 오월의 노래와도 약간 다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