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 ||||||
{{{#!wiki style="color:#FFF; margin: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000><colcolor=#fff> 전개 | 배경 · 전개 · 진상규명운동 | ||||
관련 인물 및 단체 | <colbgcolor=#000000><colcolor=#fff> 무장대 | 남로당 제주도당 · 김달삼 · 이덕구 | ||||
토벌대 | <colbgcolor=#000><colcolor=#fff> 온건 | 김익렬 · 유재흥 · 문형순 · 임관호 | ||||
강경 | 군경 · 서북청년회 · 대한청년단 · 조병옥 · 이승만 · 박진경 · 송요찬 · 함병선 · 탁성록 · 최난수 | |||||
피해자 | 제주도민 · 김시범 · 이도종 · 이경선 · 무명천 할머니 · 제주 출신 재일교포 · 4.3 수형자 · 보도연맹원 | |||||
예술가 | 현기영 · 김석범 · 강요배 · 오멸 · 이산하 · 김동리 | |||||
기타 | 제주 4.3 연구소 · 문화에서의 4.3 · 학계에서의 4.3 · 제주 4.3 유적지 · 제주 4.3 길 | |||||
유사 사건 | 방데 전쟁(프랑스) · 2.28 사건(대만) · 목호의 난 · 대구 10.1 사건 · 여수·순천 10.19 사건 |
잠들지 않는 사람들 - 노래를 찾는 사람들 2&3 (20주년 기념 음반) |
안치환 - 잠들지 않는 남도 (2021) |
1. 개요
한국의 민중가요. 안치환 작사·작곡.제주 4.3 사건을 소재로 한 노래다. 1988년 노동자노래단의 앨범 '총파업가'에 처음 수록되었고 노찾사나 안치환의 솔로 앨범에도 수록되었다.
제주 4.3 사건을 소재로 한 민중가요 중 가장 널리 불리는 노래로 각종 4.3 행사에서 자주 제창된다. 2014년 4.3이 국가기념일로 지정되어 추념식도 처음으로 국가 차원에서 치러졌는데 이 자리에서 추모의 노래로 뜬금없이 아름다운 나라가 불려 비판을 받았다. 이에 일각에서는 잠들지 않는 남도를 공식 추모곡으로 지정하자는 움직임이 있었다. 그러나 4.3평화재단 측에서는 새로운 노래를 만들어 지정하는 쪽으로 가닥을 잡은 듯하다.
2015년 4.3사건의 식전행사장에서는 원래 확정되었던 잠들지 않는 남도 대신 〈비목〉과 〈그리운 마음〉이 나왔다. #1 #2 #3
2018년 2월 2일 4.3 희생자 추념식 준비계획 보고회에서 2018년 4월 3일 추념식부터 잠들지 않는 남도를 부르기로 발표했다. #
2. 가사
기울인 가사는 2021년판에 새로 추가된 가사다.외로운 대지의 깃발 흩날리는 이녁의 땅[1]
어둠살 뚫고 피어난 피에 젖은 유채꽃이여
검붉은 저녁 햇살에 꽃잎 시들었어도
살 흐르는 세월에 그 향기 더욱 진하리
노을빛 젖은 물결에 일렁이는 저녁 햇살
상처 입은 섬돌의 분노에 찬 눈빛이여
갈 숲에 파고드는 저승 새의 울음소리는
아 한스러이 흐르는 한라의 눈물이어라
(후렴)
아~ 아~ 아~ 아~
아! 반역의 세월이여
아! 통곡의 세월이여
아! 잠들지 않는 남도 한라산이여
어둠살 뚫고 피어난 피에 젖은 유채꽃이여
검붉은 저녁 햇살에 꽃잎 시들었어도
살 흐르는 세월에 그 향기 더욱 진하리
노을빛 젖은 물결에 일렁이는 저녁 햇살
상처 입은 섬돌의 분노에 찬 눈빛이여
갈 숲에 파고드는 저승 새의 울음소리는
아 한스러이 흐르는 한라의 눈물이어라
(후렴)
아~ 아~ 아~ 아~
아! 반역의 세월이여
아! 통곡의 세월이여
아! 잠들지 않는 남도 한라산이여
3. 여담
- 2014년 8월 발표된 인디뮤지션들의 4.3 헌정 앨범에서 3호선 버터플라이가 이 곡을 리메이크해 불렀다.
- JIBS에서는 매년 제주 4.3 사건이 일어난 주간마다 이 노래 후렴구 끝부분을 ID영상과 함께 송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