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13 21:05:18

이희태


<colbgcolor=#0A7CC2><colcolor=#fff> 이희태
Lee Huitae
파일:이희태 유튜브.jpg
출생 2002년 6월 14일 ([age(2002-06-14)]세)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성별 남성
신체 181cm[1] , 41.8kg[2]
병역 사회복무요원 소집해제[3]
활동 기간 2023년 9월 23일 ~ 현재
(동영상 첫 게시일부터 [dday(2023-09-23)]일째, [age(2023-09-23)]주년)
별명 챌린저 멸치,원조호석[4]
플랫폼 현황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유튜브 이희태
구독자 10만명[기준]
조회수 40,001,743회[기준]
치지직 이희태
팔로워 859명[기준]
SOOP 이희태
애청자 132명[기준]
누적 유저 188명[기준]}}}}}}}}}
롤 ID 이희태 #KR2 #
관련 링크
플랫폼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파일:치지직 아이콘.svg | 파일:SOOP 아이콘.svg
SNS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특징3. 몸매 및 먹성4. 콘텐츠
4.1. 리그 오브 레전드4.2. 먹방
5. 여담

1. 개요

대한민국의 인터넷 방송인이다. 주력 콘텐츠는 리그 오브 레전드 또는 먹방.

2. 특징

기존에는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 누누와 윌럼프 장인으로 이름이 알려져 있어, 강의 콘텐츠를 주력으로 한 리그 오브 레전드 영상을 주로 올렸다. 물론 특정 챔피언을 잘 다루는 챌린저 유튜버는 이제 와서는 흔하디 흔한 인물상이지만, 2024년부터 알고리즘의 눈에 들더니 2025년에 상승 곡선을 본격적으로 타기 시작했다.
천상계에서도 기존 천상계 네임드 누누장인이였던 익산누누와 리하우가 각각 잠적 및 군입대로 롤판을 떠난 상태에서 2025년 기준 유일한 천상계 누누와 윌럼프 네임드 장인이기 때문에 어느 순간에서부터 그의 동선을 파악하고 저격하는 이들이 많아지고 있다.

3. 몸매 및 먹성

신규 유입의 눈을 잡아채는 것은 역시 파멸적인 몸매로, 181cm에 40kg 초반대를 왔다갔다하는 몸이 특징이다. BMI 지수로 환산하면 약 13으로, 2024년 이후 강화된 병역판정 신체검사 기준으로도 4급이다.[10] 저체중 기준 BMI가 18.5이므로 여기서 18kg 정도를 더 쪄도 저체중일 수준의 심각한 저체중이다. 심지어 키도 181cm로 매우 큰 편인지라...
이 때문에 리그 오브 레전드의 영상에서도, 먹는 것을 주력으로 올리는 쇼츠에서도 체중 관련 드립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11](여담으로 41,800,00g이다)

이렇게 심각한 저체중인 이유는 이희태 본인이 엄청난 소식가이기 때문인데, 먹방을 할 때도 일반인의 1/4가 한참 안 되는 양을 먹고 배부르다며 먹방을 종료하는게 일상이다. (본인의 주장으로는) 과거에 피자 한 판을 거뜬히 먹을 수 있었다고 하지만, 현재는 고작 치킨 2조각만 먹고 배부르다고 하거나 롯데리아리아 불고기 세트를 감자튀김으로 한 끼, 불고기 버거로 한 끼로 총 두 끼를 해결할 수 있다고 하는 등, 먹는 양 자체가 매우 적다.

코카콜라를 굉장히 좋아해서 쌓아놓고 마시는데도 살이 찌지 않는다. 영상 왼편 하단을 보면 1.25L짜리 코카콜라병이 줄줄이 놓여있으며 코카콜라만으로 배를 채우는 일이 허다하다. 다만 이를 보고 당뇨를 걱정하는 시청자들이 꽤 많아, '시한부 판정'이라는 농담도 나온다.

4. 콘텐츠

4.1. 리그 오브 레전드

본인 주장으로는 주력 콘텐츠. 티어는 챌린저로, 정글 누누와 윌럼프가 주 챔피언이다. 적 정글을 털고 시작하는 날먹 빌드를 선호한다.[12] 굳이 날먹이 아니더라도 데굴데굴 눈덩이!(W)를 이용한 빠른 무한갱으로 게임을 터뜨리는 누누의 정석 플레이도 마다하지 않는다. 다만 대부분의 영상에서 탱킹용 아이템은 올리지 않는 모습을 보아 순수 탱커 빌드는 싫어하는 듯. 스킨으로는 누누와 윌럼프 봇을 애용한다.

부 포지션은 미드. 주로 리산드라를 기용한다.

4.2. 먹방

제 2 주력 컨텐츠. 시청자들은 사실상의 원톱 콘텐츠라고 보기도 한다. 리그 오브 레전드 영상 맨 뒤에, 혹은 쇼츠에 자신의 먹방 영상을 삽입한다. 물론 흔한 먹방이라면 이렇게까지 뜰 이유가 없고, 엄청나게 깡마른 체구에 더불어 몸 망가지기 딱 좋은 식습관을 가지고 있다 보니 어그로가 여실히 끌린다.

본인도 체중이 상당히 적게 나가는 것을 인지하고 있고, 신규 유입들의 관심사가 어딘지도 알아서 리그 오브 레전드 영상의 말미에 먹방을 끼워넣는 등 열심히 노를 젓는 중이다. 그리고 점점 영상에서 먹방이 차지하는 비율도 늘어나는 추세이다. 아예 누누 Q 스킬 한 번 당 충무김밥 하나 먹기 같은 융합형 컨텐츠를 선보이기도 했다. 본인 말로는 체중 관련 드립을 치는 건 괜찮지만, 롤 영상도 관심을 가져주면 좋겠다고.

먹는 양도 일반적인 후라이드 순살 치킨 하나를 2~3일에 걸쳐서 먹거나, 레드향 하나로 배가 부르다며 먹방을 종료하는 정도로 적어서 시청자들의 진심어린 걱정을 유발한다. 편집된 영상이라곤 해도 먹방이 쇼츠 20초에 쏙 들어가는 양인지라 하루 종일 먹는 게 정말 없는 편. 이렇게 먹는 양이 적다보니 대부분의 먹방이 쇼츠 분량에 들어갈 정도로 짧다.

이에 반비례하게 코카콜라를 매우 좋아하여 끼고 사는 수준이다. 방에는 아예 페트병 박스들이로 콜라병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대부분의 먹방을 할 때도 콜라의 힘을 빌어 억지로 밀어넣는 식으로 음식을 먹는다. 좋아하는 콜라 순위는 코카콜라 - 펩시 제로 라임 - 제로 코카콜라 -일반 펩시 순이라고 한다.

어쨌든 유튜브의 큰 축을 차지하고 있는 콘텐츠고, 시청자들도 이 먹방 때문에 흘러들어오는 경우가 많아 아예 먹방 영상이나 채널을 따로 파달라는 요구도 많다. 실제로도 주인장도 이런 경향을 알고 있어 먹방의 비중을 늘리거나 쇼츠를 자주 업로드하는 등 노를 젓고 있긴 하나, 막상 본인은 롤을 주력으로 하는 유튜브를 운영하고 싶은지 먹방 영상이나 리그 오브 레전드 영상 댓글창에 먹방도 좋지만 롤도 관심을 가져달라는 코멘트를 꼭 집어넣는다. 그럼에도 댓글창에는 여전히 희튜브 프리미엄(...)이라며 롤 부분은 전부 건너뛰고 먹방만 볼 수 있는 타임라인을 게재한 댓글이 추천수를 많이 받는 등 성향이 확실하게 드러난다.
  • 코뚱잉과의 합방에서 짜파게티 범벅 하나를 다 못 먹는 상황이 나왔다.
  • 최애음식은 쑥떡이라고한다.
  • 레드향 하나로 배가 찬다. 레드향이 귤속 중에서도 꽤 큰 편임을 감안해도, 평범한 사람이라면 배를 채울 정도는 아니다.
  • 후라이드 치킨은 2~3일에 걸쳐서 먹어야 한다.
  • 핫바, 삼각김밥 등 편의점에서 파는 간식거리는 전부 충분한 한끼 식사다.

5. 여담

  • 리그 오브 레전드를 플레이 할 때 특이한 여러 루틴이 있다.
    • 방송에서 입에 물고 있는 것은 치실이다. 정확히는 실을 제거한 플라스틱 몸체만 물고 있는 것으로, 원래 무언가에 집중을 하면 입을 깨무는 습관이 있었는데 그것을 고치기 위해 껌이나 이쑤시개 등 이것저것 씹어보다가 결국 치실로 정착했다고 한다. 이제는 치실이 없으면 게임을 못 할 정도라고.
    • 다한증이 있어서 항상 손을 닦을 수건을 무릎 위에 올려놓고 플레이한다.
    • 특이하게도 의자 양 쪽 팔걸이의 높이를 다르게 맞춘 후 게임을 한다고 한다.
  • 프링글스 통에 손이 들어간다. 사실 평범한 남성도 손 크기가 매우 큰 것이 아니라면 잘 들어간다.
  • 과거 초등학생 때 태권도 겨루기 선수를 한 적이 있다.
  • 브이로그 영상에서 담뱃갑을 쌓아 놓는 모습이 드러난 것을 보아 흡연자다. 피우는 담배는 믹스 콤보로 추정.
  • 과일 중에서는 딸기를 좋아한다.
  • 과거 이국주가 이상형이며 모솔이라는 정보가 기입되어 있었는데, 본인이 직접 부정하였다. 중학교시절 이국주닮은 사람과 연애를 해봤으며 초성은 ㅇㅇㅂ 이상형은 순위로 1.인성 2.목소리 3.얼굴 4.몸매(슬렌더)라고 한다. 목소리 이쁜 여자가 욕해주는걸 좋아하는 페티쉬가 있다고 한다.(...)
  • 본인이 직접 나무위키에 추가할 내용을 설명해 주었다. #
  • 메이플 유저이며 메이플랜드 채널도 존재한다# 메이플랜드 해적을 기다리며 초보자를 키우는 백수 해적단에 들어가 있다. #
  • 롤을 할 때는 항상 입에 치실을 물고 게임을 한다. 그 이유는 예전부터 무언가에 집중 할 때 입을 꽉 깨무는 버릇이 있다고 한다.[13] 해결방안을 찾기 위해 껌을 씹어봤지만 턱이 너무 아프고 이것저것 찾아보다가 결국 치실을 물고 게임을 한다고 한다. 또한, 롤을 하기 전엔 무릎위에 큰 베개를 놓고 왼팔은 의자 팔걸이 위에 놓으며 약간의 다한증으로 인해 수건을 휴대하고 게임을 한다고 한다.
  • 콜라를 매우 좋아하는 듯 하다. 집에 콜라가 잔뜩 있고, 보따 영상에서도 콜라를 언급하고 항상 음식을 먹을때면 콜라가 빠질 수 없다.
  • 2025년 4월 10일 19시 14분에 구독자 10만명을 달성했다
  • 과거 테스터훈의 장인 초대석 영상에 출연했다.

[1] 희태세끼 2편에 180인 김원식과의 투샷에서 2~3cm 작게 나온것으로 보아 잦은 게임으로 인한 거북목이 심한 것으로 보인다[2] 몸무게에 대해 다소 의견이 갈리는데, 보따 영상 썸네일에선 39kg으로 나왔지만 이희태 자신의 영상에선 42.15KG이 나왔기 때문이다. 하지만 42.15KG는 핸드폰+거치대의 무게가 합쳐져 나온것이고,39kg는 보따측의 오역으로 보여진다. 왜냐하면 이희태 본인피셜 보따영상에서 자신은 40키로 초반대라고 언급했기 때문이다. 또한 BMI지수로 계산한 결과 BMI지수가 12.51로 매우 마름으로 나온다.[3] 현재 군필이며, 저체중 공익으로 1년 9개월 근무를 마쳤다고 한다.[4] 가장 많이 쓰이는 별명으로, 심지어 쇼츠에서도 챌린저 멸치의 XX 먹방이 항상 디폴트 제목이다.[기준] 2025년 4월 10일[기준] [기준] [기준] [기준] [10] 2018년 초~2021년 초까지 있었던 체중면제 기준으로는 면제도 가능했다. 이희태가 신검을 받는 나이(19세가 되는 해)가 2021년이므로 체중면제가 사라지자마자 신검을 받아 면제를 피해간 셈이다.[11] 거기다 다른 유명한 네임드 누누 장인들 중에서도 가장 말랐기 때문도 크다. 현재 종적을 감춘 익산누누는 약간 통통하고 둥그런 체형이었고, 군입대를 한 리하우는 호리호리한 편이긴하지만 그래도 보기좋게 평범한 편에 속했다.[12] 그런데 최근 들어선 날먹 동선 방지 와드의 중요성이 커진 나머지 잘 통하지 않아 아쉽다고.[13] 입에 피가 날 정도로 깨물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