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조직폭력배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조직폭력배)#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조직폭력배)#|]]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1. 위 인물을 바탕으로 한 야인시대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야인시대)#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야인시대)#|]] 부분을
참고하십시오.2. 야구인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1990)#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1990)#|]] 부분을
참고하십시오.3. 축구선수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축구선수)#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축구선수)#|]] 부분을
참고하십시오.4. 축구 행정가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1958)#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이석재(1958)#|]]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PD
MBC SPORTS+의 PD다.1970년생으로 엠스플 야구 중계를 지휘하며 엠스플만의 야구 중계 스타일을 확립한 PD다. 연세대학교 국어국문학과를 졸업하고 2002년 MBC ESPN PD로 입사하여 각종 스포츠 중계를 맡았다. 글솜씨와 입담이 모두 좋으며 스톡킹에 MC와 게스트를 보조하는 역할로도 출연했다. 특히 대학교 후배인 박재홍과는 톰과 제리 같은 모습을 보여주며 웃음을 자아내고 있다. 또한 그는 KBO 리그 원년인 1982년 MBC 청룡 시절부터 열혈 LG 트윈스의 골수팬 이다. 2023년 한국시리즈때 LG트윈스가 우승한 5차전을 MBC 지상파 메인 연출자로 직접 중계했다.
본인이 튀어보이려는 경향이 아주 강해 야구팬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하는 편이다. 스톡킹 PD로 왔을 때 팬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으며 목소리나 자막(~~하는 석재 PD 등)으로 나중에는 직접 출연까지 강행하며 본인의 존재감을 드러내 반감을 더했다.
하지만 이런 일부 주장은 자세한 내막을 알지 못하거나 악의적인 주장일 뿐이다. 야구팬들 중 이석재 PD에게 반감을 가지고 있는 사람들의 대부분은 다소 자극적인 중계와 인기팀 위주의 중계 방송을 하는 엠스플에 대한 반감이 대부분이며 그런 엠스플의 중계를 이석재 PD가 지휘한다는 오해에서 비롯된 것이다.
이석재 PD가 주로 야구중계를 했던 시기는 2005년부터 2011년 사이로 그 시기 엠스플은 야구 중계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와 함께 야구팬들의 열렬한 지지를 받던 시기였으며 12년 연속 시청률 1위를 하는 등 놀라운 성과를 보여주던 시기였다. 야구팬 일부가 엠스플의 인기팀 위주 및 자극적인 중계에 반감을 드러내던 시기는 2010년대 이후였으며 그것도 엠스플 뿐 아니라 대부분의 스포츠 방송사가 비슷한 내용으로 방송을 했는데 시청률 독주를 하던 엠스플이 독박을 쓴 부분도 많이 있다. 게다가 일부 야구팬들이 엠스플 중계에 반감을 가지게 된 2010년대에 이석재 PD는 아주 오랫동안 제작팀장과 스포츠센터장 등의 보직을 맡아 현업을 하고 있지 않았음에도 중계방송이나 베이스볼 투나잇에 불만을 가진 팬들은 엠팍 등에서 이석재 PD가 연출한 것처럼 글을 쓰고 비난을 가했고 내용을 잘 모르는 팬들이 그 글만 보고 이석재 PD에게 반감을 가졌던 것이다.
팩트는 이석재 PD가 연출을 하던 초창기에는 엠스플 중계에 대해 찬양 일색이었으며 현업에서 물러나 관리자를 하는 동안 엠스플 중계의 안티 팬이 늘어나게 된 것이다. 물론 관리 책임을 물을 수는 있겠지만 이석재 PD가 어그로를 끌기 위해 일부러 저렇게 연출을 했다는 등의 주장은 옳은 주장이 아니다.
스톡킹에 대한 비판도 대부분 사실이 아니다. 스톡킹의 초반 상승세가 점차 꺾이며 구독자 15만에서 19만까지 아주 오랜 시간이 걸렸고 출연자 섭외를 심수창에게만 의존하면서 출연자 풀도 점점 약화되어 대부분 콘텐츠가 10만을 찍기 어려운 상황이었기 때문에 회사에서 야구를 잘 알면서 섭외력이 뛰어난 이석재 PD를 구원투수로 투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실제로 투입되자마자, 한명재 정우영 편, 박재홍, 정민철, 김선우, 구대성, 김승우 등 레전드들이 출연하기 시작했고, 오랫동안 정체기였던 구독자수가 가파르게 상승해 박재홍 편에서 20만을 돌파하고 29만 가까이 단기간에 무려 10만 구독자를 증가 시켰다. 그리고 대부분 콘텐츠들의 조회수는 평균 10만에서 30만 정도가 늘었다.
스톡킹에 직접 출연하여 팬들의 반감을 더했다는 주장도 사실이 아니다. 그리고 야구팬들로부터 환영받지 못한다는 주장이나 스톡킹 PD로 왔을때 팬들의 강한 반대에 부딪혔다는 주장도 허위에 가깝다. 처음 스톡킹을 맡고 출연까지 했을 때 실제로 반감을 가지는 목소리도 있었지만 직접 출연한 스톡킹 박재홍 편, 한명재 정우영 편 등의 댓글을 보면 환영하는 댓글도 상당수 있으며 특히 입담에 대해 너무 웃기다는 반응과 고정적으로 출연해달라는 요청이 아주 많다.
현대 사회에서 한 사람을 모두가 좋아할 수 없는 것은 누구나 마찬가지이고 실제로 그를 싫어하는 야구팬이 있는 것도 사실이지만 그렇지 않은 팬들도 상당수 존재한다는 것이다. 특히 안티 팬의 대부분은 엠팍에 집중되어 있는 것이 특징이라면 특징이다. 야구팬들 중 엠팍에 상주하며 활동하는 인원은 극소수이며 엠팍러들은 야구계의 이슈에 대해 강한 의사를 표출하기 때문에 그 숫자에 비해 의견이 과대표집되는 경향이 있다.
PD가 방송에 출연하는 것을 비판하는 것도 상당히 문제가 있다. 현대 사회의 미디어 환경은 과거처럼 아나운서나 연예인들만이 방송 출연을 독점했던 시대와는 다르다. 기자건 PD건 변호사건 의사건 선생님이건, 아니면 그냥 야구 팬이건 모두 나와서 방송을 하고 있다. 변호사가 방송에 나와 법률 자문만 해야하는 것은 아니며 실제로 정치 평론을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역사학자 김재원이 역사와 관련 없는 각종 예능 유튜브에 출연하고 있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단순히 팬심을 표출하는 방송이 아닌 야구 분석 프로그램에도 이미 많은 야구 팬들이 출연하고 있다. 그들의 직업이 무엇이던 간에 말이다. 그게 현대사회이다. 따라서 일반 야구팬이나 역사학자, 변호사는 방송에 출연해도 되고 PD는 출연하면 안되는 것인가에 대해서는 분명 반론의 여지가 많다. 게다가 이석재 PD의 경우는 오랫동안 야구중계를 담당해 온 PD로서 전문성을 가지고 있으며 또 회사에서 적극적으로 출연을 독려한 것으로 전해진다.
스포츠센터장에서 내려온 이후 엠스플 야구중계는 전혀 하지 않고 있음에도 엠스플 중계에 불만이 생기면 아직도 이석재 PD를 욕하는 엠팍러들이 많이 있는 것도 참 코미디같은 일이다. 정년 퇴직이 불과 5년정도 밖에 남지 않은 시니어인데 이러다가 정년 퇴직후에도 엠스플 중계에 불만이 생기면 욕을 먹을 기세다. ㅋㅋ(물론 그가 연출하지 않았음에도 뭔가 감동을 받은 영상이 있을 때, 이석재 PD님 감사합니다와 같은 댓글도 달린다.)
이석재 PD는 현재 MBC 지상파 야구중계만 담당하고 있다. 선데이 베이스볼과 포스트시즌을 중계하고 있으며 이전 지상파 중계에 비해 훨씬 뛰어난 연출력을 보이고 있다.
월요일과 토요일에는 MBC 라디오 이재은의 아이러브 스포츠 중 <먼데이 베이스볼>과 <명예의 전당>을 진행하고 있으며 엠팍러들이 중심이 된 팬 집단과는 다르게 미니에 주로 상주하는 라디오팬들에게는 매우 인기가 높다.
2025년 5월에는 <영화로 만나는 우리들의 슈퍼스타>라는 제목의 책을 출간했고 북콘서트와 도서관 강의 등을 다니며 영향력을 넓히고 있다. 책 출간한지 한달도 되지 않아 2쇄 소식을 알리는 등 베스트셀러를 기록 중이며 예스 24 대중예술 TOP100 5주를 기록한 것으로 보아 정확한 판매부수는 모르지만 꾸준히 팔리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6. 더 글로리의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글로리/등장인물#s-9.1|9.1]]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더 글로리/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