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4-07 09:45:36

윤영상

<colbgcolor=#003764><colcolor=#fff> 전북대학교 교수
윤영상
尹英相 | Yeoung-Sang YUN
파일:윤영상 교수.png
출생 1968년 5월 21일 ([age(1968-05-21)]세)
충청남도 아산군 인주면 해암리 한잣골[1]
(現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해암리)
본관 파평 윤씨
현직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교수
JBNU Star Fellow
한국공학한림원 일반회원
세계 상위 2% 과학자(Elsevier/Stanford)
Scientific Reports 편집위원
전직 전북대학교기획처장
(주)엡틀러스 창업자/대표이사
개교 이래 최초 정교수 조기승진
반도체화학공학교육연구단장(BK21)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003764><colcolor=#fff> 부모 아버지 윤태규 어머지 홍정애
배우자 김경화
자녀 슬하 2남 1녀
학력 금성국민학교 (졸업)
인주중학교 (졸업)
북일고등학교 (졸업)
서강대학교 (화학공학 / 학사)
포항공과대학교 (화학공학 / 석사 · 박사)
병역 육군 병장 만기전역
약력 McGill University 포스닥
University of Alabama 방문교수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부학장
전북대학교 기획부처장
전북대학교 화학공학부 학부장
전북대학교 반도체화학공학부 학부장
(재)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이사
한국화학공학회 전북지부장
한국생물공학회 전북지부장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RB)
J. of Environ. Chem. Eng. 편집위원
Scientific Reports 편집위원
}}}}}}}}}
1. 개요2. 생애3. 교육 철학
3.1. 학부 교육3.2. 대학원 교육
4. 대학 행정
4.1. 학부구조 혁신-내부 역량을 결집하는 구조로!4.2. 교육혁신-기초학력 강화4.3. 대학 혁신-지역과 함께 하는 대학다운 대학4.4. 연구 혁신-연구의 질적 향상!
5. 연구6. 봉사 활동
6.1. 학내6.2. 대외6.3. 학계
7. 수상 내역
7.1. 전북대학교 수상7.2. 학술 수상
8. 여담9. 미래 계획


1. 개요

윤영상(尹英相, Yeoung-Sang Yun)은 대한민국의 화학공학자이자 교육자이다. 현재 전북대학교 공과대학 화학공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 자기주도적 학습을 강조하는 교육철학과 함께, 학사조직 개편, 대학원 교육 혁신, 연구개발, 학내외 봉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동하고 있다.
‘보여줌으로써 가르친다’는 자세로, 학생들에게 지식은 물론 삶의 태도까지 전하고자 한다.

2. 생애

1968년 5월 21일, 충청남도 아산군 인주면 해암리(한잣골)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공무원이자 농부였으며, 어린 시절에는 책 읽기와 글쓰기를 좋아하는 문학소년이었다. 금성국민학교, 인주중학교를 졸업하고 천안으로 유학해 북일고등학교를 나왔다.

이후 서강대학교에서 화학공학을 전공했고, 포항공과대학교에서 석·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 박사후에는 캐나다 McGill University에서 포스트닥을 수행했고, University of Alabama에서 방문교수로 재직했다. 전북대학교에 임용되어 정교수로 조기 승진하였으며, 대학원 시절 함께 연구하던 동료와 결혼해 2남 1녀를 두고 있다.

3. 교육 철학

교육자로서 학부와 대학원 교육 모두에서 자기주도적 역량 강화를 핵심 가치로 삼는다.

3.1. 학부 교육

지식 이해에 그치지 않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실천형 인재 양성을 지향한다.
화학공학 실험 과목의 교재를 공동 집필했고, 고가의 발효기를 활용한 잔탄 생산 실험 등을 도입하여 실습 중심의 교육을 강화했다.

또한, ‘습관이 인생을 바꾼다’ 프로젝트를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적 학습을 지원하며, 게임 중독 탈피, 경제신문 스크랩, 취업 성공 등 구체적인 성과도 거두었다.

3.2. 대학원 교육

"기본이 탄탄하고 호기심이 충만한 독립적인 연구자"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43명의 대학원생을 배출했다. 그 중 9명이 교수로 임용되었고, 3명은 창업에 성공하였다.

4. 대학 행정

4.1. 학부구조 혁신-내부 역량을 결집하는 구조로!

공과대학 부학장 시절 (2006~2008), 기존의 세부 전공 중심 구조에서 발생하는 교수 간 갈등과 구조적 문제를 해소하고자 전공 통합 중심의 학사조직 개편을 단행했다.
2008년부터 화학공학부 내에 에너지화학공학, 나노화학공학, 생명화학공학의 세부 전공을 두되, 교수는 학부 소속으로 전환하였고, 협업 중심의 조직문화 정착에 기여했다. 이 결과 화학공학부는 이후 US News 세계대학평가에서 화학공학 분야 세계 134위를 기록하였다.

4.2. 교육혁신-기초학력 강화

기획부처장 시절 (2010~2012), 신입생의 기초학력 편차 문제 해결을 위해 국립대 최초수준별 분반 수업4학기제를 도입하였다. 이는 학사경고자 감소, 취업률 향상 등 실질적 교육성과로 이어졌으며, 특히 수준별 수업의 교육효과는 BC비율 5.73로 분석되었다.

4.3. 대학 혁신-지역과 함께 하는 대학다운 대학

기획처장 시절 (2019~2021), 대학 영문명을 기존 CBNU에서 JBNU로 변경하여 지역 정체성을 강화하였다. 한옥 정문과 콘크리트 정문의 부조화를 해소하여 캠퍼스 조화를 이루었으며, 연구처 신설, 대학원생 반값 등록금 실현 등 여러 혁신을 추진하였다.

4.4. 연구 혁신-연구의 질적 향상!

BK21 단장 (2020~2024)을 맡으면서 질 중심 연구평가체계 도입, 신입생 수 증가, SCIE 상위 10% 논문 비율 36.1%, 평균 IF 7.6 등 가시적 성과를 거두었다. 그 결과, 2025년 US News 세계대학평가에서 전북대 화학공학은 세계 134위, 국내 4위에 선정되었다.

5. 연구

환경소재 및 청정공정 분야의 세계적 석학이다.
* h-index: 79 (Google Scholar 기준)
* 총 인용 횟수: 26,000회 이상
* 세계 상위 2% 과학자 (Stanford/Elsevier, 5년 연속 선정)

희소금속 회수, 폐배터리·폐PCB 재활용 기술 등을 개발하였으며, 관련 기술을 여러 기업에 이전하고 산업 현장에 적용되었다. 이를 기반으로 ㈜엡틀러스를 창업, 기술보증기금으로부터 30억 원 보증을 받았으며 해외 투자 의향서도 확보하였다.

6. 봉사 활동

6.1. 학내

다양한 대학 보직을 맡아 조직 운영 및 정책 혁신에 기여하였다.

* 공과대학 부학장 (2006~2008)
* 기획부처장 (2010~2012)
* 스마트정보화추진단 부단장 (2019~2021)
* 반도체화학공학교육연구단(BK21) 단장 (2020~2024)
* ACE 사업단, 공학교육혁신센터, 화학공학부장 등 다수 활동

6.2. 대외

중앙정부 및 지역사회에서 다양한 위원 활동을 수행하며 국가 과학기술 발전에 이바지하고 있다.

* 환경부, 과기부, 중기청, 전라북도, 전주시, 전북바이오융합산업진흥원 등 위원
* 한국연구재단 전문위원(RB)
* 농축산용미생물산업육성센터 운영위원
* 환경R&D 민간협의분과위원 등

6.3. 학계

* 한국화학공학회, 한국생물공학회 전북지부장
* *Journal of Environmental Chemical Engineering*, *Scientific Reports* 편집위원
* European Research Council 평가위원

7. 수상 내역

7.1. 전북대학교 수상

* 동행상 2회 (2021, 2019)
* 학술상 7회 (2007~2021)
* 참스승상 (2017)
* JBNU Star Fellow (2021)
* 연구기여/기술이전 명예의 전당 (2024)

7.2. 학술 수상

* APCChE Outstanding Paper Award (2004)
* 대한환경공학회 학술논문상 (2005, 2006)
* 한국공업화학회 우수논문상 (2007, 2013)
* 한국화학공학회 공로상 (2009)
* Elsevier Most Downloaded Paper / Top Cited Paper (2013)
* 세계 상위 2% 과학자 (Stanford/Elsevier, 2020~2024)

8. 여담

* 학창 시절, 글쓰기와 독서를 좋아하는 문학소년이었다.
* 외유내강 스타일로 평가되며, 후배 교수 및 학생들에게 멘토 역할을 하고 있다.
* 학생들에게 "자기 삶을 스스로 설계하고 실천할 수 있는 역량"을 전하는 것이 목표.
* 숙제를 많이 내고 강의 강도가 쎈 것으로 유명한 교수. 무엇을 상상하든지 그 이상이라는 평가.
* 학생 상담에 진심이 교수. 한 학기에 두 번 상담은 기본이고, 매 주 "습관이 인생을 바꾼다" 프로젝트 이행결과를 이메일로 받고 있음.

9. 미래 계획

앞으로도 참스승으로서 학생들의 삶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교육자, 그리고 새로운 기술을 실용화해 산업 발전에도 기여하는 연구자로 살아가고자 한다. 작은 연구실에서도 세계 수준의 연구 성과를 이뤄낼 수 있다는 걸 계속 보여주겠다는 각오이다.







[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