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bordercolor=#2B4FA9> | CLASS LIST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고유 클래스 | |||
| 로드 하이 로드 | 프리스티스 하이 프리스티스 | 크루세이더 발키리아 | 엘프 시빌라 | |
| 엘프 아우구르 | 스노 레인저 | 워 라이온 | 팔라딘 | |
| 프린스 | 드레드노트 | 다크 마퀴스・도끼 | 다크 마퀴스・검 | |
| 범용 클래스 | ||||
| 파이터 뱅가드 | 솔저 서전트 | 허스칼 바이킹 | 소드맨 소드 마스터 | |
| 머시너리 란츠크네히트 | 호플리타이 카타프락토이 | 글래디에이터 버서커 | 워리어 브레이커 | |
| 헌터 스나이퍼 | 슈터 실드 슈터 | 시프 로그 | 나이트 그레이트 나이트 | |
| 화이트 나이트 세인트 나이트 | 블랙 나이트 둠 나이트 | 클레릭 비숍 | 위저드 워록 | |
| 위치 소서리스 | 샤먼 드루이드 | 와이번 나이트 와이번 룰러 | 그리폰 나이트 그리폰 룰러 | |
| 엘프 펜서 | 엘프 아처 | 워 울프 | 워 폭스 | |
| 워 베어 | 워 아울 | 페더 소드 | 페더 보우 | |
| 페더 로드 | 페더 실드 | |||
| 적 전용 클래스 | ||||
| 네크로맨서 | 다크 로드 | 오버로드 | 다크 마퀴스・창 | |
| 다크 마퀴스・지팡이 | 빙의 드레드노트 | |||
1. 개요
| |
| 페더 소드 |
- 페더 소드 -
'페더 소드'는 자신을 강화시키는 것이 특기로 공수의 균형이 좋은 클래스입니다.
- 페더 소드의 활용 방법 -
자신이 버프 상태일 때 필중되는 '인핸스 러시'가 강력합니다. 회피율이 높은 척후 계통이나 비행 계통에 효과적인 공격입니다.
- 페더 소드의 약점 -
궁병 계통 중에서도 전열에서 강력한 공격을 하는 '실드 슈터'가 약점입니다.
인게임 도움말
유니콘 오버로드의 범용 클래스 중 하나. 유익인 특화 직업중 하나.'페더 소드'는 자신을 강화시키는 것이 특기로 공수의 균형이 좋은 클래스입니다.
- 페더 소드의 활용 방법 -
자신이 버프 상태일 때 필중되는 '인핸스 러시'가 강력합니다. 회피율이 높은 척후 계통이나 비행 계통에 효과적인 공격입니다.
- 페더 소드의 약점 -
궁병 계통 중에서도 전열에서 강력한 공격을 하는 '실드 슈터'가 약점입니다.
인게임 도움말
2. 정보
| 페더 소드 | |
| 회피와 마법 방어가 뛰어난 성능. 주간에 스킬이 강화된다 회피율을 낮추는 스킬을 지녔다 비행 특효를 지닌 헌터에게 약하다 | |
| 클래스 타입 | 검 / 방패 / 비행 / 유익인 |
| 클래스 특성 | 지상 근접 공격의 명중률 반감 |
| 스태미나 | 4 |
| 이동 타입 | 비행 |
| 어시스트 | - |
| 이동력 | 150 |
| 리더 효과 | 비행: 지형이나 지상 기믹을 무시하고 이동 가능 |
| 스테이터스 | ||||
| AP ◆◆ PP ◆◆ | ||||
| <rowcolor=#000> HP | 물리공격 | 물리방어 | 마법공격 | 마법방어 |
| C | C | C | D | B |
| <rowcolor=#000> 명중 | 회피 | 치명타율 | 가드율 | 행동속도 |
| B | S | E | B | C |
| 장비 슬롯 | ||
| 무기 1 | 방패 1 | 액세서리 2 |
| 친밀도 보너스 | ||
| 회피, 가드율 | ||
3. 스킬
3.1. 액티브 스킬
◆ 스파이럴 소드 |
| 물리 위력: 100 / 히트 수: 1 / 명중 배율: 100% / 특성: 원거리 |
| 적 하나를 공격한다. 대상의 회피 -20, 자신의 회피 +20 |
공격 | Lv 1 |
◆ 실드 스마이트 |
| 물리 위력: 100 / 히트 수: 1 / 명중 배율: 100% / 특성: 원거리 |
| 적 하나를 공격한다. 대상의 방어력 -20%, 자신의 방어력 +20% |
공격 | Lv 10 |
◆◆ 인핸스 러시 |
| 물리 위력: 70 / 히트 수: 3 / 명중 배율: 100% / 특성: 원거리 |
| 적 하나를 공격한다. 자신이 버프 상태인 경우 필중 공격이 된다 |
공격 | Lv 30 |
3.2. 패시브 스킬
◆ 액셀러레이트 |
| - |
| 액티브 스킬로 공격을 받았을 때 발동 자신의 행동 속도 +20, 명중 +30(중복 가능) |
보조 | Lv 1 |
◆ 다이어널 가드 |
| - |
| 물리 공격을 받기 직전에 발동 적의 공격을 가드(중)로 막는다. 주간인 경우 자신의 PP +1 |
보조 | Lv 15 |
◆ 디스차지 |
| - |
| 자신이 액티브 스킬로 공격하기 전에 발동 자신의 모든 버프를 해제하고 해제한 수 X 15%만큼 1번만 자신의 공격력 상승 |
보조 | Lv 25 |
3.3. 브레이브 스킬
◆ 헤이스트 |
| 아군 유닛에게 걸린 전투 대기 무효화 (효과 시간: 10초) |
보조 |
4. 고유 캐릭터
5. 운용
소드맨의 유익인 베리에이션. 비병 태생 버프로 지상군의 공격은 회피하고, 회피가 통하지 않는 화살과 비병의 공격은 방패의 가드로 막으며 딜도 어느 정도 넣는 역할이다. 공/수 스테이터스가 모나지 않고 균형잡힌 성장률을 보여주어 클래스 설명대로 '뛰어난 공수 균형'을 보여주는 딜탱이지만, 다른 말로 하면 딜과 탱 둘 다 어정쩡하다는 뜻도 된다. 절대로 죽지 않는다거나 팀원을 지켜줄 수 있는 단독 탱커처럼 든든하진 않으며, C급인 물공과 낮은 치명타율을 가졌고 공격 스킬이 단일 대상밖에 없어서 서브딜러 정도만 가능하다. 소드맨과 마찬가지로 활용면에서 직관성이 상당히 떨어지는 편.직관성을 떨어뜨리는 대표적인 원흉은 무려 레벨 30에나 풀리는 최종기인 인핸스러시가 원인인데, 마침 직전 단계에서 풀리는 디스차지가 중첩형 공격력 버프기인데다 튜토리얼에서도 필중 판정의 인핸스 러시를 적극 이용하라고 권장하는 탓이 크다. 데미지 배율이 토탈 210에다 디스차지 버프까지 있으니 공격력 버프를 쌓은 브레이커나 란츠크네히트의 공격처럼 강력한 필살기일 것 같지만, 실제론 상술한 애매한 물공 성장과 낮은 치명타율 때문에 조금이라도 단단한 상대를 잡으려면 4중첩 디스차지 정도는 돌려야 유의미한 데미지가 나온다. 게다가 인핸스 러시는 스파이럴 소드나 실드 스마이트와 달리 버프/디버프가 안 달려 있기 때문에, 이걸로 확실히 적을 잡지 못하면 AP만 많이 날리고 디버프도 못 걸고 본인 방어 버프도 못 쌓는 최악의 상황을 불러온다. 소드맨의 메테오 스트라이크와 마찬가지로 아무때나 사용하면 오히려 손해를 보는 스킬이며, 정말로 확실하게 통하는 상황에서만 사용하는 것이 좋다.
소드맨과 차별화되는 장점은 비행 클래스 특성상 원거리 공격으로 후열의 물몸부터 노릴 수 있다는 것. 다만 공격력이 상당히 애매해서 물몸 상대로도 한방컷이 안 나는 경우가 많다. 대신 기본 공격의 버프/디버프 특성 덕에 물몸을 탱커가 커버해 막히더라도 탱커에게 디버프를 겸사겸사 넣을 수 있어 어느 정도 탱커-물몸 조합의 카운터 역할이 가능한 서브 디버퍼이다.
메인 딜러 중에서는 기절/빙결같은 상태 이상을 바르거나 높은 공격력으로 바로 적을 삭제해버리는 클래스가 많아 딜만 봐서는 메리트가 상당히 떨어진다. 페더 소드를 제대로 활용하려면 주력공격기에 버프&디버프가 붙어 있는 부분을 적극 활용해야 한다. 기본 공격기 스파이럴 소드/실드 스마이트를 이용해 디버프를 적절히 발라놓은 뒤 뒤이어 아군의 추격으로 마무리 하는 것. 어디까지나 '탱킹이 되는 것 치고는 딜이 나쁘지 않다'는 데 의의를 두고, 페더 보우나 워 폭스처럼 추격 스킬이 달린 팀원의 도움을 받아야 확실하게 디버프와의 시너지로 유효타가 들어가는 편이다.
정 사용이 까다롭다면 아예 버퍼 클래스를 대동한 다음 1턴 인핸스 러시 전술을 쓰는 것도 방법이 된다. 버프시 필중 판정이 되는 점에 착안하여 철저하게 비행/척후 위주로만 저격하면 서브딜러로서 1인분이 가능하다. 대표적으로 궁합이 좋은 버퍼는 프린스이며, 이외에도 1열 버퍼인 공격력 버프를 주는 워 울프, 회복 버프를 주는 페더 로드 / 워 아울도 좋은 선택지가 된다. 아니면 물리 탱커를 뚫기 위한 미스틱 세이버 부여 및 전체 디버프 무효 버프를 걸어주는 엘프 아처 궁합도 좋다.
종합하면 상대 유닛에 따라 공격도 골라 써야 하고, 행속/회피/방어/공격 중 너무 한 능력치만 올려도 안 되며, 팀원 조합까지 많이 타는 고난이도 클래스다. 작전 운영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까다로운 면모가 있어서 이를 생각 안하고 운영하면 그냥 애로커버도 없이 날아다니기만 하는 파이터 그 이하이므로 작전 설정이나 전술 방향을 잘 생각해야 한다.
최소 알비온에 진입해야 용병 고용 가능한 이 클래스를 미리 맛볼 기회가 있는데 바로 오쿨리스이다. 코르니아 지방 초반부에 조우 가능한 오쿨리스는 하늘의 조각 수집 30개 보상으로 영입도 가능한데, 근접 공격 명중률을 반감시키는 비병 속성 덕분에 초반에 한정하여 회피탱커로서 나름 높은 방호력을 제공하는 편.
다만 오쿨리스 영입 스테이지에서 처음 써보면 알겠지만, 딱히 캐리력이 좋은 클래스가 아니라서 상위직이라고 막 쓸 경우 상성 클래스인 헌터 망루 근처에서 애로 레인을 맞고 퇴각당하기 딱 좋다. 시기상으로도 활약하기 애매한 것이, 드라켄가르드에 진입하면 똑같이 전열 회피탱 비병인 와이번 나이트가 나오고 클래스 전직이 풀리며 상위직과 비병이라는 장점의 힘이 빠지기 시작한다. 또한 척후병처럼 확정 회피 스킬이 있는 게 아닌데 방어력도 딱히 높지 않아서 불의의 일격에 상당히 취약하다. 특히 난이도가 올라가면 적 스탯이 살벌해져서 회피가 뚫렸을 때 한방, 한방이 치명타가 된다. 보통 이런 회피탱의 불안정성은 불사 버프를 걸어서 보완이 가능하지만, 불사 버프를 가진 페더 로드와 세트인 클래스임에도 디스차지의 특성 때문에 불사 버프를 스스로 없애버려 궁합이 좋지 않다. 딱 혼자 살기 적당한 정도의 방어력을 가지고 있으니, 페더 소드 하나만 믿고 단독 탱킹을 맡기거나 장비를 통해 커버 스킬을 줘서 후열 보호를 지정하는 작전 운용은 비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