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작의 주인공 울트라맨에 대한 내용은 울트라맨 아크(울트라맨) 문서 참고하십시오.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d700 {{{#!folding [ 쇼와 시리즈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쇼와 1기 | ||||||
울트라 Q (1966) | [A] 울트라맨 (1966) | 울트라 세븐 (1967) | ||||||
쇼와 2기 | ||||||||
[A] 돌아온 울트라맨 (1971) | 울트라맨 에이스 (1972) | 울트라맨 타로 (1973) | 울트라맨 레오 (1974) | |||||
쇼와 3기 | ||||||||
더★울트라맨 (1979) | 울트라맨 80 (1980)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d700 {{{#!folding [ 헤이세이 시리즈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헤이세이 1기 (TDG) | |||
[A] 울트라맨 티가 (1996) | 울트라맨 다이나 (1997) | 울트라맨 가이아 (1998) | ||
헤이세이 2기 (하이 컨셉 울트라 시리즈) | ||||
[A] 울트라맨 코스모스 (2001) | ULTRA N 프로젝트 | 울트라맨 맥스 (2005) | ||
ULTRAMAN (2004) | 울트라맨 넥서스 (2004) | |||
[A] 울트라맨 뫼비우스 (2006)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d700 {{{#!folding [ 뉴 제네레이션 시리즈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울트라맨 제로 시리즈 | |||
대괴수 배틀 울트라 은하전설 THE MOVIE (2009) | 울트라 은하전설 외전: 울트라맨 제로 VS 다크롭스 제로 (2010) | 울트라맨 제로 THE MOVIE: 초결전! 베리알 은하제국 (2010) | 울트라맨 제로 외전: 킬러 더 비트스타 (2011) | |
울트라맨 사가 (2012) | 울트라 제로 파이트 (2012) | |||
뉴 제네레이션 히어로즈 | ||||
울트라맨 긴가 (2013) | 울트라맨 긴가 S (2014) | 울트라맨 X (2015) | [A] 울트라맨 오브 (2016) | |
울트라맨 지드 (2017) | 울트라맨 R/B (2018) | 울트라맨 타이가 (2019) | 울트라맨 Z (2020) | |
[A] 울트라맨 트리거: NEW GENERATION TIGA (2021) | 울트라맨 데커 (2022) | 울트라맨 블레이자 (2023) | 울트라맨 아크 (2024)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d700 {{{#!folding [ 재방송 시리즈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울트라맨 보이의 우루코로 (2003) | 울트라맨 열전 (2011) | 신 울트라맨 열전 (2013) | |
크로니클 시리즈 | ||||
울트라맨 제로 THE CHRONICLE (2017) | 울트라맨 오브 THE CHRONICLE (2018) | 울트라맨 뉴 제네레이션 크로니클 (2019) | 울트라맨 크로니클 제로 & 지드 (2020) | |
울트라맨 크로니클 Z 히어로즈 오디세이 (2021) | 울트라맨 크로니클 D (2022) | 울트라맨 뉴 제네레이션 스타즈 (2023)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d700 {{{#!folding [ 기타 미디어 믹스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 만화 | |||||||
더 울트라맨 (1975) | 울트라맨 초투사격전 (1993) | 울트라맨 STORY 0 (2005) | ULTRAMAN (2011) | |||||
THE RISE OF ULTRAMAN (2020) | DARKNESS HEELS -Lili- (2021) | ULTRAMAN: ANOTHER GENE (2022) | ||||||
애니메이션 | ||||||||
더★울트라맨 (1979) | 울트라맨 키즈의 속담 이야기 (1986) | 울트라맨 USA (1987) | 울트라맨 키즈 엄마 찾아 3000만 광년 (1991) | |||||
괴수 걸즈 ~울트라 괴수 의인화 계획~ (2016) | 괴수 걸즈 (블랙) ~울트라 괴수 의인화 계획~ (2018) | ULTRAMAN (2019) | 울트라맨: 라이징 (2024) | |||||
소설 | ||||||||
The Spirits of TSUBURAYA PRODUCTION WORLD Another Genesis (2011) | 울트라맨 시스터즈 (2012) | 울트라맨 F (2015) | 울트라맨 듀얼 (2016) | |||||
무대 | ||||||||
DARKNESS HEELS (2018)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FFD700,#FFF {{{#!folding [ 각주 ] {{{#!wiki style="margin-bottom: -5px;" | [A]: 애니버서리 히어로즈 울트라맨: 초대작 돌아온 울트라맨: 5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티가 & 제아스: 3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코스모스: 35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뫼비우스: 4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오브: 50주년 기념작 울트라맨 트리거: 55주년 기념작 |
}}}}}} ||
}}}}}}}}} ||
<rowcolor=#fff,#fff> 울트라맨 아크 (2024) ウルトラマンアーク ULTRAMAN ARC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 <colbgcolor=#ff0000><colcolor=#fff> 방영 기간 | <colcolor=#000,#fff>2024년 7월 6일 ~ 2025년 1월 18일 | ||
방영 시간 | 토 / 오전 9:00 ~ 9:30 | |||
방영 횟수 | 25화 | |||
채널 | 테레비 도쿄 유튜브 (영어판 더빙) 텐센트 비디오 ViuTV MOMO TV RTV 채널 7 FPT 플레이[1] | |||
제작사 | 츠부라야 프로덕션 테레비 도쿄 덴츠 | |||
제작진 | <colbgcolor=#FF0000><colcolor=white>원작 | 츠부라야 프로덕션 | ||
감독 | 츠치모토 타카노리 외 | |||
각본 | 츠기타 쥰 외 | |||
프로듀서 | 테레비 도쿄 오이시 준코 츠부라야 프로덕션 키타우라 츠구미, 오카모토 유스케 보조 덴츠 타나카 와타루 | |||
음악 | 하야시 유키 | |||
출연 | 토츠카 유키, 니시 코이치로, 카네타 쇼, 미즈타니 카호 외 | |||
첫 에피소드 | 미래를 향해 달리는 원호(아크) ([ruby(未来, ruby=みらい)]へ駆ける[ruby(円弧, ruby=アーク)]) | |||
스트리밍 | ||||
사이트 |
[clearfix]
1. 개요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FF207F, #FF0D55, #FF0745, #FF0000, #FF0000, #FF0000, #FF2222, #FF2727, #FF3939)" 발휘하라! 상상의 힘! 解き放て! 想像の力! 캐치프레이즈 |
==# 공개 정보 #==
- 2024년 4월 5일, 티저 비주얼과 1차 PV의 공개와 동시에 방영 시작일이 공개되었다. 작품의 감독은 뉴 제네레이션 시리즈부터 합류한 츠지모토 타카노리이며, 주인공 히제 유마 역의 토츠카 유키의 캐스팅 또한 공개되었다.[2]
- 2024년 4월 26일부터 5월 13일까지 7일 간격으로 주요 등장인물들의 프로필 및 캐스팅이 공개되었다.
- 2024년 5월 31일, 본작의 오프닝과 엔딩 곡을 2인조 일렉트로니카 그룹 access와 5인조 보컬 유닛 ARCANA PROJECT가, OST는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와 하이큐!! 등의 OST 작곡을 맡았던 하야시 유키가 담당한다는 정보가 공개되었다.
- 2024년 6월 7일, 2차 PV가 공개되었다.
- 2024년 6월 29일, 미리보기 스페셜 영상이 공개되었다.
1.1. PV
1차 PV |
2차 PV |
1.2. 키 비주얼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티저 비주얼(영어) | 키 비주얼(영어) |
2. 줄거리
어느 마을, 호시모토시. 시내의 시시오산에는 이채로운 거대한 물체가 우뚝 서 있었다. 모노혼이라 불리는 그것은 16년 전에 일어난 어느 사건 당시부터 꽂혀 있던 괴수의 뿔이었다. 세계 각지에서 괴수가 동시에 출현한 K-DAY로 불리는 사건 이후, 괴수 재해는 일상이 되어 일본에서는 지구방위대가 무력으로 괴수에 대처하는 한편, 괴수방재 과학조사소·통칭 SKIP은 괴수 재해의 발생·심대화를 막기 위해, 지역에 밀착해 과학 조사나 대피 유도를 실시하고 있다. 이 SKIP이 지금도 조사를 이어나가고 있는 모노혼은 K-DAY 때 출현한 우주수 모노게로스의 뿔이었다. 시시오산에서 부모와 캠핑 중 모노게로스와 마주친 당시 7세였던 히제 유마는 기적적으로 상처 없이 생환한 것을 계기로 괴수생물학 연구의 길을 걷는다. 아픈 과거를 가졌음에도 꿈꾸는 상상의 힘을 잃지 않고 성장한 유마는 신인 조사원으로서 SKIP 입소가 결정되어 호시모토시 분소에 배속되었다. 하지만 그런 참에 호시모토시에 대규모 괴수 재해가 발생. 눈 앞에 있는 절체절명의 사람들을 「지키고 싶다!」라는 그 강하고 곧은 생각이 마음속 깊은 곳에서 우러나오는 순간, 유마의 뇌리에 어릴 적 본 빛의 사자 루티온이 말을 건넨다. 「나는 너고, 너는 나다... 상상력을 발휘하렴!」 손 안에 나타난 신비의 빛이 유마의 몸을 감싸자, 풀어낸 상상의 힘이 빛과 사람을 하나로 엮어 미래를 지키는 빛의 거인 울트라맨 아크로 변신! 소중한 동료와 함께, 유마가, 그리고 울트라맨 아크가, 끊이지 않는 꿈을 쫓아 지금 달리기 시작한다! |
3. 주제가
3.1. OP
자세한 내용은 arc jump’n to the sky 문서 참고하십시오.<colcolor=#fff> OP arc jump’n to the sky | |
<colbgcolor=#FF0000> 노래 | <colbgcolor=#fff,#2d2f34> access |
작사 | 타카미 히로유키 |
작곡 | 아사쿠라 다이스케 |
편곡 |
3.2. ED1
<colcolor=#fff> ED1 メラメラ Sizzling 이글이글 | |
<colbgcolor=#FF0000> 노래 | <colbgcolor=#fff,#2d2f34> ARCANA PROJECT |
작사 | 사에키 youthk |
작곡 | |
편곡 |
3.3. ED2
<colcolor=#fff> ED2 ミチカケ Running 미치카케 | |
<colbgcolor=#FF0000> 노래 | <colbgcolor=#fff,#2d2f34> ARCANA PROJECT |
작사 | 사에키 youthk |
작곡 | |
편곡 |
4. 등장인물
자세한 내용은 울트라맨 아크/등장인물 문서 참고하십시오.4.1. 등장 울트라맨
- 울트라맨 아크
자세한 내용은 울트라맨 아크(울트라맨) 문서 참고하십시오.
- 울트라맨 블레이자
자세한 내용은 울트라맨 블레이자(울트라맨) 문서 참고하십시오.
5. 등장 단체
- GDF(Global Defense Force)
괴수와 우주인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설립된 범국가적 조직. 사람의 안전을 위협하는 괴수와 우주인에 무력으로 대응하는 것이 주된 임무이며, 본작에서는 일본 지부인 GDFJ(Global Defense Force Japan)가 주로 등장한다.
6. 아이템
6.1. 키 아이템
6.2. 변신 아이템
6.3. 무장
7. 용어
- K-DAY
16년 전, 전세계에서 괴수들이 동시에 대량발생한 날. 당시 일본에서는 우주수 모노게로스를 포함한 7마리의 괴수가 나타났으며, 이 날을 기점으로 호시모토시에서 괴수의 발생은 일상이 되었다.
8. 등장 괴수 & 우주인
자세한 내용은 울트라맨 아크/괴수 & 우주인 일람 문서 참고하십시오.9. 방영 목록
<rowcolor=#ffffff> 화수 | 제목 | 각본 | 감독 | 방영일 |
제1화 | 미래를 향해 달리는 원호(아크) (未来へ駆ける[ruby(円弧, ruby=アーク)]) | 츠기타 쥰 (継田淳) | 츠지모토 타카노리 (辻󠄀本貴則) | 2024.07.06. |
제2화 | 전설은 숲속에 (伝説は森の中に) | 2024.07.13. | ||
제3화 | 상상력을 발휘하라 (想像力を解き放て!) | 2024.07.20. | ||
제4화 | 현재 괴수 추적 중 (ただいま怪獣追跡チュウ)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타케스에 마사요시 (武居正能) | 2024.07.27. |
제5화 | 언덕 위의 바다 (峠の海) | 네모토 토시조 (根元 歳三) | 2024.08.03. | |
제6화 | 아케보노 여관에 오신 걸 환영합니다 (あけぼの荘へようこそ) | 츠기타 쥰 (継田淳) | 2024.08.10. | |
특별총집편① | SKIP 후지야마시 분소에서 (SKIPフジヤマ市分所にて)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하타 토시키 (秦敏樹) | 2024.08.17. |
제7화 | 보름달의 대답 (満月の応え) | 카츠야 쿄코 (勝冶京子) | 코시 토모노부 (越知靖) | 2024.08.24. |
제8화 | 인터넷 카네곤 (インターネット·カネゴン) | 요시가미 료 (吉上亮) | 2024.08.31. | |
제9화 | 잘 가, 린 (さよなら、 リン) | 네모토 토시조 (根元 歳三) | 우치다 나오유키 (内田直之) | 2024.09.07. |
제10화 | 멀리 있는 너에게 (遠くの君へ)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2024.09.14. | |
제11화 | 메세지 (メッセージ) | 혼다 마사야 (本田雅也) | 타케스에 마사요시 (武居正能) | 2024.09.21. |
제12화 | 너는 기바스 (お前はギヴァス) | 2024.09.28. | ||
제13화 | 슈의 리포트 (シュウのレポート)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스즈키 마사야 (鈴木農史) | 2024.10.05. |
제14화 | 과거의 섬광 (過去の瞬き) | 츠기타 쥰 (継田淳) | 츠지모토 타카노리 (辻󠄀本貴則) | 2024.10.12. |
제15화 | 방황하는 미래 (さまよえる未来) | 2024.10.19 | ||
특별총집편② | SKIP 미야코시 분소에서 (SKIPミヤコ市分所にて)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하타 토시키 (秦敏樹) | 2024.10.26 |
제16화 | 공포의 빛 (恐れの光) | 네모토 토시조 (根元 歳三) | 코시 토모노부 (越知靖) | 2024.11.02. |
제17화 | 참귀유성검 (斬鬼流星剣) | 나카노 타카오 (中野貴雄) | 2024.11.09. | |
제18화 | 아크 협력 요청 (アーク協力要請)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타케스에 마사요시 (武居正能) | 2024.11.16. |
제19화 | 초월하는 소망 (超える想い) | 네모토 토시조 (根元 歳三) | 2024.11.23. | |
제20화 | 계승되는 것들 (受け継がれるもの) | 미우라 우이코 (三浦有為子) | 아키타케 유스케 (秋武裕介) | 2024.11.30. |
제21화 | 꿈을 이뤄주는 새 (夢唉き鳥) | 나카노 타카오 (中野貴雄) | 2024.12.07. | |
제22화 | 흰색 가면의 남자 (白い仮面の男) | 혼다 마사야 (本田雅也) | 코시 토모노부 (越知靖) | 2024.12.14. |
제23화 | 세 번의 재앙 (厄災三たび) | 아시키 쥰이치로 (足木淳一郎) | 2024.12.21. | |
특별총집편③ | SKIP 호시모토시 분소의 여러분께 (SKIP星元市分所のみなさまへ) | 하타 토시키 (秦敏樹) | 2025.01.04. | |
제24화 | 빠져드는 몽환 (舞い降りる夢幻) | 츠기타 쥰 (継田淳) | 츠지모토 타카노리 (辻󠄀本貴則) | 2025.01.11. |
제25화 | 달려라, 유마! (走れ、ユウマ!) | 2025.01.18. |
10. 타임라인
- 1쿨(1화 ~ 13화)
- 3화 전반부 ~ 1화
- 2화 ~ 3화 후반부
- 4화 ~ 13화
- 2쿨(14화 ~ 25화)
- 14화 ~ 15화
- 16화 ~ 19화(울트라맨 블레이자 콜라보 에피소드)
- 20화 ~ 21화
- 울트라맨 아크 THE MOVIE: 초차원 대결전! 빛과 어둠의 아크
- 22화 ~ 25화
11. 평가
개성적이면서도 섬세한 연출, 그리고 완성도 높은 각본 구성을 바탕으로 한 수작. 전작인 울트라맨 블레이자와 같이 쇼와 울트라 시리즈를 모티브로 한 옴니버스식 구성과 이해하기 쉬운 주제 의식이 돋보이는 작품이다.가장 호평받는 특촬 파트는 화려함과는 거리가 멀지만, 기존 시리즈에서는 보기 힘든 야외 촬영씬이나 슈트와 실제 건물을 합성한 장면 등이 자주 등장해 전체적인 완성도를 높였다. 특히 아키타케 유스케 감독이 맡은 20화 중, 새벽녘에 괴수가 산의 정상에 오르는 장면의 영상미는 가히 영화에 가까운 수준이었다고 평가받는다.
타 작품에서는 보기 힘든 여러 실험적인 연출과 설정이 시도되었다는 점 또한 특기할 만 하다. 대표적으로, 카메라가 광량을 많이 받아들이도록 해 화면을 뿌옇게 만든 것은 작품의 따뜻하고 소시민적인 분위기를 시각적으로 강조하기 위함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출들은 상당히 도전적인 것이었으나, 성공적인 결과를 거둬들였다.
드라마 파트는 주로 상상력과 관련된 이야기 및, 각 캐릭터들이 고민과 갈등을 통해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주는 이야기가 중심이 된다. 그러나 호평이 압도적인 특촬 파트에 비하면 드라마에서는 다소 아쉬운 점이 있다. 방위팀이 아닌 조직이 주역으로 등장하다보니[3] 괴수 출현 후에는 대부분 피난 유도에 집중하거나, 아니면 괴수와는 별개의 드라마를 따로 진행해야 했다. 이때문에 이 작품은 울트라맨과 괴수의 전투가 에피소드의 중심 서사와 따로 노는 경우가 유달리 많은 편이다.
또한, 지구와는 별개로 루티온의 은하에서 벌어지는 사건들도 이야기에서 상당히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나 이에 대한 묘사나 설명이 지나치게 적고, 모든 사건의 원흉인 거대한 흑막 역시 건재한 상태에서 끝나버렸다.[4] 또한 흑막의 세력은 아크 급의 전사들 다수를 압도하는 수준으로 언급되어 TV 시리즈만으로는 전혀 희망적인 결말이라고 보기 어렵다.[5]
결론적으로 본작은 다른 작품에 비해 화려함이 부족하고 독특한 설정 자체에서 오는 제약도 적지 않았지만, 작품 본연의 개성을 방영 초기부터 마지막까지 잃지 않았으며, 시청자들에게 깊은 인상을 남겨 많은 찬사를 받았다.
12. 관련 작품
12.1. TV 시리즈
12.2. 외전
12.3. 극장판
13. 기타
- 방영 이전부터 돌아온 울트라맨의 오마주로 주목받았다.
- 츠치모토 타카노리 감독은 이전부터 본인이 맡은 에피소드에 자신의 반려견 무쨩[6]을 여러 방식으로 출연시키는 것으로 유명했는데, 팬들은 본작에서도 숨은 무쨩을 찾아볼 수 있을 것 같다며 기대했다. 이러한 팬들의 반응에 츠지모토 감독 또한 기대해도 좋다고 답하였고[7], 실제로 작품 내에 무쨩의 사진이 들어간 포스터 등의 소품이 등장했다.
- 괴수의 몸이 산산이 부서지는 연출이 오랜만에 사용된 작품이다. 츠치모토 감독 왈, 3D 프린터로 괴수의 모형을 뽑아낸 후 그것을 폭파해 장면을 촬영했다고 하며, 과거와는 달리 소품에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을 아낄 수 있어서 해당 연출을 자주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고 한다.
- 츠치모토 타카노리 감독은 오시이 마모루 감독의 제자로, 작품 이곳저곳에 오시이 감독에 대한 오마주가 숨겨져있다. 오시이 감독 또한 본작을 시청했으며, 호평을 남겼다.
[1] OTT 한정.[2] 이때 공개된 작품의 로고와 타이틀 백이 돌아온 울트라맨의 것과 유사해서 본작이 돌아온 울트라맨을 오마주한 게 아니냐는 추측이 있었고, 이는 감독과의 인터뷰에서 사실로 밝혀졌다.[3] 방위팀이 아닌 조직 자체는 이전 시리즈에도 등장했지만 그럴 경우 주인공은 조직에 소속되지 않고 독자적으로 행동했다.[4] 극장판은 TV 시리즈 완결 전 이야기로 흑막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는다.[5] 물론 우주경비대나 울티메이트 포스 제로, 갤럭시 레스큐 포스 등이 개입한다면 얄짤없이 쓸려나가겠지만.[6] 본명 무츠키. 2013년 1월에 태어났으며, 견종은 시바견이다. 2021년에 종양이 생겨서 왼쪽 안구를 적출하는 수술을 받았지만 큰 이상 없이 잘 살아가고 있다.[7] 다만 노화로 인한 건강 문제로 직접 출연하는 건 힘들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