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3 15:45:19

요엘 포얀팔로

요엘 포흐얀팔로에서 넘어옴
파일:팔레르모 FC 로고(명칭 제거 버전).svg
팔레르모 FC 2024-25 시즌 스쿼드
1 데플랑슈 · 3 룬트 · 4 바니야 · 6 고메스 · 7 [[프란체스코 디 마리아노|'''디마리아노
3C
]] 파일:부상 아이콘.svg · 8 [[야코포 세그레|세그레
VC
]]
9 [[마테오 브루노리|
브루노리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8em" ]] · 10 [[필리포 라노키아|라노키아]] · 11 [[로베르토 인시녜|인시녜]] · 12 [[에밀 아우데로|아우데로]] · 14 [[알리오사 바시치|바시치]] · 16 [[알프레드 고미스|고미스]]파일:부상 아이콘.svg · 17 [[페데리코 디프란체스코|디프란체스코]]
19 [[요엘 포얀팔로|
포얀팔로]] · 20 [[토마 앙리|앙리]] · 21 [[제레미 르두아롱|르두아롱]] · 23 [[살림 디아키테|디아키테]] · 24 [[잔자코모 마냐니|마냐니]] · 25 [[알레시오 부타로|부타로]] · 26 [[발레리오 베레|베레]]
27 [[니콜로 피에로치|
피에로치]] · 28 [[알렉시스 블린|블린]] · 32 [[피에트로 체카로니|체카로니]] · 43 [[디미트리오스 니콜라우|니콜라우]] · 46 [[살바토레 시리구|시리구]] · 77 [[프란체스코 디 바르톨로|디바르톨로''']] 파일:부상 아이콘.svg
파일:UEFA EURO ITA.png 알레시오 디오니시
※본 문서는 간략화한 것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타 구단으로 임대한 선수는 제외했습니다.
파일:Joel Pohjanpalo(24-25).png
팔레르모 FC No. 19
요엘 포얀팔로
Joel Pohjanpalo
[1]
<colbgcolor=#fec5cc,#1c1a1b> 출생 <colbgcolor=#ffffff,#191919>1994년 9월 13일 ([age(1994-09-13)]세)
핀란드 헬싱키
국적
[[핀란드|]][[틀:국기|]][[틀:국기|]]
신체 조건 186cm / 체중 84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소속 <colbgcolor=#fec5cc,#1c1a1b> 유스 FK-35 (1999~2005)
HJK 헬싱키 (2006~2010)
선수 클루비-04 (2010~2011)
HJK 헬싱키 (2011~2013)
바이어 04 레버쿠젠 (2013~2022)
VfR 알렌 (2013~2014 / 임대)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2014~2016 / 임대)
함부르크 SV (2020 / 임대)
1. FC 우니온 베를린 (2020~2021 / 임대)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2021~2022 / 임대)
베네치아 FC (2022~2025)
팔레르모 FC (2025~)
국가대표 77경기 16골(핀란드 / 2012~)


[clearfix]

1. 개요

핀란드 국적의 축구선수.

2. 클럽 경력

자국의 수도 헬싱키에서 태어난 그는 고향의 유스팀에서 축구를 시작했고, 2010년 클루비-04에서 프로로 데뷔한다. 그리고 그 이후 핀란드의 명문팀인 HJK 헬싱키에서 뛰기 시작했다.

2.1. 바이어 04 레버쿠젠

2013년에는 독일 분데스리가의 명문팀 중 하나인 바이어 04 레버쿠젠과 계약을 채결한다. 이후 그는 2개의 2부리그 팀에서 조금씩 경력을 쌓았고, 이후 2016-17 시즌에는 1군에 정식으로 합류했다.

그리고 등장하자마자 센세이셔널함을 보여주었다. 개막전 보루시아 묀헨글라트바흐와의 경기에서 동점골을 넣고, 함부르크전에서는 팀이 밀리는 양상 속에서 혼자서 해트트릭을 기록하며 어마어마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그 이후로 부상을 당하며 전반기 아웃되어버렸다.

2.1.1. 함부르크 SV (임대)

2019-20 시즌 후반기동안 함부르크 SV로 임대를 떠났다. 총 14경기에 출전해 9골을 득점했다. 시즌이 끝나고 원 소속팀으로 복귀했다.

2.1.2. 1. FC 우니온 베를린 (임대)

2020-21 시즌 동안 1. FC 우니온 베를린으로 임대를 떠났다. 데뷔전이었던 2라운드 1. FSV 마인츠 05전 64분 막스 크루제와 교체되어 들어가자마자 득점에 성공했다.

2.1.3. 차이쿠르 리제스포르 (임대)

2021년 9월, 차이쿠르 리제스포르로 1시즌 임대를 떠났다. 리그 33경기에 출전하여 16골을 기록하며 우무트 보조크(20골), 아유브 엘카비(18골), 마리오 발로텔리(18골)에 이어 리그 득점 순위 4위에 이름을 올렸다.

2.2. 베네치아 FC

2022년 8월 19일, 베네치아 FC로 이적했다.#

2022-23 시즌 초반 적응기를 거쳐 시즌 중반부턴 팀의 주포로 자리잡았고, 리그 38경기 19골 7도움을 기록하며 세리에 B 득점 순위 2위, 공격포인트 순위 1위에 이름을 올렸다. 그러나 이러한 포얀팔로의 활약에도 불구하고 팀은 리그 8위로 시즌을 마쳤고 승격에도 실패했다.

2023-24 시즌에도 전반기에는 다소 부진했으나 후반기에만 무려 17골을 몰아치는 기염을 토해냈고 총 리그 37경기 22골 5도움을 기록하며 세리에 B 득점왕에 등극함과 동시에 팀의 세리에 A 승격을 이끌었다.

2.3. 팔레르모 FC

24/25시즌 겨울 이적 시장이 열리자마자 득점력 난조를 겪는 팔레르모에서 러브콜을 보냈고 2025년 2월 3일, 4.75M 유로의 이적료에 연봉 170만 유로[2]로 4년 반 계약을 맺었다.

3. 국가대표 경력

파일:20210613_095932.jpg
2011년부터 청소년 국가대표팀에서 뛰기 시작했고, 1년후인 2012년 11월 14일, 키프로스와의 친선경기에서 후반 25분 티무 푸키와 교체되며 만 18세의 나이에 성인 국가대표팀으로 데뷔했다.

그리고 핀란드 역사상 최초 메이저대회인 UEFA 유로 2020 본선 진출에 공헌했다.

유로 2020 조별리그 덴마크와의 1차전에서는 핀란드의 메이저 대회 첫 득점을 기록하며 첫 승의 1등공신이 되었다.[3]

4. 같이 보기

파일:팔레르모 FC 로고(명칭 제거 버전).svg
팔레르모 FC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000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border: 0px solid; margin-bottom: -15px"
2024-25 시즌[간략]
번호 국적 포지션 한글 성명 로마자 성명 비고
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세바스티아노 데플랑슈 Sebastiano Desplanches
3 파일:미국 국기.svg DF 크리스토퍼 룬트 Kristoffer Lund
4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DF 라얀 바니야 Rayyan Baniya [A]
6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클라우디오 고메스 Claudio Gomes
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프란체스코 디 마리아노 Francesco Di Mariano 3주장
8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야코포 세그레 Jacopo Segre 부주장
9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마테오 브루노리 Matteo Brunori 주장
10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필리포 라노키아 Filippo Ranocchia
11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로베르토 인시녜 Roberto Insigne
1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에밀 아우데로 Emil Audero [B]
14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MF 알리오사 바시치 Aljoša Vasić
16 파일:세네갈 국기.svg GK 알프레드 고미스 Alfred Gomis
1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FW 페데리코 디프란체스코 Federico Di Francesco
19 파일:핀란드 국기.svg FW 요엘 포얀팔로 Joel Pohjanpalo
20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토마 앙리 Thomas Henry [C]
21 파일:프랑스 국기.svg FW 제레미 르두아롱 Jérémy Le Douaron
23 파일:말리 국기.svg DF 살림 디아키테 Salim Diakité
24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잔자코모 마냐니 Giangiacomo Magnani
2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알레시오 부타로 Alessio Buttaro
2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MF 발레리오 베레 Valerio Verre
2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니콜로 피에로치 Niccolò Pierozzi
28 파일:프랑스 국기.svg MF 알렉시스 블린 Alexis Blin
32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DF 피에트로 체카로니 Pietro Ceccaroni
43 파일:그리스 국기.svg DF 디미트리오스 니콜라우 Dimitrios Nikolaou
46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살바토레 시리구 Salvatore Sirigu
77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GK 프란체스코 디 바르톨로 Francesco Di Bartolo
<colbgcolor=#000> 클럽 정보
소유주: 시티 풋볼 그룹 / 감독: 알레시오 디오니시 / 경기장: 스타디오 렌초 바르베라
출처: 위키피디아,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8일

[간략] 스쿼드에 대한 간략한 틀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A] 트라브존스포르에서 임대[B] 코모 1907에서 임대[C] 엘라스 베로나 FC에서 임대
}}}}}}}}}}}} ||

파일: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핀란드 축구 국가대표팀 스쿼드
{{{#!wiki style="margin: 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rowcolor=#001860> 포지션 등번호 이름 생년월일 출장 클럽
<colbgcolor=#001860> GK 1 루카시 흐라데츠키 파일:주장 아이콘.svg
(Lukáš Hrádecký)
1989년 11월 24일 97 0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바이어 04 레버쿠젠
12 예세 요로넨
(Jesse Joronen)
1993년 3월 21일 20 0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베네치아 FC
23 카를요한 에릭손
(Carljohan Eriksson)
1995년 4월 25일 1 0 [[노르웨이|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사르프스보르그 08 FF
DF 2 대니얼 오쇼네시
(Daniel O'Shaughnessy)
1994년 9월 14일 23 1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HJK 헬싱키
3 유하니 피카라이넨
(Juhani Pikkarainen)
1998년 7월 30일 1 0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데게르포르스 IF
4 로베르트 이바노프
(Robert Ivanov)
1994년 9월 19일 35 0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아인트라흐트 브라운슈바이크
5 아르투 호스코넨
(Arttu Hoskonen)
1997년 4월 16일 17 1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KS 크라코비아
13 튜오마스 올리라
(Tuomas Ollila)
2000년 4월 25일 4 0 [[프랑스|
파일:프랑스 국기.svg
]] 파리 FC
15 미로 텐호
(Miro Tenho)
1995년 4월 2일 4 0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유르고덴스 IF
17 니콜라이 알호
(Nikolai Alho)
1993년 3월 12일 40 0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아스테라스 트리폴리스 FC
18 제레 우로넨
(Jere Uronen)
1994년 7월 13일 70 1 [[스웨덴|
파일:스웨덴 국기.svg
]] AIK 포트볼
22 일마리 니스카넨
(Ilmari Niskanen)
1997년 10월 12일 23 1 [[잉글랜드|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 엑서터 시티 FC
MF 6 글렌 카마라
(Glen Kamara)
1995년 10월 28일 65 2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 알 샤바브 FC
11 오니 발라카리
(Onni Valakari)
1999년 8월 18일 11 1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샌디에이고 FC
14 칸 카이리넨
(Kaan Kairinen)
1998년 12월 22일 19 0 [[체코|
파일:체코 국기.svg
]] AC 스파르타 프라하
16 우르호 니실레
(Urho Nissilä)
1996년 4월 4일 15 0 [[헝가리|
파일:헝가리 국기.svg
]] 푸슈카시 아카데미아 FC
19 안시 수호넨
(Anssi Suhonen)
2001년 1월 14일 8 0 [[독일|
파일:독일 국기.svg
]] SSV 얀 레겐스부르크
FW 7 올리버 안트만
(Oliver Antman)
2001년 8월 15일 18 6 [[네덜란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고 어헤드 이글스
8 로빈 로드
(Robin Lod)
1993년 4월 17일 74 6 [[미국|
파일:미국 국기.svg
]] 미네소타 유나이티드 FC
9 베냐민 칼만
(Benjamin Källman)
1998년 6월 17일 27 7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KS 크라코비아
10 테무 푸키
(Teemu Pukki)
1990년 3월 29일 127 42 [[핀란드|
파일:핀란드 국기.svg
]] HJK 헬싱키
20 요엘 포얀팔로
(Joel Pohjanpalo)
1994년 9월 13일 77 16 [[이탈리아|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 팔레르모 FC
21 다니엘 호칸스
(Daniel Håkans)
2000년 10월 26일 10 4 [[폴란드|
파일:폴란드 국기.svg
]] 레흐 포즈난
일정 UEFA 네이션스 리그 B 2024년 11월 15일(금) 원정 [[아일랜드|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 아일랜드
2024년 11월 18일(월) [[그리스|
파일:그리스 국기.svg
]] 폴란드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2월 13일
}}}}}}}}}||


[1] /ˈjo̞e̞l ˈpo̞hjɑ̝mˌpɑ̝lo̞/[2] 승격 시 200만 유로[3] 다만, 이 경기는 전반 막판 크리스티안 에릭센의 심정지에 의한 경기중단 사태가 발생하여 본인 역시 셀레브레이션을 자제하는 모습을 보였고, 경기 후 기자회견에서도 첫 골이나 첫 승에 대한 이야기 대신 에릭센의 쾌유를 바라고 모든 것이 잘 되길 바란다는 말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