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ordercolor=#e5007f,#e5007f><tablebgcolor=#e5007f,#e5007f> |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25-26 시즌 선수단 |
{{{#!wiki style="margin: 0 -11px -5px" {{{#ffffff {{{#!folding [ 펼치기ㆍ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1px" {{{#290664,#dddddd | <colbgcolor=#e5007f,#e5007f><colcolor=#fff,#fff> 감독 | 요시하라 토모코 |
코치 | 탄야마 요시아키 · 김대경 · 천창범 · 임승규 · 김세영 | |
스태프 | 마르코 · 이반 · 이상화 · 여재기 · 강명모 · 신보식 · 이주현 · 정경훈 · 김태희 · 임경민 · 유다선 · 정지인 | |
아웃사이드 히터 | 1 김다은 · 2 이채민 · 7 최은지 · 14 정윤주 · 23 남효린 | |
아포짓 스파이커 | 22 문지윤 · # 라셈 | |
미들 블로커 | 5 피치 · 9 변지수 · 11 김수지 '''[[주장| C ]] · 12 이다현 · 15 이송민 · 21''' 임혜림 | |
세터 | 4 서채현 · 6 이고은 · 13 박혜진 · 16 김연수 · 18 김다솔 | |
리베로 | 3 신연경 · 8 도수빈 · 20 박수연 | |
타 V-리그 여자부 구단 명단 |
<colbgcolor=#e5007f><colcolor=#ffffff>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감독 | ||
Incheon Heungkuk Life Pink Spiders | ||
| ||
요시하라 토모코 吉原知子 | Tomoko Yoshihara | ||
출생 | 1970년 2월 4일 ([age(1970-02-04)]세) | |
홋카이도 우류군 모세우시초 | ||
국적 |
| |
신체 | 180cm | 60kg | |
직업 | 배구 선수 (미들 블로커 / 은퇴) 배구 감독 | |
학력 | 홋카이도 모세우시 상업고등학교 (졸업) | |
소속 | <colbgcolor=#e5007f><colcolor=#ffffff> 선수 | 히타치 벨피유 (1988~1994 / 일본) 브루멀 마르코니 아르코나 (1995 / 이탈리아) 핀크레스 로마 (1995 / 이탈리아) 다이에 오렌지 어태커스 (1995~1999 / 일본) 도요보 오키스 (1999~2002 / 일본) 파이오니어 레드윙스 (2002~2006 / 일본) |
감독 | JT 마블러스 (2015~2024 / 일본)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2025~ / 대한민국) |
1. 개요
일본의 배구 감독. 現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감독.2. 선수 경력
현역 시절 포지션은 미들 블로커. 홋카이도에서 태어나 홋카이도 모세우시 상업고등학교[1]를 나왔으며, 히타치 벨피유에 입단하여 1994년까지 몸을 담았다. 당대 일본 여자배구 최고의 미들 블로커 중 한명이었으며 이에 1995년 1월 일본 배구 선수로는 최초로 프로 선수 계약을 맺고 이탈리아 세리에 A로 진출한다.[2]잠시 이탈리아로 건너간 뒤에는 1996 애틀랜타 올림픽 출전을 위해 일본으로 복귀했으며, 부상으로 은퇴한 2006년까지 총 3개의 팀에서 활동하며 총 4번의 V.리그 우승을 차지하고 베스트 6에만 6번에 선정되는 등 화려한 커리어를 만들고 은퇴했다.
3. 지도자 경력
은퇴한 뒤 해설자로 오랫동안 활동하다가 2015년 JT 마블러스[3]의 감독으로 취임했다. 부임 첫 시즌부터 리그 전승 우승을 차지한 뒤 자신들을 강등시켰던 우에오 메딕스와의 승강전에서 무실 세트 전승을 거두어 V.리그로 복귀시켰으며, 그 이후 리그 우승만 3번을 차지하는 등 마블러스를 우승권에서 노는 강팀으로 만들었다. 2023-24 시즌 리그 전승을 기록했음에도, 결승에서 NEC 레드 로켓츠에 패배한 이후 JT 마블러스 감독에서 물러났다.3.1. 인천 흥국생명 핑크스파이더스 감독
2025년 4월 10일 지난 시즌 통합 우승 이후 퇴임한 마르첼로 아본단자 감독의 후임으로 흥국생명 감독으로 부임하게 되었다. 한국 프로스포츠 사상 최초의 여성 외국인 감독이다.3.1.1. 2025-26 시즌
비시즌 FA 시장에서 최대어로 꼽히던 이다현을 영입하는데 성공하여 이번 FA 시장의 승리자가 되었다. 특히 C등급이었기 때문에 보상선수 없이 보상금만 조금 주면 되어 완전한 가성비 영입이었다. 재미있는 것은 이다현 본인이 요시하라 감독을 보고 흥국생명 이적을 희망하였다는 것이다. 타 팀에서 더 좋은 조건을 제시했음에도 인터뷰에서 요시하라 감독을 언급한 것을 보아[4] 확실히 큰 영향을 준 듯. 요시하라 감독 입장에서는 V-리그에 오자마자 큰 선물을 받은 것이 되었다.4. 역대 감독 성적
역대 감독 전적 | |||||||||||||
연도 | 소속 구단 | 정규 시즌 | 포스트 시즌 |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승점 | 순위 | 경기 수 | 승리 | 패배 | 비고 | |||||
2025-26 | 흥국생명 | ||||||||||||
<rowcolor=#373a3c> 총계 |
5. 여담
6. 관련 문서
7. 둘러 보기
요시하라 토모코의 역임 직책 | |||||||||||||||||||||||||||||||||||||||||||||||||||||||||||||
|
[1] 1978년 전국 대회 우승 경력이 있는 나름 여자배구 명문이었다. 2007년 배구부가 해체되었으며, 이후 인구 감소로 학교 역시 2009년 폐교되었다.[2] 일본 배구 리그 SV.리그는 과거도 현재도 실업 리그기 때문에 프로 스포츠에 해당하지 않는다.[3] 김연경의 일본 시절 소속팀으로 유명했으나, 2013-14 시즌 7위를 기록한 뒤 승강전에서 2부 리그 V.챌린저리그 2위 우에오 메딕스에 패하는 바람에 강등된 상태였다.[4] 아무래도 요시하라 감독이 현역 시절 수준급 미들 블로커였던 데다가 서로 피지컬이 유사한 동북아시아인이라는 점, 외국인 감독이라 해외 진출에 유리하다고 판단한 듯 하다. 평소에도 해외 진출을 많이 원하던 선수다 보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