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국제 |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하세배 ·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 |
한국 |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 뉴스핌 GAM배 페어 기전 SG배 단체전 퓨처스리그 | ||
일본 |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 ||
중국 |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 ||
대만 | 종합 기전 왕좌전 |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기타 |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clearfix]
1. 개요
국내 바둑 기전의 하나.한국에서 두 번째로 오래된 기전, 주최사는 중앙일보로 그 시작은 1966년이다. 1990년대 후반까지 기성전과 함께 한국 프로 바둑 최대 규모의 기전이었다. 도전기를 7국까지 치른 적이 있다는 점도 기성전과의 또다른 공통점.
영원한 국수인 조훈현 九단이 국수전에서 명성을 떨쳐 국수라 불리웠던 것처럼, 이 대회에서는 이창호 九단이 12연속으로 왕위 타이틀을 차지하면서(1995-2007) 유명해진 대회이다. 아이러니하게도 90년대 초반에 이창호의 국내 전관왕 등극을 저지한 것은 왕위 타이틀을 틀어쥐고 놓지 않았던 유창혁 九단의 공이 가장 컸다.
하지만 주최사의 재정적인 문제[1]로 2007년 41기를 마지막으로 잠정 중단되었다. 또 동양방송에서도 1980년 폐국까지 중계했다.
2. 상금 규모
2010년 기준으로 총상금 한화 3억원, 우승자에게는 4000만원, 준우승자에게는 1/2 수준의 상금이 돌아간다.3. 대회방식
초기 대회는 토너먼트로 왕위를 정하고 차회부터는 국수전과 마찬가지로 도전기 방식을 취한다. 때문에 전년도 왕위가 도전자에게 1승도 거두지 못할 경우, 이 역시 전패준의 조건을 충족하게 된다. 결승전은 7전 4선승제와 5전 3선승제를 채택하였으며 마지막 대회에서는 5전 3선승제를 채택했다.4. 전패준의 역사
국수전과 마찬가지로 기나긴 역사를 자랑하기 때문에 전패 준우승이 나온 경우가 있다. 단, 왕위 타이틀을 얻었던 기사가 오직 6명이라는 점과 특히 이창호 九단의 13연속 왕위전 방어라는 기록 때문에 국수전보다는 수가 상당히 적다. 이 부분 최다타이틀 보유자는 조훈현 九단의 맞수로 칭해졌던 서봉수 九단이다.년도 | 전패준 |
1976 | 서봉수 |
1978 | 서봉수 |
|
5. 대회 연혁
아래의 표는 우승 연혁과 우승한 기사의 당시 단수를 적는다.연도 | 왕위 | 단수 |
1966 | 김인 | 五단 |
1967 | 김인 | 六단 |
1968 | 김인 | 六단 |
1969 | 김인 | 七단 |
1970 | 김인 | 七단 |
1971 | 김인 | 八단 |
1972 | 김인 | 八단 |
1973 | 하찬석 | 五단 |
1974 | 김인 | 八단 |
1975 | 서봉수 | 五단 |
1976 | 조훈현 | 六단 |
1977 | 조훈현 | 七단 |
1978 | 조훈현 | 七단 |
1979 | 조훈현 | 七단 |
1980 | 서봉수 | 七단 |
1981 | 조훈현 | 八단 |
1982 | 조훈현 | 九단 |
1983 | 조훈현 | 九단 |
1984 | 조훈현 | 九단 |
1985 | 조훈현 | 九단 |
1986 | 조훈현 | 九단 |
1987 | 조훈현 | 九단 |
1988 | 조훈현 | 九단 |
1989 | 조훈현 | 九단 |
1990 | 이창호 | 四단 |
1991 | 유창혁 | 五단 |
1992 | 유창혁 | 六단 |
1993 | 유창혁 | 六단 |
1994 | 유창혁 | 六단 |
1995 | 이창호 | 六단 |
1996 | 이창호 | 九단 |
1997 | 이창호 | 九단 |
1999 | 이창호 | 九단 |
2000 | 이창호 | 九단 |
2001 | 이창호 | 九단 |
2002 | 이창호 | 九단 |
2003 | 이창호 | 九단 |
2004 | 이창호 | 九단 |
2005 | 이창호 | 九단 |
2006 | 이창호 | 九단 |
2007 | 이창호 | 九단 |
6. 역대 우승자
아래는 역대 왕위 칭호를 가졌던 기사들이며 총 6명의 기사가 이 영광의 타이틀을 거머쥐었다. 기록 순서는 최초 타이틀을 딴 번기의 오름차순으로 정렬함을 기준으로 한다.왕위 | 통산 우승 |
김인 | 8회 |
하찬석 | 1회 |
서봉수 | 2회 |
조훈현 | 13회 |
이창호 | 13회 |
유창혁 | 4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