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지된 바둑 기전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 국제 | 종합 기전 토요타덴소배 · 후지쯔배· 동양증권배 · BC카드배 · 신아오배 · 중환배 · 천부배 · 바이링배 제한 기전 NEC배 · 이민배 · TV 바둑 아시아 선수권대회· CCTV 하세배 · 월드바둑챔피언십 · 한중일 용성전 · TWT배 · 봉황고성배 · 오카게배 · 글로비스배 국가별 단체전 진로배 · 롯데배 한중 대항전 · 중일 슈퍼 대항전 · 정관장배 여자 기전 보해배 · 흥창배 · 원양부동산배 · 천태산농상은행배 · 호반배 · 궁륭산병성배 | |
한국 | 종합 기전 국수전 · 왕위전 · 기성전 · 패왕전 · 십단전 · 최고위전 · 국기전 · KT배 마스터스 · 배달왕전 · olleh배 · 렛츠런파크배 · YK건기배 · 용성전 속기전 KBS 바둑왕전 · MBC 제왕전 · SBS 속기챔프 여자 기전 EBS배 · 여류명인전 · 여류십단전 · 뉴스핌 GAM배 페어 기전 SG배 단체전 퓨처스리그 | ||
일본 | 종합 기전 NEC배 제한 기전 마스터스컵 | ||
중국 | 종합 기전 리코배 · 루리배 | ||
대만 | 종합 기전 왕좌전 | ||
아시안 게임 | 2010 광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2022 항저우 아시안 게임/바둑 | ||
기타 | Milly 몽백합 이세돌-구리 10번기 · 구글 딥마인드 챌린지 매치 · 바둑의 미래 서밋 | ||
다른 카테고리의 바둑 기전은 아래 문서 참고 국제 기전 · 한국 기전 · 일본 기전 · 중국 기전 · 대만 기전 |
1. 개요 및 상세[1]
SG그룹이 후원하는 대회로, 페어 대회라 하면 이전까지는 이벤트성으로만 열리던 것이, 대회가 만들어지면서 국내 페어대회의 시초가 된 대회다. 1회 대회 때 SG세계물산배로 불려졌다가, 2회부터 지금의 이름으로 변경되었다. 프로-아마 구성으로 제한없이 참가할 수 있다.3회 대회부터 우승팀은 중국 허베이에서 열리는 루양배 한중일 삼국 바둑명인 페어전에 한국 대표로 출전하며, 6회 대회부터 해외에 문호를 개방해 외국인 초청시드를 신설, 중ㆍ일+대만에서 각 1개 팀이 국내 페어와 자웅을 겨루게 됐다. 단 8회 때는 '일본 초청팀만 불렀다'(...)
2. 규칙
두 명 모두 프로 기사이거나, 프로 + 아마추어 조합으로 참가할 수 있다. [2][3]제한시간은 각팀당 10분에 초읽기 40초 3회가 주어진다. 착수는 흑(여성)→백(여성)→흑(남성)→백(남성) 순으로 순환한다. 착점 순서 위반시에는 3집을 공제하며, 착점 위반이 누적 3회시 실격패 처리된다.
첫 대회 때 덤 5집반으로 고정되어 있었지만, 2회 대회부터는 덤 베팅 제도라는 독특한 룰이 적용됐다. 각 팀이 덤을 적은 종이를 서로 공개해 더 많은 덤을 제시한 쪽이 흑을 잡는다. 만약 같을 경우 돌을 가려 맞힌 쪽이 선택권을 가진다. 페어바둑은 흑을 쥔 상대편 남성의 수를 백을 잡은 남성이 대응할 수 있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백을 잡는 것이 유리하다고 알려져 있다. 예를 들어 두 팀이 4집반, 6집반을 적애 냈다면, 6집반을 적은 쪽이 흑으로 결정된다.
3. 역대 우승자
회수 | 개최년도 | 우승 | 준우승 | 비고 |
1 | 2011 | 한상훈 5단/김미리 2단 | 목진석 9단/김혜민 6단 | 첫 대회 |
2 | 2012 | 유창혁 9단/최정 2단 | 조한승 9단/오정아 초단 | 당시 최정은 2단, 오정아는 초단 |
3 | 2013 | 진시영 5단/오정아 2단 | 박승화 5단/김혜림 2단 | 오정아의 2단 승단 |
4 | 2014 | 최원용 7단/권주리 아마 | 나현 4단/김미리 3단 | 프로+아마 조합 팀의 첫 우승 |
5 | 2015 | 박승화 6단/최정 5단 | 최철한 9단/윤지희 3단 | [4][5] |
6 | 2016 | 박승화 7단/최정 6단 | 김지석 9단/오유진 2단 | 최정의 6단 승단 |
7 | 2017 | 이영구 9단/김미리 3단 | 최철한 9단/오정아 3단 | 오정아의 3단 승단 |
4. 회차별 일람
1회 SG세계물산배 페어바둑최강전(2011)2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2)
3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3)
4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4)
5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5)
6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6)
7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7)
8회 SG배 페어바둑최강전(2018)
5. 여담
7회가 폐막한 이후 한국기원과 대한바둑협회 간의 갈등이 폭발하면서 SG 측 입장이 난감해졌다.(여자바둑리그에 참가하던 SG골프 팀, SG그룹 측의 후원이 있고 직능/직장인 팀까지 참가했던 BASSO배 직장인 바둑대회 등)물론 K바둑에 전념한다면, 한국기원(바둑TV)의
그런데 8회 이후 대회 개최 소식이 알려지지 않으면서 대회의 존재가 불투명해졌다.
[1] 위키피디아에서 있는 내용을 긁어온 부분도 있다..[2] 아마도 여류 기사의 수가 절대적으로 적으니, 아마추어 여류 기사와 조합을 이루어서 참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보인다.[3] 이론상 여자 프로 + 남자 아마추어 조합으로도 참가는 가능하지만, 그렇게 참가한 팀은 아직 없다.[4] 윤지희 프로의 현재로선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이 대회에 준우승을 기록했다[5] 최정의 5단 승단 전까지 우승기록이 없었다.1년마다 1단씩 승단되는 건 기분 탓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