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3-11 11:52:55

왕오색나비



1. 개요2. 특징3. 생태4. 미디어

1. 개요

왕오색나비속 네발나비과의 곤충. 동아시아에 널리 분포하며 한반도일본, 중국, 대만, 베트남에 걸쳐 서식한다.

2. 특징

왕이라는 이름답게 오색나비 무리 중에서도 큰 편에 속한다. 수컷은 날개폭 50mm, 암컷은 65mm 안팎으로 암컷이 수컷보다 크다.

몸은 전체적으로 갈색을 띄며 노란색 반점이 여러개 나있다. 성적이형이 명확한 곤충으로 수컷은 몸에 푸른색 광택을 띄지만 암컷에게는 광택이 없다.

3. 생태

왕오색나비의 활동주기는 6~7월이며 8월까지 활동하는 개체도 존재한다. 성충은 뽕나무, 상수리나무, 버드나무, 졸참나무, 느릅나무, 밤나무, 누리장나무 등 나양한 나무에서 관찰되며 나무수액과 꽃을 흡밀하며 먹이활동을 한다. 나비치곤 덩치가 큰 탓에 나무에서 높은 서열을 차지하며 수액을 빨다가 다른 곤충이 다가오면 날개짓으로 내쫓는다. 그 단단하고 힘세기로 유명한 장수풍뎅이사슴벌레, 심지어는 말벌한테도 경쟁에서 밀리지 않을 정도.

비행능력이 매우 뛰어나다. 새처럼 날개짓 없이 활공하기도 하며 그 상태로 빙글빙글 원을 그리며 돌기도 한다. 얼핏보면진짜 로 착각할 정도. 산 정상까지 빠른 속도로 도달할 수 있다. 수컷은 자신들의 영역이 되는 나무를 순찰하기도 한다. 나비목 중에서도 넓은 활동 범위를 자랑한다.

애벌레는 머리에 뿔 같은 것이 나있다. 여름이 되면 부화해서 가을까지 팽나무풍게나무 잎을 먹으며 생활한다. 겨울이 오면 지면으로 기어내려와서 낙엽이나 뿌리 부근에서 동면한다. 봄이 오면 다시 나무 위로 기어올라가 먹이활동을 하다가 번데기가 된다. 번데기는 외부자극을 받으면 몸을 꼼지락거린다.

천적으로는 기생성 곤충인 맵시벌이 있다.

국토가 남북으로 길쭉한 일본에서는 지역별로 왕오색나비의 형태가 상이하다고 한다.

4. 미디어

호랑나비배추흰나비 다음으로 인지도가 있는 곤충이다보니 곤충사전이나 초등학교 교과서에 등장한다.

EBS 다큐프라임 밀리미터의 세계에 등장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