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7 16:33:32

오영교(대학교수)

파일:external/www2.yonsei.ac.kr/20150813015044664429101562.5.jpg
이름 오영교
직업 대학 교수
병역 대한민국 석사장교 만기 전역
출생 1960년 (61세)
서울특별시 중구
학력 서울광희국민학교 (졸업)
한양중학교(졸업)
연세대학교 (사학 / 학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사학 / 석사[1]·박사[2])
소속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글로벌창의융합대학 역사문화학전공 (정교수)
1. 소개2. 저서 및 논문3. 논문4. 상훈5. 관련 문서

1. 소개

1960년생으로, 연세대학교 사학과를 졸업하고, 1983년 2월 연세대학교 대학원에서 사학 석사 학위, 1993년 동 대학원에서 사학 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한국사연구회, 한국사회사학회, 한국역사민속학회, 한국역사문화학회 이사를 연임했으며 연세대학교 원주학생복지처장, 연세대학교 원주박물관장, 강원문화재단과 원주문화재단 이사,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인문예술대학장, 연세대학교 미래캠퍼스 학부교육원장을 역임하였다.

역사문화학전공 교수이며 담당전공은 한국사이고 세부전공은 한국 중세사(조선시대사)이다.

전공 수업 중 필수과목인 '한국사연구의흐름과현재'를 전담하고 있으며 조선 시대사 및 향촌사회 과목을 담당하고 있다.

또한, '미래를향한연세역사' 수업을 담당하고 있다.

수업이 정말 이리저리로 많이 튀고 워낙 하는 일이 많아서 족보를 탄다.

2025년 초 정년은퇴하고 현재는 명예교수로 있다.

2. 저서 및 논문

1. 원주의 동족마을과 고문서, 1998, 혜안
2. 한강유역사연구, 1999, 한국향토사연구회전국협의회(공저)
3. 원주학사료총서1-원주수록(1796-1798), 2000, 연세대매지학술연구소(편저)
4. 한국지방사 연구의 현황과 과제, 2000, 경인문화사(공저)
5. 조선후기 향촌지배정책연구, 2001, 혜안
6. 한산 이씨 동족마을과 송와잡기, 2001, 연세대매지학술연구소(편저)
7. 강원감영사료집1, 2002, 연세대매지학술연구소(편저)
8. 운곡 원천석 연구논총, 2002, 원주문화원(공저)
9. 횡성의 동족마을, 2003, 횡성군
10. 강원의 동족마을, 2004, 집문당
11. 조선건국과 경국대전체제의 형성, 2004, 혜안(편저)
12. 조엄연구논총, 2004, 원주시(편저)
13. 원주독립운동사사료집1-3, 2004, 연세대근대한국학연구소(편저)
14. Pioneers of Korean Studies, 2004, 한국정신문화연구원(공저)
15. 17세기 한국지식인의 삶과 사상, 2005, 한국외국어대학교 역사문화연구소(공저)
16. 원주독립운동사, 2005, 혜안(공저)
17. 조선후기 체제변동과 속대전, 2005, 혜안(편저)
18. 조선후기 사회사 연구, 2005, 혜안
19. 연세의 발전과 한국사회, 2005, 연세대출판부(공저)
20. 한국실학사상연구2, 2006, 혜안(공저)
21. 세도정권기 조선사회와 대전회통, 2007, 혜안(편저)
22. 관란원호연구, 2007, 원주시(편저)
23. 실학파의 정치·사회 개혁론, 2008, 혜안
24. 지방사연구입문, 2008, 민속원(공저)
25. 강원감영연구, 2009, 원주시
26. 원주회촌마을, 2009, 민속원(편저)
27. 원주 충열사 연구, 2009, 원주시(편저)
28. 원주향토사, 2010, 원주시(편저)
29. 정동제일교회125년사 1,2,3권, 2010, 정동삼문출판사[3]
30. 내일을 걷는 연세역사, 2013, 연세대출판문화원(공저)
31. 송와 이희의 생애와 사상. 2015, 혜안(편저)
32. 조선후기 원주의 사회와 인물 연구, 2017, 혜안
33. 3.1운동정동교회, 2019, 정동삼문출판사
34. 항재 정종영의 생애와 사상, 2020, 횡성문화원
35. 조선시대 문인들의 삶과 관료생활, 2022, 연세대원주박물관
36. 서울 YWCA 100년, 2024, 서울YWCA

3. 논문

1. 「조선후기 지방관청 재정과 식리활동」, 『학림』 8,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86.
2. 「1862년 농민항쟁연구-전라도 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손보기박사 정년기념 한국사논총』 , 지식산업사, 1988.
3. 「조선후기 오가작통제의 구조와 전개」, 『동방학지』 7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1.
4. 「19세기 사회변동과 오가작통제의 전개과정」, 『학림』 12, 연세대학교 사학연구회, 1991.
5. 「17세기 지방제도 개혁론」, 『동방학지』 77,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3.
6. 「반계 유형원의 지방제도 개혁론 연구」, 『국사관논총』 57, 1994.
7. 「17세기 향촌대책과 면리제의 운영」, 『동방학지』 85,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4.
8. 「정인보」, 『한국의 역사가와 역사인식』 , 1994.
9. 「1862년 전국농민항쟁」, 『한국사』 10, 국사편찬위원회, 1994.
10. 「17세기 향촌상황과 수령제 운영론」, 『동방학지』 92,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1996.
11. 「17세기 조선왕조의 향촌지배정책의 추이」, 『매지논총』 13, 1996.
12. 「17세기 국가재조 문제와 향촌지배정책」, 『김용섭교수 정년기념 한국사논총』, 지식산업사, 1997.
13. 「17~8세기 향소의 위상변화와 정부의 대책」, 『매지논총』 14, 1997.
14. 「황현의 현실인식과 사상」, 『진리와 자유』 30, 1998.
15. 「원주학과 원주문화」, 『리포트21』 2, 1998.
16. 「서평:19세기 조선의 향촌사회연구-지배와 저항의 구조-」, 『한국사연구』 103, 한국사연구회, 1998.
17. 「지방사연구의 현황과 과제-원주지역사 연구를 중심으로-」, 『매지논총』 15, 1998.
18. 「18세기 원주목의 행정체계와 향촌조직의 운영」, 『한국사연구』 104, 한국사연구회, 1999.
19. 「한국 역사학계의 회고와 전망-조선후기」, 『역사학보』 167, 역사학회, 2000.
20. 「조선시대 문중의 여성교육과 임윤지당」, 『구천원유한교수정년기념논총』 , 2000.
21. 「조선후기 초계정씨 동족마을의 구조와 운영」, 『동방학지』 113, 연세대학교 국학연구원, 2001.
22. 「조선후기 향촌질서의 변화와 향소」, 『조선시대사학보』 15, 조선시대사학회, 2001.
23. 「조선후기 洞契의 구조와 운영 ― 寧越 邀僊契를 중심으로 ―」, 『조선시대사학보』 24, 조선시대사학회, 2003.
24. 「조선후기 향촌질서의 변동과 향소」, 『조선시대사학보』 18, 조선시대사학회, 2003.
25. 「State of Research on the Latter Period of the Choson Dynasty」, 『International Journal of Korean History』 4, 2003.
26. 「조선후기 동족마을의 구조와 운영- 강원 영서지역의 사례를 중심으로-」, 『담론201』 6-2, 2004.
27. 「중세해체기 갈림길로서의 17세기:'조선 전`후기론'의 입장에서」, 『내일을 여는 역사』 24, 2006.
28. 「강원감영의 역사성과 변동에 대한 연구 - 감영관련 역사자료의 정리와 활용-」, 『지방사와 지방문화』 11-2, 역사문화학회, 2008.
29. 「다산 정약용, 신아구방의 방안을 제시하다」, 『내일을 여는 역사』 45, 도서출판 서해문집, 2011.
30. 「연암 박지원의 사회·경제 개혁론에 대한 일고찰」, 『담론201』 16.1, 한국사회역사학회, 2013.
31. 「임진왜란과 毅齋 金悌甲의 목민활동」, 『조선시대사학보』 67, 조선시대사학회, 2013.
32. 「항재 정종영의 생애와 문중의 선양사업」, 『운곡학회연구논총』 5, 사단법인 운곡학회, 2013.

4. 상훈

1. 연세학술상(2002년)
2. 연세대 최우수 연구교수(2003년, 이후 4회 선정)

5. 관련 문서


[1] 석사 학위 논문 : 朝鮮後期 地方官廳 財政의 一硏究(조선후기 지방관청 재정의 일연구).[2] 박사 학위 논문 : 朝鮮後期 鄕村支配政策의 轉換 : 17世紀 國家再造와 관련하여(조선후기 향촌지배정책의 전환 : 17세기 국가재조와 관련하여).[3] 오영교 교수는 정동제일교회 장로이기도 하다. 집필 당시에는 권사였는데 감리회는 남성도 권사를 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