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0 20:06:04

오리온의 검

오리온의 칼에서 넘어옴

파일:나무위키+유도.png  
트라페지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일본 애니메이션에 대한 내용은 트라페지움(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성군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colbgcolor=Black><colcolor=#fff>기본 개념항성 · 성단
주요 성군<colbgcolor=Black><colcolor=#fff>계절 성군봄의 대삼각형 · 봄의 대곡선
여름여름의 대삼각형 · 여름의 대사각형
가을가을의 대사각형
겨울겨울의 대삼각형 · 겨울의 대육각형
별자리 기반 성군궁수자리찻주전자 성군 · 티스푼 성군
오리온자리오리온의 허리띠 · 오리온의 검 · 오리온의 팔
· 오리온의 방패
큰곰자리북두칠성 · 삼태성
백조자리북십자성
사자자리낫 성군
별자리 외 성군십자가 형태가짜 십자가 · 다이아몬드 십자가
글자 형태X · Y · ?
곡선 형태독수리 꼬리 · 뱀 그릇
기타 형태남두육성 · 황도의 금문 · 다이아몬드 링
소규모 성군성단 구조37 성단 · 크리스마스트리 성단 · 트라페지움 · 스타게이트 성단
비성단 구조옷걸이 성단 · 켐블의 캐스케이트 · 메시에 73 · NGC 1746
틀:천문학 · 틀:항성 및 은하천문학·우주론 · 틀:별자리
}}}}}}}}} ||

파일:asdasdas11.png
[[오리온자리#구성원|오리온자리의 천체{{{#!wiki style="font: Italic bold 1em/1.5 Times New Roman, serif; color: #fff;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ord-break: keep-all; text-align: center;"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50%; min-height: 2em;"
{{{#!folding [ 항성 ]
{{{#!wiki style="margin: -5px 0; letter-spacing: -1px;"
바이어 명칭 순
알파성
베텔게우스
Betelgeuse
베타성
리겔
Rigel
감마성
벨라트릭스
Belatrix
델타성
민타카
Mintaka
엡실론성
알닐람
Alnilam
제타성
알니탁
Alnitak
에타성
오리온자리 에타
η Ori
세타성
오리온자리 세타1·2
Trapezium Cluster · θ2 Ori
이오타성
하트샤
Hatysha
카파성
사이프
Saiph
람다성
메이사
Meissa
뮤성
오리온자리 뮤
μ Ori
누성
오리온자리 누
ν Ori
크시성
오리온자리 크시
ξ Ori
오미크론성
오리온자리 오미크론1·2
ο Ori
파이성
오리온자리 파이1·2·3·4·5·6
Orion's Shield
로성
오리온자리 로
ρ Ori
시그마성
오리온자리 시그마
σ Ori
타우성
오리온자리 타우
τ Ori
웁실론성
오리온자리 웁실론
υ Ori
피성
오리온자리 피1·2
φ Ori
카이성
오리온자리 카이1·2
χ Ori
프시성
오리온자리 프시1·2
ψ Ori
오메가성
오리온자리 오메가
ω Ori
플램스티드 명칭 순
그 외 오리온자리에 속한 항성
}}}}}}
}}}
[ 심원천체 ]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 성운N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자리 람다 성단S ||<bgcolor=white,#1c1d1f><width=25%>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O ||<bgcolor=white,#1c1d1f><width=25%> 말머리성운N ||
NGC 1981S NGC 1980S 트라페지움성단S 드 모이란 성운N
S: 성단, N: 성운, G: 은하, O: 기타 천체, ?: 불명
}}}||
틀:별자리 · 오리온자리 · 천문학 관련 정보

1. 개요2. 설명3. 구성 천체
3.1. NGC 1981
3.1.1. 개요3.1.2. 상세
3.2. NGC 1977
3.2.1. 개요3.2.2. 상세
3.3. 오리온 성운
3.3.1. 드 모이란 성운3.3.2. 오리온자리 세타
3.3.2.1. 트라페지움(오리온자리 θ¹)
3.3.2.1.1. 개요3.3.2.1.2. 상세
3.3.2.2. 오리온자리 θ²
3.3.2.2.1. 개요3.3.2.2.2. 상세
3.4. NGC 1980
3.4.1. 개요3.4.2. 상세3.4.3. 하트샤
3.4.3.1. 개요3.4.3.2. 상세
4. 관련 문서

파일:오리온의 검.jpg
오리온의 검 또는 소삼태성의 사진[1]

1. 개요

오리온의 검(Orion’s Sword)

오리온의 검 또는 소삼태성은 순서대로 오리온자리 42, 오리온자리 세타, 오리온자리 이오타[2]와 여러 성운들로 구성되어 있는 성군으로 오리온의 검집에 위치해 있어 오리온의 검으로 불리며 오리온의 허리띠와 같이 상술한 세 별이 세로로 늘어져 있는 것으로 보여 소삼태성이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

2. 설명

오리온의 허리띠 바로 밑에 위치해 있으며 유명한 성운인 오리온 성운과 사다리꼴 성단으로도 불리는 트라페지움 등 수많은 심원천체들이 속해 있다.

대부분의 별들이 오리온자리 OB1 성협의 하위 그룹인 오리온자리 OB1c에 속해 있으며 오리온자리 분자운 복합체라는 별 형성지역[3]에서 가장 별 형성 빈도가 많은 지역이다.

3. 구성 천체


파일:Regioni_celesti_scelte_-_SpadaOrione.png
[4]

3.1. NGC 1981

NGC 천체
NGC 1980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1981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1982
오리온자리의 발광성운
\
콜린더 천체
Cr 72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Cr 73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Cr 74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1981
<nopad> 파일:NGC1981_55.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09.6s
적위 −04° 25′ 30″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1,300 광년
40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4.2
규모
크기 28'
명칭
NGC 1981, Cr 73, OCL 525

3.1.1. 개요

NGC 1981/Upper Sword

NGC 1981은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약 1,300 광년 떨어진 산개성단이다.

3.1.2. 상세

존 허셜이 1827년 1월 4일에 발견했으며 B형 주계열성인 8개의 별을 포함해 최소 수십개 최대 100개의 항성들이 포함되어 있다.[5]

대부분의 구성원들이 대략 330만년 밖에 안되는 매우 어린 나이를 가지고 있으며 상술한 8개의 별들은 모두 B형 주계열성이다.

현재 오리온의 검에 위치한 다른 성단들과는 달리 산개성단 생성이 어느정도 끝난 편이라 성간가스와 먼지가 별로 없는 지역에 있으며 여기에는 과거에 별들이 생성될 당시에 발생한 초신성이 어느정도 영향을 끼쳤다고 추정된다.[6]

이후 몇백만년 안에 외곽에 있는 별들은 성단을 빠져나가고 중심에 있는 몇십개의 별들만 남아 산개성단을 이루다가 몇억년 뒤에는 산개성단이 해체될 것으로 추정된다.

성단의 위치는 후술할 런닝맨 성운 바로 위쪽이며 맨눈으론 개개의 별들을 분해해서 관측할 순 없지만 쌍안경으로 충분히 성단을 관측할 수 있다.

3.2. NGC 1977

NGC 천체
NGC 1972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1973
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NGC 197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1974
황새치자리의 산개성단
NGC 1975
오리온자리의 반사성운
NGC 1976
오리온자리의 전리수소영역
NGC 1976
오리온자리의 전리수소영역
NGC 1977
오리온자리의 전리수소영역[7]
NGC 1978
황새치자리의 구상성단
NGC 1977
<nopad> 파일:1280px-Маглина_Човек_што_трча.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16.2s
적위 −04° 47′ 07″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전리수소영역
거리 1,500 광년
46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7.0
규모
크기 40' X 25'
명칭
NGC 1973, 1975, 1977, Sh2-279

3.2.1. 개요

NGC 1977/런닝맨 성운[8]

NGC 1977은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약 1,500 광년 떨어진 전리수소영역이다. 이름은 당연히 그것을 뜻하는 단어가 아니다.

3.2.2. 상세

장미성운처럼 전리수소영역 전체가 한번에 발견된 것이 아니라 따로따로 발견되었다.

우선 전체 전리수소영역은 1786년 윌리엄 허셜에 의해 처음 발견되었으며 오리온자리 42에서 북동쪽에 위치한 B형 주계열성인 오리온자리 KX의 빛이 반사된 반사성운인 NGC 1973과 오리온자리 KX 북서쪽에 있는 HD 294262의 빛이 반사된 성운인 NGC 1975는 독일의 천문학자인 하인리히 루이다르 레스트에 의해 1862년과 1864년에 발견되었다. 하지만 NGC 목록에 등재된 연도는 1888년으로 동일하다.

전체 전리수소영역은 오리온자리 42로 명명된 B형 주계열성이 주변 성간가스를 이온화 시켜 만들어졌다고 하며 이외에도 오리온자리 45, 오리온자리 V359, 오리온자리 KX등의 밝은 항성들을 포함해 수백개의 항성들이 생성되었으며 수많은 원시성, 전주계열성이 생성되는 중이라고 추정된다.

황소자리 T 별[9]이 다수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밝혀졌으며 이중 일부는 성운 중심 방향으로 이어진 꼬리가 있다고 한다. 또한 오리온자리 42에서 대략 1광년 범위 내에선 7개의 원시행성 디스크 후보가 발견되었으며 이들은 모두 허빅-아로 천체로 분류된다고 한다.

현재 성간 가스가 빠르게 소모되고 있으며 이 속도가 계속 유지된다면 겨우 백만년 이내에 성운이 사라지고 내부의 산개성단과 개별 항성들만이 남을 것으로 추정된다.

오리온 성운 바로 위쪽에 있고 찾기도 매우 쉬워 아마추어 천문학자들에게 사진촬영용으로 매우 유명하다. 하지만 맨눈으로는 관측할 수 없고 반사성운은 8인치 이상의 천체 망원경에서 주변시를 이용해 제한적으로나마 희미하게 볼 수 있다.

3.3. 오리온 성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오리온 성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1. 드 모이란 성운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드 모이란 성운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3.2. 오리온자리 세타

오리온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η Ori
오리온자리의 다중성
θ Ori
오리온자리의 성단
ι Ori
오리온자리의 다중성

파일:53229687476_fa5af821aa_k.jpg
촬영: James Webb Space Telescope
(NASA, 2023)
3.3.2.1. 트라페지움(오리온자리 θ¹)

파일:나무위키+유도.pn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소설을 원작으로 하는 애니메이션 영화에 대한 내용은 트라페지움(애니메이션)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 에 대한 내용은 문서
번 문단을
번 문단을
부분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트라페지움
Trapezium
<nopad> 파일:트라페지움성단.webp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24s
적위 -05° 27′ 0″
별자리 오리온자리
겉보기 등급 4.0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1,344 광년
412 파섹
규모
겉보기 크기 47"
지름 1.5 광년
명칭
오리온자리 θ1 8사다리꼴 성단, 트라페지움, 오리온자리 트라페지움 성단
3.3.2.1.1. 개요
트라페지움

트라페지움은 오리온 성운의 중심부에 조밀하게 모여있는 산개성단이다.
3.3.2.1.2. 상세
성단의 모양이 마치 사다리꼴과 닮아 사다리꼴 성단 또는 트라페지움으로 불리며 나이가 300,000년밖에 안될 정도로 이제 막 태어난 산개성단이다. 또한 오리온자리 θ2와 함께 오리온 성운을 이온화 시킨다.

사다리꼴 모양은 총 8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중 가장 밝은 별인 A, C, D는 1617년 2월 4일에 갈릴레오 갈릴레이에 의해 발견되었으며 이후 1888년까지 총 5개의 별들이 더 발견되었다. 사다리꼴 모양을 구성하는 별들 이외에도 주변에 수십개의 전주계열성 및 주계열성, 갈색왜성이 성단에 포함되어 있다.
  • 오리온자리 θ1A: 페르세우스자리 베타형 변광성으로 식변광성으로 분류되며 총 3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는 3중성계이다. 약 1 AU거리에 떨어져 있는 2개의 별들이 구성하고 있는 θ1A1[10]과 A1에서 약 90 AU 떨어져서 공전하고 있는 θ1A2로 구성되어 있다.
  • 오리온자리 θ1B: 무려 5개의 별로 구성되어 있는 5중성계로 식변광성이다. 가장 밝은 별은 B형 주계열성인 θ1B1이고 B1을 매우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는 G형 주계열성 B5와 먼 거리에서 공전하는 전주계열성인 B2, B3, B4로 구성되어 있으며 향후 B2, B3, B4는 분리되고 가까운 거리에서 공전하는 B1과 B5만 남게될 것이라고 한다.
  • 오리온자리 θ1C: 트라페지움 성단에서 가장 무거운 항성으로 B형 주계열성O형 주계열성[11]으로 이루어져 있는 쌍성계이다. 이중 O형 주계열성은 오리온 성운을 이온화시키는 주범인 트라페지움에서도 가장 많은 자외선을 내뿜고 있으며 초속 1,000Km의 속도로 가스를 분출하고 있다.
  • 오리온자리 θ1D: B형 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2개의 동반성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었으나 그중 한개는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만 θ1D에 속하는 것으로 보이는 겉보기 쌍성으로 밝혀졌다. 나머지 1개의 별은 실제 쌍성으로 밝혀졌으나 알려진 것이 거의 없다. 이외에도 추가적인 적외선촬영을 통해 1개의 항성이 더 존재한다는 것이 밝혀졌으나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한다.
  • 오리온자리 θ1E: 두 개의 전주계열성으로 구성되어 있는 쌍성계로 식변광성이다.
  • 오리온자리 θ1G, H: 두 별 모두 1개의 전주계열성으로 구성된 단일 별이다.

사다리꼴 모양을 구성하는 별들 이외에도 주변에 수십개의 전주계열성 및 주계열성, 갈색왜성이 성단에 포함되어 있다. 이중 50%는 먼지원반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성단을 구성하는 주요 별들은 서로 빠른 속도로 멀어지고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외에도 2012년 진행된 연구에서는 과거 오리온 성운이 지금보다 더 폭발적으로 별을 생성했을 당시 O형 주계열성B형 주계열성등의 항성들이 서로 충돌해 생성된 중간질량 블랙홀이 성단에 존재할 수 있다고 주장했으며 이를 통해 상술한 트라페지움 성단을 구성하는 주요 별들의 큰 속도분산을 설명할 수 있다고 한다.

맨눈과 쌍안경으로는 하나의 별로 보이며 4인치 이상의 망원경에서는 기상이 좋고 광공해가 없는 기준으로 6개의 별들을 분해해서 볼 수 있다고 한다.
3.3.2.2. 오리온자리 θ²
오리온자리 θ2
Ori θ2
파일:Theta2Orionis.jp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A: 05h 35m 22.90124s
B: 05h 35m 26.40075s
C:05h 35m 31.43111s
적위 A: −05° 24′ 57.8326″
B: −05° 25′ 00.7938″
C: −05° 25′ 16.3717″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O형 준거성
B:B형 주계열성
C:B형 주계열성
분광형 A:O9.5IVp
B:B0.7V
C:B5V
거리 A:1,100 광년
340 파섹
B: 1,370 광년
C: 1,330 파섹
반지름 A:?
B:4.3 태양반경
C:?
질량 A:39 태양질량
:13.8 태양질량
C:4.86 태양질량
평균 온도 A: 34,900 K
B:29,300 K
C:13,800 K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A: 5.02
B: 6.38
C:8.18
광도 A: 12,300 태양광도
B:12,300 태양광도
C:13,800 태양광도
명칭
오리온자리 θ2 , STF 4016, WDS J05354-0525, ADS 4188
A: 43 Ori, HR 1897, BD−05°1319, HD 37041, SAO 132321, HIP 26235, CCDM 05353-0524E
B: BD−05°1320, HD 37042, SAO 132322, CCDM 05353-0524F
C: V361 Ori, BD−05°1326, HD 37062, SAO 132329, S 490A, CCDM 05353-0524G
3.3.2.2.1. 개요
오리온자리 θ2

오리온자리 θ2오리온자리에 있는 성군이다.
3.3.2.2.2. 상세
상술한 트라페지움에서 남서쪽으로 겨우 2'에 떨어져 있으며 각각의 별들은 대략 0.3'거리만큼 떨어져 있으나 지구에서 관측했을 때는 서로 붙어있는 것으로 보이나 3개의 별들은 전부 서로 연관이 없는 개별적인 항성이다. [12]

3개의 별 이외에도 변광성인 V1073이 C와 B 바로 아래에 있으나 대부분의 경우에는 θ2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 θ2A: 1개의 O형 준거성과 2개의 동반성을 가지고 있는 3중성계로 2개의 동반성은 전부 A형 주계열성이거나 B형 주계열성인 것으로 추정되며 각각 중심 준거성에서 0.47 AU, 147 AU 떨어져 공전하고 있다.
  • θ2B: 이제 막 생성된 B형 주계열성이며 1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다. 나이는 대략 200만년 안팎 정도 된다고 한다.
  • θ2C: B보다 더 차갑고 작은 B형 주계열성으로 나이는 대략 100만년 정도 된다.

3.4. NGC 1980

NGC 천체
NGC 1979
토끼자리의 렌즈형은하
NGC 1980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1981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콜린더 천체
Cr 71
마차부자리의 산개성단
Cr 72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Cr 73
오리온자리의 산개성단
NGC 1980
<nopad> 파일:NGC 1980.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25m 26.0s
적위 −05° 54′ 36″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산개성단
거리 1,793 광년
550 파섹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2.5
규모
크기 14'
명칭
NGC 1980, Cr 72, OCL 529, WH V 31

3.4.1. 개요

NGC 1980

NGC 1980은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약 1,793 광년 떨어져 있는 산개성단이다.

3.4.2. 상세

가장 밝은 구성원은 후술할 오리온자리 이오타 또는 하트샤이며 이외에도 148개의 항성들이 성단에 속하는 것이 밝혀졌다.

나이는 대략 470만년으로 오리온 성운에 있는 산개성단들보다 나이가 더 많으며 이때문에 오리온성운보다 약 130 광년정도 더 가까이 있는 별개의 산개성단일수도 주장하는 연구도 있었으나 2017년 진행된 연구에서 성단 중앙쪽에 위치한 별들의 나이가 100만년에서 200만년 사이로 다른 산개성단들과 일치하고 고유운동 방향이 오리온성운의 물체들과 일치하기 때문에 전경 물체가 아니라는 결론을 내렸다.[13][14]

3.4.3. 하트샤

오리온자리의 항성
바이어 명명법
θ Ori
오리온자리의 성단들
ι Ori
오리온자리의 다중성
κ Ori
오리온자리의 청색초거성
ι Ori
하트샤
Hatysa
파일:하트샤.png
관측 정보
위치 적경 05h 35m 25.98191s
적위 –05° 54′ 35.6435″
별자리 오리온자리
물리적 성질
형태 Aa:O형 거성
Ab:B형 거성 또는 준거성
Ac:B형 준거성
B:B형 거성
C:A형 거성
분광형 Aa1:O9 III
Aa2:B0.8 III/IV
Aa3:B2:IV
B:B8 III
C:A0 III
거리 약 1,340 광년
412 파섹
반지름 Aa1:8.3 태양반경
Aa2:5.4 태양반경
Aa3:?
B:?
C:?
질량 Aa1:23.1 태양질량
Aa2:13.1 태양질량
Aa3:?
B:5.12 태양질량
C:?
평균 온도 Aa1:32,500 K
Aa2:27,000 K
Aa3:?
B:18,000 K
C:?
운동 시선속도 21.5
자전 속도 Aa1:122 km/s
Aa2:?
Aa3:?
B:?
C:?
공전 주기 Aa1-Aa2: 29.1338일
궤도 장반경 Aa1-Aa2: 132 태양반경
A-B: 5000 AU
A-C:0.3 광년
이심률 Aa1-Aa2: 0.764
광학적 성질
겉보기 등급 2.77
광도 Aa1: 68,000 태양광도
Aa2:8,630 태양광도
Aa3:?
B:?
C:?
명칭
하트샤, Hatysa, 오리온자리 이오타, ι Ori, Na'ir al Saif, BD −06°1241, FK5 209, SAO 132323, ADS 4193, WDS J05354-0555
ι Ori A : 44 Orionis, HD 37043, HIP 26241, HR 1899, 2MASS J05352597-0554357
ι Ori B: V2451 Ori, 2MASS J05352645-0554445
ι Ori C: 2MASS J05352920-0554471
3.4.3.1. 개요
하트샤(Hatysa)

하트샤 또는 오리온자리 이오타는 오리온자리 방향으로 약 1,340 광년 떨어진 쌍성계이다.
3.4.3.2. 상세
하트샤라는 명칭의 기원은 현재 밝혀지지 않았으나 국제천문연맹이 조직한 WSGN[15]에서 2017년 9월 5일에 오리온자리 이오타의 이름으로 공식적으로 확정되었다.

상술한 NGC 1980 산개성단에 포함되어 있다고 추정되나 성단에 소속되어 있지 않을수도 있다고 한다.

A는 강한 X선을 내뿜고 있는 O형 주계열성 Aa1, Aa1에 의해 포획되어 쌍성계를 이루게 된 B형 주계열성 또는 준거성인 Aa2[16], B형 준거성으로 추정되는 Aa3로 구성되어 있다.

B는 B형 주계열성이며 A로부터 약 5,000 AU 떨어진 곳에서 공전하고 있으며 원시성 또는 전주계열성일 가능성이 높다고 한다. 또한 별의 분광형에 약한 헬륨선이 있는 특이한 항성이다.[17]

C는 A에서 약 0.3 광년 떨어저 공전하는 A형 주계열성으로 딱히 밝혀진 것은 없다.

4. 관련 문서










[1] 위쪽부터 순서대로 사진에는 나와있지 않은 NGC 1981 성단, 런닝맨 성운과 오리온자리 42, 오리온 성운과 오리온자리 세타 및 트라페지움, 오리온자리 이오타를 포함하는 NGC 1980이 있다.[2] 하트샤라는 명칭으로도 불린다.[3] 오리온의 허리띠, 말머리성운, 버나드 루프, 오리온자리 람다 성단등 오리온자리의 유명한 성단이나 성운들이 포함되어 있는 성간가스구름이다.[4] 사진에 나와있는 숫자들은 NGC 목록의 번호이고 사진 상단의 사진은 트라페지움 부분을 확대한 사진이다.[5] 성단의 전체 질량은 태양질량의 107배 정도 된다.[6] 이때문에 몇몇 별들이 NGC 1981에서 방출되었다고 한다.[7] NGC 1977이 지역에 있는 전리수소영역이라는 자료도 있으나 NGC 1973, NGC 1975와 오리온자리 42근처의 반사성운만이 포함된다는 자료도 있다.[8] 런닝맨 성운이라는 명칭은 전리수소영역 내부의 반사성운만을 포함한다.[9] 준주계열성의 일종으로 일반적인 전주계열성보다 더 크고 밝은 특징을 가지고 있다.[10] 하나는 O형 주계열성이며 두번째 별은 황소자리 T 별로 추정된다.[11] 분광형이 O6V 이다.[12] 나이, 거리, 고유운동속도나 방향등이 모두 다르다.[13] 2개의 산개성단이 우연히 겹쳐져 하나의 산개성단으로 보인다고 주장한 연구도 있다.[14] 하지만 아직까지는 측정된 거리의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에 정확하게 판별할 수는 없다고 한다.[15] 별 이름 생성 그룹으로도 알려져 있으며 항성들의 이름을 공식적으로 확정짓는 단체이다.[16] 이때문에 Aa와 Ab의 나이가 대략 2배정도 차이가 나며 편심이 매우 높다.[17] 이런 별들은 Helium-weak star 또는 헬륨이 적은 별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