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12-30 15:59:21

이욱(철인왕후)

영평군(철인왕후)에서 넘어옴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철인왕후(드라마)/등장인물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파일:철인왕후 로고.png파일:철인왕후 로고.png
{{{#!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3%"{{{#!wiki style="min-width: 100px; display: inline-block; min-width: 18%"
이욱 / 영평군
李昱 / 永平君
파일:철인왕후 영평군.jpg
<colbgcolor=#0E0F23,#010101><colcolor=#ffffff,#dddddd> 배우: 유민규
드라마 파일:tvN 로고(2012-2021).svg 토일 드라마 파일:철인왕후 로고.png
이명 이경응(李景應)(극중 23세) [1]
신분 조선파일:조선 어기.svg
계급 왕족
소속 금위영(禁衛營) / 삼정이정청(三政釐整廳)
직위 대장(大將) 겸 판총재관(종2품)
본관 전주 이씨
부모 부친 전계대원군
모친 측실 이씨
적모 완양부대부인
형제자매
3남 중 차남 [ 펼치기 · 접기 ]
이복형 회평군 이원경[2]
이복동생 이원범
제수 김소용
제수 조화진[스포일러]
[ 공식 홈페이지 인물 소개 ]
----
슬픈 2인자

이복동생 철종의 침소를 지키는 금위대장으로 동생인 철종을 무척 아끼는 군자. 방법의 정당함 보다는 목적의 정당함을 우선시하는 그는 철종과 대립된 가치관을 가졌다.


1. 개요2. 극중 행적

[clearfix]

1. 개요

tvN 토일 드라마 <철인왕후>의 등장인물.

조선 철종의 이복 형 영평군 이경응(李景應)을 모티브로 하는 가공의 인물[4]이다.

2. 극중 행적

목적의 정의로움에 집중하셔야 합니다. 결과가 정의롭다면 그 방법 역시 정의로워지는 것입니다.
제4화 中
철종의 이복 형이며 조화진을 연모하고 있다. 작중 철종의 호위무사로, 운검을 들고 다닌다. 이쪽도 철종 못지않게 자신의 가족들을 몰살한 안송 김문을 매우 증오한다. 이 때문에 김소용을 그동안 안송 김씨라는 이유로 오해했다는 사실에 죄책감을 느끼고 어쩌면 자신의 아군이 되어줄 수 있을지 모른다며 유연한 생각을 하는 철종과는 달리, 여전히 안송 김씨 출신 소용에 대해 숨은 의도가 있을 거라며 경계하며 의심하는 태도를 보여주기도 했다. 그리고 이후 조화진을 연모하는 마음이 드러난다. 예를 들면 조화진이 장부를 조대비에게 건네는 것을 목격했음에도 함구하면서, 심지어 화진에게 한 번 방황한 것은 눈감아줄 수 있다는 말까지 눈가가 촉촉히 젖어가며 한다(!). 15화에서는 화진이 보지 말라고 하는 것은 보이지 않는다고 말하며 왕보다 화진을 아끼고 있음을 확인사살한다. 가문보다도 소용을 더 아끼는 김병인의 안티테제와 같은 인물. 결국 화진이 모든 것을 자백한 관계로 영평군이 나서지는 않았지만 여전히 소용을 누구보다도 못마땅한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

화진의 폐출 소식을 듣고 나서 화진을 찾아가 "이럴 순 없습니다, 전하가 이러면 안되는 겁니다."하고 슬퍼한다. 그러면서 다시 되돌릴 수 있다고 말하지만 화진은 철종을 찾아가려는 영평군을 붙잡는다. 그리고 영평군은 화진으로부터 제가 화진을 좋아한다는 사실을 알면서도 모르는 척 했다는 것, 철종으로부터 받지 못한 애정을 저로부터 채우며 자신을 이용한 것이라는 고백을 듣는다. 그러자 영평군은 "제가, 제가 기꺼이 이용하시게 한겁니다. 제가 드릴 수 있는 건... 그 뿐이니."하고 화진에 대한 연심을 부정하지 않는다. 이후 철종을 찾아가 화진의 폐출에 대한 분노를 표출한다.

영평군: 의빈 자가께선 끝까지 전하를 위하고 걱정했습니다. 그 마음의 가치도 모르는 전하를 말이죠.
철종: 모르지 않습니다, 그래서 괴롭습니다!
영평군: 더 괴로우셔야 합니다. 그것이, 자가님에 대한 최소한의 도리입니다.
철종: 얼마나 더 외롭고 괴로우란 말입니까!! 얼마나 더!!
이후 철종이 궁을 떠나기 전 찾아와 직접 민란을 제압하러 가는 것이 사실이냐고 묻는다. 김병인에 의한 것이라고 하니, "이건 함정입니다. 김병인에게 동몽선습을 전한 것이 중전일 거란 생각은 안 하십니까. 제게 분명 약속하셨습니다. 중전이 명백한 적이라 밝혀진다면 목을 베겠다고! 전하께서 베어야 할 건 민초가 아니라 중전의 목입니다!"라고 말하며 계속해서 김소용을 의심하는 모습을 보인다.

철종의 사망 소식을 접한 이후 소용과 병인의 대화를 보며 소용이 철종의 편이 아니며 김병인과 짜고 친 것이라고 오해한다. 상복을 입은 소용을 찾아와 김병인이 보는 앞에서 "너와 함께 전하를 죽음으로 내몬 중전의 목숨을 내가 직접 거두겠다."라고 말하며 소용의 목에 칼을 들이밀지만, 동생의 아이를 가진 임신부를 차마 죽일 수는 없었는지 베지는 않는다. 불경죄로 목이 날아가도 할 말이 없는 짓이기는 하나, 철종을 죽인 것은 동비들이라며 중전에게 화풀이 하지 말라 소리치는 김병인에게 "수령의 목도 치지 않는 민란군들이, 곤룡철릭을 입은 임금을 친다?" 라고 반박하며 소용이 철종의 사망 뒤에 숨은 배후를 의심하는 계기를 제공했다. 하옥된 이후 소용이 영평군과 홍 별감을 찾아가 철종이 살아있음을 알린 이후로는, 소용이 적이라는 의심을 완전히 지웠는지 처음으로 마마라는 호칭을 쓰며 존대한다.[5]

여담으로 시청자들 사이에서 평가는 굉장히 갈린다. 염병 화진을 연모하는 사적인 감정을 내세워 중요한 사실을 숨긴 점이나, 조화진에겐 존대하면서 중전에게는 하대하는 모습 등으로 시청자 사이에서는 이해할 수 없다는 평이 다수. 하지만 자신에게 먼저 돌아왔어야 하는 왕의 자리를 차지한 동생에 대해 불만을 가지고 동생의 정적으로 돌아설 법도 한데, 본인과 동생의 대의를 위해 노력하는 모습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도 있다.

미방영분에서 조화진과의 서사가 좀 더 드러난다. 사실 영평군은 누구보다도 다른 사람의 아픔을 먼저 알아주고 따뜻한 위로를 건네는 화진의 진짜 모습을 연모했던 것이다. 때문에 화진의 거짓된 모습[6]이 남에게 들통나기 전에 그녀가 스스로 다시 바른 길을 찾도록 누구보다도 간절히 바랐다. 이때문에 화진이 신정왕후에게 안송 김씨의 비리 장부를 넘기는 모습을 보고도 철종에게 알리지않고 눈감아 줬다. 그러나 그로 인한 대가가 너무나도 컸다. 사사로운 감정으로 화진의 잘못을 은폐한 탓에 동생이 위험을 무릅쓰고 폭발 사고를 조작하게 만들었고, 이로 인해 소용은 암살 위기에 처했다는 점에서 비판을 피하긴 어렵다.

[1] 철종이 이원범에서 이변으로 이름을 바꾸었듯, 이욱도 이경응(李景應)으로 이름을 바꾼다. 17화에서 삼정이정청 판총재관으로 임명할 때 교지에 '이경응'으로 표기되었다. 이후 19화에서도 '이경응'으로 불린다.[2] 역모에 휘말려 사망했으며 이는 철종과 영평군이 강화도로 유배되는 원인이 되었다.[스포일러] 17화에서 폐빈이 됨.[4] 풍양 조씨 문중의 반발을 계기로 가공의 인물로 바뀌었다.[5] 사실 중전에게 칼을 들이댄거면 하옥이고 나발이고 역모죄로 바로 구족을 멸해야한다. 일개 종친부 군 따위[7][8]가 왕비를 해하려 한 것은 이유불문하고 역모죄에 해당한다.[6] 궁 안에서 풍안 조씨의 장기말로 이용당하고, 자신에게 일어난 모든 비극을 소용의 짓이라고 치부하며 그녀를 질투하고, 끝내 소용에 대한 증오에 눈이 멀어 철종을 배신하고, 소용을 죽이는 말도 안되는 방법으로 철종의 애정을 되찾으려는 모습.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7] 철종만 왕의 양아들이지 이경응은 전계대원군의 실질적 장남으로 누동궁에 남았기 때문에 왕자군이 아니라 종친부 군이다.[8] 조선시대 군 작위의 서열은 다음과 같다. 저군(세자) > 왕의 적자인 대군과 서자인 왕자군/왕이 아닌 왕의 생부인 대원군[9] > 부원군(왕의 장인)/종친부[10] > 왕의 장인이 아닌 공신의 작위로 받은 부원군[11]. 참고로 종친부 군은 또 각자의 품계에 따라 서열이 나뉘어지니 자세한 사항은 종친부 문서 참조바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