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여자에게 원한을 사면 큰일난다'는 뜻이다. 여기서 '오뉴월'은 이 속담이 만들어진 시절, 즉 음력을 쓰던 시절에 나온 속담인지라 이 '오뉴월'이 말하는 기간은 음력 5~6월, 즉 오늘날 사용하는 양력 기준으로 6~8월이라고 볼 수 있다. 본디 서리는 기후가 차가운 시기에 잘 발생하기 마련인지라 여름에 해당하는 6~8월경에 서리가 내리는 경우는 많지 않은데, 여자가 한을 품으면 그 6~8월경에도 서리가 내릴 정도로 기이한 일이 벌어진다는 뜻이다. 동시에, 속담이 만들어진 과거엔 농경업이 주요 산업이었는데 이때 서리는 농작물에 피해를 주게 되므로 만약 정말 7~8월에 서리가 내리면 그 파괴 효과는 치명적이다. 종합적으로 이 속담의 뜻은 여자가 한번 화가 나면 상상도 못할 엄청난 일이 벌어져 큰 피해를 입을 수 있다는 것이다.한서에는 '오월비상(五月飛霜)'이란 구절이 있다. 뜻은 똑같다. 그래서 중국에서도 알려져 있는 말이며, 주성치의 영화 구품지마관에서 여자가 억울한 일을 당하자 한여름에 눈이 내리는 장면이 있었다. 원나라 시대의 작가 관한경의 잡극 두아원(竇娥冤)에도 6월에 서리가 내리는 내용이 있다.
영어에도 있다. 윌리엄 콩그리브(William Congreve)의 희곡 '비탄에 잠긴 신부(The Mourning Bride, 1697)'에는 다음과 같은 구절이 나온다.[1] "천국도 증오로 바뀐 사랑 같은 분노가 없고, 지옥도 멸시받은 여자와 같은 분노가 없다(Heaven has no rage like love to hatred turned, nor hell a fury like a woman scorned)." 원래는 여자가 거부당해서 사랑이 증오로 바뀌면 하늘의 분노나 지옥의 분노보다 무섭다는 뜻이다.[2] 그러나 원래 뜻으로 쓰이는 경우는 거의 없고, 주로 뒷부분만 떼어내서 한을 품은 여자는 무섭다는 뜻으로 쓰는 경우가 많다.
베이비복스의 남자에게라는 노래 중간에 이런 구절이 나온다. "세상 모든 남자들에게 고하노라 여자를 울리는 자 여자에게 버림 받으리니 여자가 한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는 말 그건 전설이 아니었다"
2. 대표적인 사례
- 오뉴월을 제목으로한 노래 작품들
- 여성의 복수를 소재로 한 대부분의 창작물들
3. 캐릭터
- 귀멸의 칼날 - 코쵸우 시노부
- 마법과고교의 열등생 - 요츠바 마야
- 제로 흐름의 원 - 가의
- 풍작의 예속엘프 - 샤우아
겨울왕국 시리즈 - 엘사스타크래프트 시리즈 - 사라 케리건- "여자가 군단을 품으면 오뉴월에도 서리가 내린다"라는 대사가 있다.오징어 게임 - 한미녀- 정확히는 본인이 한 대사가 아니라 다른 사람이 내린 평이다.
4. 관련 문서
- 속담
- 착한 사람이 화내면 무섭다
- 얀데레 - 조금 다른 의미지만, 한을 품으면 서리가 내리는 게 아니라 피바람이 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