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3 23:23:37

얼음(제프프)

성기훈 - 얼음에서 넘어옴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colbgcolor=#000> 얼음
Hold
[ 가사 보기 ]
성기훈 / 게임 속행에 투표한 참가자들
여러분 무슨 일이 생겨도 얼음

한 판 더 한 판 더

긴장 말아요 긴장 말아요
<colcolor=#fff> 업로드일
[[대한민국|]][[틀:국기|]][[틀:국기|]] 2025년 1월 8일
아티스트 제프프
장르 팝 록
러닝타임 01:24
조회수 10,014,010회[기준]

1. 개요2. 인기3. 곡 정보4. Seoung Gi-hun - Hold (English ver.)5. 패러디 및 커버 영상

[clearfix]

1. 개요

유튜버 제프프가 오징어 게임 시리즈의 주인공 성기훈오징어게임 시즌 2에서 한 대사에 직접 작곡한 음을 붙여 리믹스한 노래. 작품 속에서 성기훈은 오징어 게임에 이미 참여한 경험이 있기 때문에 첫 번째 게임인 '무궁화 꽃이 피었습니다'에서 다른 참가자들에게 움직이지 말라고 하는데, 이 과정에서 말한 '얼음'이라는 대사를 비롯한 성기훈의 대사들을 리믹스해서 만든 곡이다.

오징어 게임이라는 작품의 잔혹하고 어두운 분위기, 살벌한 가사[2]와 상반되는 희망차고 신나는 곡의 분위기와, 마치 뮤지컬이나 디즈니 애니메이션을 연상시키는 연출[3]이 유머 포인트.

영상과 가사에 오징어 게임 시즌 2의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으니 드라마를 볼 예정이라면 주의. 영상 분량의 대부분은 예고편 내용에서 벗어나지 않으나, 일부 구간에서 시즌 2 후반부의 장면과 대사가 나와 큰 스포일러가 된다.

이 동영상은 2월 3일 부로 조회수 1,000만회를 달성하였다.

2. 인기

재미와 중독성 덕분에 꽤나 큰 유명세를 타 업로드 후 8일 뒤인 2025년 1월 16일 조회수 300만 회를 돌파하는 메가히트를 치며 2025년 밈의 스타트를 끊었다.[4] 심지어 넷플릭스 코리아 유튜브 채널도 "한 곡 더! 한 곡 더!"라고 댓글을 달았다.[5]

이후로도 1월 18일 400만 회, 1월 20일 500만 회, 1월 22일 600만 회, 1월 24일 700만 회, 1월 27일 800만 회, 1월 30일 900만 회, 2월 3일[6] 1000만 회를 돌파하며 조회수를 갱신해가고 있다. 이는 제프프의 영상 중 첫 1000만 회를 달성한 셈이다.

성기훈을 연기한 배우 이정재가 아래 영어 버전을 직접 인스타 스토리로 공유했다. #[7]

3. 곡 정보

얼음 / 1′24″
작곡: 제프프 / 편곡: 제프프 / 보컬: 성기훈(이정재)
조성: D major(라장조) → E major(마장조) / 최고음: 3옥타브 도♯(C♯5) (진성) / BPM: 115

4. Seoung Gi-hun - Hold (English ver.)

인기에 힘입어 영어 더빙을 이용한 버전도 나왔다. 댓글창에 올라온 "제프프가 세계로 향한다", "외국인들도 즐기겠다" 등의 각종 반응이 일품이다.[8]

5. 패러디 및 커버 영상



[기준] 2025년 2월 3일 기준[2] '시간 내 못 가면 어차피 죽어', '전부 다 죽었습니다' 등. 특히 '한 판 더!' 부분은 원래 자신들의 상금을 위해 데스 게임을 속행하려는 이들의 이기주의가 나타난 비극적인 장면인데, 곡에선 통통 튀는 반주로 감동적인 합창 같은 느낌이 되어버렸다.[3] 중간 중간 주인공의 독백이나 합창 부분(한 판 더! 한 판 더!)이 뮤지컬 같다는 평가가 많다.[4] 시기상으로 내면의 기가차드 밈과 비슷한, 혹은 조금 늦은 시점에 유행하기 시작했다.[5] 이후 제프프도 본인이 만든 곡을 소란(Soran)이 밴드로 커버한 영상에 똑같이 따라하였다. 고정댓글 참조[6] 오전 11시 5분.[7] 24시간이 지나면 사라지는 특성 상 현재는 스토리를 볼 수 없는 상태다.[8] 다만 댓글창은 여전히 대부분이 한국어라 해외에서 아직 인기를 얻은 것은 아니다. 특히 오징어 게임 관련 가장 큰 해외 커뮤니티라 할 수 있는 레딧 /r/squidgame이 유튜브 영상 게시를 원천 차단해 공유가 어렵다는 점도 한 몫 한다.[9] 일반 커버와 달리 성대모사를 활용하여 커버했다.[10] 기존 인스타 영상이 삭제되어 유튜브로 대체함[11] 아이유 콘서트 : 더 위닝 무대인사 중 즉석으로 불렀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1 (이전 역사)
문서의 r21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