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transparent; background: text linear-gradient(to bottom right, #c566a7, #b869a9, #ab6cab, #9e70ad, #9173af, #8576b0, #7879b2, #6b7db4, #5e80b6, #5183b8)" | |||
| <nopad> |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장르 | 이세계 전이, 판타지 | |
| 원작 | 아카이 마츠리(赤井まつり) | ||
| 캐릭터 원안 | 토자이 | ||
| 원작 코믹 | 아이가모 히로유키(合鴨ひろゆき) | ||
| 감독 | 하바라 노부요시 | ||
| 시리즈 구성 | 오카다 쿠니히코(岡田邦彦) | ||
| 각본 | |||
| 캐릭터 디자인 | 오카다 히로나(岡田洋奈) 사이토 카오리(斉藤 香) | ||
| 서브 캐릭터 디자인 | 江禹辰 | ||
| 마물 디자인 | 야마네 리히로 | ||
| 프롭 디자인 | 에마 카즈타카(江間一隆) | ||
| 메인 애니메이터 | 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 | ||
| 3DCG | 야스다 카네모리(安田兼盛) | ||
| 미술 감독 | 스즈키 아키라(鈴木 朗) | ||
| 색채 설계 | 모리 유키(森ゆうき) | ||
| 촬영 감독 | 타카하시 아키히로(高橋昭裕) | ||
| 편집 | 오노데라 에미(小野寺絵美) | ||
| 음향 감독 | 모리시타 히로토(森下広人) | ||
| 음향 제작 | 카논(叶音) | ||
| 음악 | 이가라시 사토시(五十嵐 聡) | ||
| 기획 | 사이토 이와오(齋藤 巌) 스에히라 아사(末平アサ) 타케자키 타다시(竹崎 忠) 나가타 카츠하루(永田勝治) 핫타 신사쿠(八田紳作) 타키야마 마사오(滝山雅夫) 오카다 타케시(岡田武士) 이시와타 아키히로(石渡章博) 와타나베 타카시(渡辺 隆) 하마다 히데노리(濵田英紀)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키쿠치 요헤이(菊地洋平) 이이지마 에미코(飯島江美子) 스즈키 타카히로(鈴木隆浩) 타치노 토모히로(立野智弘) 마츠다 타이요(松田大洋) | ||
| 프로듀서 | 나카이치 테츠히로(仲市哲大) 쿠마가이 타쿠토(熊谷拓登) 타카하시 카나코(髙橋佳那子) 스즈키 사다(鈴木 禎) 오오시타 타츠야(大下達也) 나가노 마사히코(永野雅彦) 스에츠구 신지(末次信二) 마에다 아키(前田亜季) 후루야 유지(古屋裕士) 쿠와타 유지(桒田雄司) 오오모리 신지(大森慎司)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키타오카 케이코(北岡慶子) 이케타니 히로오미(池谷浩臣) | ||
| 애니메이션 제작 | 선라이즈 | ||
| 제작 | 암살자의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 제작위원회 | ||
| 방영 기간 | 2025. 10. 07. ~ 방영 중 | ||
| 방송국 |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 화수 | 12화 (예정) | ||
| 시청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일본의 라이트 노벨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하바라 노부요시, 방영 시기는 2025년 10월.2. 공개 정보
- 경계전기를 만들고 망한 선라이즈 비욘드[3]의 스태프를 선라이즈가 인수해서 만드는 애니메이션이다. 따라서 기존 선라이즈 애니메이션을 만들던 스태프보다는 아시 프로덕션, XEBEC 출신 스태프가 많다.
- 하바라 노부요시 감독이 이 작품을 만들 때 가장 신경쓴 건 그림자의 표현이라고 한다. 20세기의 OVA는 그림자를 다층으로 복잡하게 넣어 리얼함을 살렸는데 최근엔 단순화되는 추세라 아쉬웠다며 그림자의 표현을 재고함으로서 OVA같은 영상을 목표로 했다고 한다.
- 다층 그림자 외에도 화면에 일부러 노이즈를 넣어 셀 애니메이션 느낌을 살리고 있다고 한다.
- 하바라 노부요시 감독은 이 작품을 만들 때 베르사이유의 장미(1979)를 참조했다고 한다.
- 하바라 감독은 이 작품은 음향, 효과음에 신경을 많이 써서 만들었으므로 헤드폰, 이어폰을 사용해서 볼 것을 추천한다고 한다. 예로 돌로 된 방에서 싸우는 장면에서 나는 소리는 돌 벽에 반사되는 소리가 나게 했다고.
- 세계관 고증을 제대로 하고자 작품에 나오는 배경은 대부분 유럽 같은 곳에 실존하는 건물이 모델이라고 한다. 예로 1화의 배경은 프랑스의 앙부아즈 성이라고 한다.
- 액션 신은 대부분 메인 애니메이터 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4]가 담당한다고 한다.
- 3화 방영 시점 기준으로 모두 완성했다고 한다. 스케줄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2.1. PV
2.1.1. 대한민국
| 애니맥스 PV |
2.1.2. 일본
| 티저 PV |
| 메인 PV 제1탄 |
| 메인 PV 제2탄 |
| 미스터리어스한 검은 고양이 「요루」의 스페셜 PV |
| 3분 만에 알아보는 제1~6화 요약 PV |
2.2. 키 비주얼
| | | |||
| <rowcolor=#ffffff,#ffffff> 티저 비주얼 | 키 비주얼 | |||
| <rowcolor=#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일본어 ▼ {{{#!wiki style="margin: -5px -1px" | <tablewidth=100%> |
| |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min-width: 40%;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논텔롭 2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3. 줄거리
반 친구들과 함께 이세계에 소환된 고등학생 오다 아키라.
소환으로 반 친구들 전원에게 치트 능력이 부여되는 가운데,
아키라는 타고난 존재감의 옅음 때문인지 평범한 '암살자'의 능력을 얻는다.
하지만, 평범한 '암살자'인 자신의 능력치가
최강의 직업인 '용사'를 가볍게 능가하고 있었는데──?!
그리고, 소환의 주모자인 국왕의 언동에 의심을 품게 된 아키라는
자신의 존재를 계속 숨기며 그 음모를 파헤치려 했지만
반대로 누명을 쓰게 되어 왕국에 쫓기는 몸이 되고 만다.
국왕에 대한 복수를 맹세한 아키라는 도망쳐 들어간 전인 미답의 던전 심층에서
엘프 소녀 아멜리아를 만나게 되는데──...
이것은 '암살자'의 능력을 얻은 소년이,
엘프 소녀와 만나 진정한 '암살자'가 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애니맥스 코리아
소환으로 반 친구들 전원에게 치트 능력이 부여되는 가운데,
아키라는 타고난 존재감의 옅음 때문인지 평범한 '암살자'의 능력을 얻는다.
하지만, 평범한 '암살자'인 자신의 능력치가
최강의 직업인 '용사'를 가볍게 능가하고 있었는데──?!
그리고, 소환의 주모자인 국왕의 언동에 의심을 품게 된 아키라는
자신의 존재를 계속 숨기며 그 음모를 파헤치려 했지만
반대로 누명을 쓰게 되어 왕국에 쫓기는 몸이 되고 만다.
국왕에 대한 복수를 맹세한 아키라는 도망쳐 들어간 전인 미답의 던전 심층에서
엘프 소녀 아멜리아를 만나게 되는데──...
이것은 '암살자'의 능력을 얻은 소년이,
엘프 소녀와 만나 진정한 '암살자'가 되기까지의 이야기이다.
애니맥스 코리아
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설정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설정|설정]] 부분을 참고하십시오.6. 주제가
6.1. OP
| OP / 1화 ED 一閃 일섬 | |||
| TV ver. | |||
| M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VESPERBELL | ||
| 작사 | VEENA | ||
| 작곡 | |||
| 편곡 | TOKYO LOGIC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 하바라 노부요시 | |
| 연출 | |||
| 작화감독 | 오카다 히로나(岡田洋奈) 사이토 카오리(斉藤 香) 이시하라 미츠루(石原 満) | ||
| 원화 | 사노 히로토시, 마츠오 신, 하야마 준이치, 시게타 사토시, 오조네 마사미(小曽根正美), 아리사와 히로시, 타카미 아키오, 오오바리 마사미 등 | ||
6.2. ED
| ED Like Gravity | |||
| TV ver. | |||
| M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노래 | BONNIE PINK | ||
| 작사 | |||
| 작곡 | |||
| 편곡 | 스즈키 마사토(鈴木正人)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이시이 아키에(石井章詠) | |
| 연출 | |||
| 작화감독 | 오카다 히로나 | ||
7. 회차 목록
|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5]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제1화 | 暗殺者はパンを食う 암살자는 빵을 먹는다 | 오카다 쿠니히코 (岡田邦彦) | 하바라 노부요시 이시하라 미츠루 (石原 満) | 하바라 노부요시 야마다 아키라 (山田 晃) | 이시하라 미츠루 사카모토 노조미 (阪本望実) 니시다 미야코 (西田美弥子) | 오카다 히로나 (岡田洋奈) 사이토 카오리 (斉藤 香) | 日선행: 2025.09.06. 日정규/韓: 2025.10.07. 하이라이트 |
| 제2화 | 暗殺者は看病する 암살자는 간병을 한다 | 니시자와 스스무 | 오오쿠보 토모 (大久保 朋) | 오오누키 켄이치 야마네 리히로 江萬辰 사키야마 토모아키 (崎山知明) 이시하라 미츠루 | 日/韓: 2025.10.14. 하이라이트 | ||
| 제3화 | 暗殺者は猫と触れ合う 암살자는 고양이와 어울린다 | 이시이 아키에 (石井章詠) | 야마네 리히로 코타니 쿄코 (小谷杏子) 카메다 토모유키 (亀田朋幸) 미야 아키히데 (宮 暁秀) 마츠시타 준코 (松下純子) | 日/韓: 2025.10.21. 하이라이트 | |||
| 제4화 | 暗殺者は名前を呼ぶ 암살자는 이름을 부른다 | 카게야마 시게노리 아오바 미즈키 (あおばみずき) | 사사키 코지 (佐々木浩司) | 타카하시 타츠야 (高橋竜弥) 사이토 마사카즈 (齋藤雅和) 혼다 케이이치 (本田敬一) 츠카모토 이코마 (塚本生駒) 이민동[A] (李民東) | 日/韓: 2025.10.28. 하이라이트 | ||
| 제5화 | 暗殺者はベッドで眠る 암살자는 침대에서 잠든다 | 이케다 마사시 | 토바 아키라 (鳥羽 聡) | 요시다 유이치 (吉田雄一) 나가오 히로키 (長尾浩生) 나카모토 나오 (中本 尚) 마에다 키요아키 (前田清明) | 日/韓: 2025.11.04. | ||
| 제6화 | 暗殺者は魔族と戦う 암살자는 마족과 싸운다 | 이시이 아키에 이시하라 미츠루 오쿠다 세이지 | 이시이 아키에 | 이시하라 미츠루 야마네 리히로 니시다 미야코 카메다 토모유키 | 日/韓: 2025.11.11. | ||
| 제7화[7] | 暗殺者は誓う 암살자는 맹세한다 | 니시자와 스스무 | 오카베 히토시 (岡部 仁) | 오오누키 켄이치 타카세 켄이치 강우진 (江禹辰) 사카모토 노조미 치바 미치노리 | 日/韓: 2025.11.18. | ||
| 제8화 | 暗殺者は見蕩れる 암살자는 넋을 잃고 본다 | 모리 타케시 | 사사키 코지 | 카스카와 미유키 (粕川みゆき) 사무카와 켄이치 (寒川顯一) 스즈키 켄지 (鈴木健史) 타카하시 타츠야 혼다 케이이치 Kidi 사카모토 노조미 | 日/韓: 2025.11.25. | ||
| 제9화 | 暗殺者は観光する 암살자는 관광한다 | 카게야마 시게노리 아오바 미즈키 테라오카 이와오 | 토바 아키라 | 日/韓: 2025.12.02. | |||
| 제10화 | | 日/韓: 2025.12. | |||||
| 제11화 | | 日/韓: 2025.12. | |||||
| 제12화 | | 日/韓: 2025.12. | |||||
8. 회차별 WEB 예고편
| <colbgcolor=#000000,#000000><colcolor=#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2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3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4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5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6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7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8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3px)" {{{#!folding 제9화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 }}}}}}}}} |
9. 해외 공개
9.1. 대한민국
|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transp" dark-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color: transp"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letter-spacing: -.5px; word-break: keep-all" | <rowcolor=#fff><colcolor=#fff> 시간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일 |
| 08:30 | [[베이블레이드 X(만화)/애니메이션/해외 공개/대한민국|{{{#!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5px; padding-tp: 5px; padding-bttom: 5px; brder: 2px Solid #a2ff1f; brder-radius: 12px; backgrund: black; font: 1em/0.96 monospace; font-family: revert; clor: white" | ||||||
| 16:00 | [[비밀의 아이프리(애니메이션 1기)#s-8.1|{{{#!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10px 0px 12px 0px" | ||||||
| 17:00 | [[프리큐어 시리즈/해외 공개/대한민국#s-4.1.16|{{{#!wiki style="margin: 0px -9px 0px -10px" | {{{#!wiki style="margin: -6px -10px; font-size: 8pt; font-weight: bold; text-align: left; color: transparent" | |||||
| 18:30 | |||||||
| 19:00 |
| 20:00 | |||||||
| 21:30 | |||||||
| 22:00 | |||||||
| 23:00 | |||||||
| 24:00 | 야생의 라스트 보스가 나타났다! | 무직의 영웅 ~스킬 따위는 별로 필요하지 않았다만~ | 서투른 선배 | 믿었던 동료들에게 던전 오지에서 살해당할 뻔했지만 기프트 『무한 뽑기』로 레벨 9999의 동료들을 손에 넣어 전 파티 멤버와 세계에 복수& 『참교육!』합니다! | [[아군이 너무 약해 보조 마법으로 일관하던 궁정 마법사, 추방당해서 최강을 노린다/애니메이션|{{{#!wiki style="margin: 0px -10px" | 기계 인간 마리 | |
| 24:30 | 소재 채취가의 이세계 여행기 | 카쿠리요의 여관밥 2 | 비탄의 망령은 은퇴하고 싶다(파트 2) | ||||
| 25:00 | 전생 악녀의 흑역사 | 둘이서 솔로 캠프 | [[결혼반지 이야기 Ⅱ|{{{#!wiki style="margin: 0px -10px" | ||||
| 25:30 | [[암살자인 내 스테이터스가 용사보다도 훨씬 강한데요/애니메이션|{{{#!wiki style="margin: 0px -10px" | ||||||
| 26:00 | |||||||
| 26:30 | |||||||
| 27:00 |
| {{{#!wiki style="margin: -15.5px -10px" | | 무료 스트리밍 | |||||||
| [[https://www.tving.com/player/C04042| (Windows · macOS용) | [[https://www.tving.com/contents/C04042| (Android · iOS · ipadOS용) | }}} | |||||||
한국에서는 애니맥스 코리아에서 2025년 4분기 한일 동시방영작으로 가져와 자막으로 방영한다. 번역은 조우리, 검수는 홍성욱, 종합편집은 최예지가 맡았다.
10. 평가
10.1. 방영 전
하바라 노부요시 감독은 애니메이션 업계에서 40년이 넘게 일해온 베테랑이지만, 이세계 전이물을 맡는 것은 이번이 커리어 처음이다. 본인도 이 때문에 불안한 부분이 있었지만 원작을 읽어보니 그 내용이 굉장히 마음에 들었다고 코멘트에서 언급했다.10.2. 방영 후
작화, 액션 연출이 좋아 팬들의 호평을 받는다. 특히 하바라 노부요시 감독의 의중이 적중하여 작화나 화풍이 가벼워지는 추세와 반대로 묵직하고 알찬 밀도로 나와 신선하다는 반응이 많다. 베르사유의 장미를 많이 참고했다 밝힌 만큼, 그쪽 특유의 화풍과 장르 특징이 합쳐져 94 레이어스나 로도스도 전기 같은 1990년대의 판타지 애니메이션 같은 느낌을 준다.중후한 작풍 덕인지 이세계물에 부정적인 서양에서도 긍정적인 평을 받는다.
일단 스토리 전개가 빠른 것을 넘어 인간관계가 너무 빠르게 이루어지다보니 무슨 의도인지는 알겠지만 부자연스럽다는 평이 많다. 지나치게 빠르게 호감도를 쌓고 갑자기 목숨까지 거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난다. 특히나 주인공의 인간불신 캐릭터성과도 안 어울린다는 평. 그 연장선으로, 주인공의 행동이 캐릭터성 기반이나 상식적으로 이해가 가는 범주에서 뜬금 없는 수준을 급격히 오가는 것도 비판점.
능력적으로 보면 주인공은 초반에 초먼치킨처럼 그려지지만 갑자기 잡졸이나 다름 없는 수준으로 평가절하 되는 것도 모순적이라는 평.
나아가 가장 큰 장점이었던 작화나 연출도 시간이 갈 수록 작화 붕괴가 흔하게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물론이고 전투 연출도 점점 어색해진다는 평. 다만 아직까지 양산형 이세계물에서 흔히 보이는 저질 연출까지는 아닌 수준.
11. 기타
- 원작자 코멘트, 원작 삽화가 및 코믹스 작가 축전
파일:스테츠요 애니화 축전 2.jpg <rowcolor=#ffffff,#ffffff> 원작 삽화가 토자이 코믹스 작가 아이가모 히로유키
원작 제작 초기의 꿈이 이루어져서 아직도 꿈을 꾸는 듯한 기분입니다! 갑자기 소환된 이세계에서 발버둥 치면서도 열심히 살아가는 아키라 일행을 봐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아카이 마츠리
}}} ||[1] 제4, 8화는 02:00. 4화의 사유는 YOU는 뭐 하러 일본에? ★ "후지산&갤&구르메" 대수확의 2시간 반 SP 으로 인한 방송지연.[2] 4화 한정 (화) 02:30
8화 한정 (화) 02:00[3] 반다이남코가 파산한 XEBEC의 직원 일부를 인수해서 만든 선라이즈의 자회사.[4] 아시 프로덕션 출신 베테랑 애니메이터. XEBEC의 대표 액션 애니메이터 중 한 명.[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액션[7] 원화 요시야마 유우, 하시모토 타카시, 야마네 리히로작화감독 보좌 등.
8화 한정 (화) 02:00[3] 반다이남코가 파산한 XEBEC의 직원 일부를 인수해서 만든 선라이즈의 자회사.[4] 아시 프로덕션 출신 베테랑 애니메이터. XEBEC의 대표 액션 애니메이터 중 한 명.[5]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A] 액션[7] 원화 요시야마 유우, 하시모토 타카시, 야마네 리히로작화감독 보좌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