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8-03 14:47:05

알렉세이 슈필레프스키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2025-26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하산비
비지예프

파일:FC 디나모 마하치칼라 로고.svg
발레리
카르핀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조나탄
알바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라시트
라히모프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안드레이
탈랄라예프

파일:FC 발티카 칼리닌그라드 로고.svg
로베르트
모레노

파일:PFC 소치 로고.svg
데얀
스탄코비치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자우르
테데예프

파일:FC 아크론 톨리야티 로고.svg
알렉산드르
스토로주크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블라디미르
슬리슈코비치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세르게이
세마크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파비오
첼레스티니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무라트
무사예프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마고메드
아디예프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알렉세이
슈필레프스키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러시아 퍼스트 리그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FC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Пари Нижний Новгород
파일:2,c=0,h=658.bild.jpg
<colbgcolor=#145E9F><colcolor=#fff> 이름 <colbgcolor=#ffffff,#191919> 알략세이 시필레우스키[1]
Аляксей Шпілеўскі[2]
Алексей Шпилевский[3]
Aleksey Shpilevsky
본명 알렉세이 니콜라예비치 슈필레프스키
Aleksey Nikolayeivch Shpilevsky
출생 1988년 2월 17일 ([age(1988-02-27)]세)
소련 벨로루시SSR 민스크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벨라루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벨라루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벨라루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cm
직업 축구 선수 (수비형 미드필더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bgcolor=#145E9F><colcolor=#fff> 선수 VfB 슈투트가르트 II (2004~2006)
감독 SG 조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 (2009~2010 / 유소년 코치)
VfB 슈투트가르트 (2011~2013 / 유소년 코치)
RB 라이프치히 (2013~2018 / 유소년 코치)
FC 디나모 브레스트 (2018)
FC 카이라트 (2018~2021)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2021)
아리스 리마솔 FC (2022~2025)
FC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 (2025~)
국가대표 벨라루스 U17 (2005)

1. 개요2. 선수 경력3. 감독 경력4. 같이 보기

1. 개요

벨라루스축구 선수 출신 감독.

2. 선수 경력

선수시절엔 VfB 슈투트가르트의 유소년 팀에서 뛰었으며 2005 UEFA U-17 축구 선수권 대회에서 벨라루스 대표로 출전하기도 했다. 2006년에 허리 부상을 이유로 은퇴를 선언했다.

3. 감독 경력

은퇴 후 독일에서 유소년 코치로 축구 생활을 이어나갔으며 2018년까지 SG 조넨호프 그로스아스파흐, VfB 슈투트가르트, RB 라이프치히에서 활동했다.

2018년 6월, 조국의 벨라루스 프리미어 리그FC 디나모 브레스트 감독직에 부임했다. 그리고 2개월 후 클럽 회장과 여러 오해 끝에 팀을 떠났다.

2018년 11월, 카자흐스탄 프리미어 리그FC 카이라트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3.1. 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

2021년 6월 7일, 2. 분데스리가FC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3.1.1. 2021-22 시즌

프리시즌의 성적은 2승 2패로 무난무난하다.

8월 9일 기준으로 리그에서 2무, 포칼에서 1패를 기록, 승리가 없다. 제일 큰 문제는 득점력으로, 3경기에서 고작 1득점만을 기록했다. 물론 팀의 주포 플로리안 크뤼거파스칼 테스트뢰트가 떠난걸 감안해야되지만...

결국 7라운드만에 경질되고 말았다.

3.2. 아리스 리마솔 FC

2022년 2월 키프로스 1부 리그아리스 리마솔 FC의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21/22 시즌 리그 4위를 달성하며 UEFA 유로파 컨퍼런스 리그 2차 예선에 진출시켰다.

2022-23 시즌 창단 최초로 팀의 키프로스 1부 리그 우승을 이끌었다. 2025년 5월 19일, 아리스 리마솔을 떠났다.

3.3.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2025-26시즌을 앞두고, 러시아 프리미어 리그에서 극적으로 잔류한 파리 니즈니 노브고로드의 신임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4. 같이 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145E9F,#b69c61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2015년 ~ 현재
초대
보그다네츠
파일:몰도바 국기.svg
2대
갈킨
파일:러시아 국기.svg
3대
피사레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4대
체리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대
예브도키모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5대(대행)
하조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6대
케르자코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7대
갈락티오노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8대
고를로프
파일:러시아 국기.svg
9대
유란
파일:러시아 국기.svg
10대
일리치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11대
곤차렌코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12대
슈필레프스키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


[1] 러시아식으로는 알렉세이 시필렙스키[2] 벨라루스어[3] 러시아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