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25 12:18:05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파일:러시아 프리미어 리그 로고.svg
2024-25 시즌 구단별 감독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2px -12px"
하산비
비지예프

파일:FC 디나모 마하치칼라 로고.svg
마르첼
리치카

파일:FC 디나모 모스크바 로고.svg
발레리
카르핀

파일:FC 로스토프 로고.svg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라시트
라히모프

파일:FC 루빈 카잔 로고.svg
데얀
스탄코비치

파일:FC 스파르타크 모스크바 로고.svg
자우르
테데예프

파일:FC 아크론 톨리야티 로고.svg
세르게이
타슈예프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블라디미르
슬리슈코비치

파일:FC 오렌부르크 로고.svg
세르게이
세마크

파일: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로고.svg
마르코
니콜리치

파일:PFC CSKA 모스크바 로고.svg
무라트
무사예프

파일:FC 크라스노다르 로고.svg
이고리
오신킨

파일:PFC 크릴리야 소베토프 사마라 로고.svg
빅토르
곤차렌코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드미트리
퍄티브라토프

파일:FC 파켈 보로네시 로고.svg
프랑크
아르티가

파일:FC 힘키 로고.svg
러시아 퍼스트 리그 감독 ▶
<colbgcolor=#f7f7f7,#191919> 파일:러시아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파일:벨라루스 국기.svg 프리미어 리그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
미하일 갈락티오노프의 역임 직책
{{{#!folding [ 펼치기 · 접기 ]
둘러보기 틀 모음
대표팀
클럽
파일:FC 아흐마트 그로즈니 로고.svg

48대
파일:FC 파리 니즈니노브고로드 로고.svg

7대
파일: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로고.svg

53대
}}} ||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АО «Футбольный клуб „Локомотив“»
파일:MikhailGalaktionov.png
미하일 갈락티오노프
Mikhail Galaktionov
<colcolor=white,#e5e5e5> 본명 <colbgcolor=white,#191919><colcolor=#000,#e5e5e5>미하일 미하일로비치 갈락티오노프
Михаил Михайлович Галактионов
출생 1984년 5월 21일 ([age(1984-05-21)]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국적
[[러시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
]][[틀:국기|
파일: 특별행정구기.svg
행정구
]][[틀:국기|
파일: 기.svg
속령
]]
직업 축구 선수(은퇴)
축구 감독
소속 <colcolor=white,#e5e5e5> 선수 FC 디나모 모스크바 (미상 / 유스)
FC 스포르트아카뎀클루브 모스크바 (미상 / 유스)
감독 DYuSSh 사뵬롭스카야 (미상 / 코치)
MFC 디나 모스크바 (미상 / 풋살)
FC 인테르 모스크바 (미상 / 코치)
FC 아카데미카 디나모 모스크바 (2007~2014)
러시아 U-16 대표팀 (2011~2014)
러시아 U-17 대표팀 (2014~2015)
러시아 U-19 대표팀 (2015~2017)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2017 / 수석 코치)
FC 아흐마트 그로즈니 (2017~2018)
러시아 U-20 대표팀 (2018)
러시아 U-21 대표팀 (2019~2023)
FC 니즈니 노브고로드 (2022)
FC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2022~ )
국가대표 없음

1. 개요2. 지도자 생활 이전3. 지도자 경력

[clearfix]

1. 개요

러시아축구 감독.

2. 지도자 생활 이전

크라스노그바르데예츠 유소년 축구학교에서 축구를 시작했고 이후 초대를 받아 디나모 모스크바 유스로 들어간다. 학교 졸업 이후 디나모 모스크바 유스에서 뛰기 시작했고 아카데미카에서도 뛰었다. 이후 다양한 하부 리그 구단과 유스 프리미어 리그를 전전했으나 건강 문제로 22세에 선수생활을 접는다.

2006년에 모스크바 시립 교육학 대학교에 들어가 축구 코치와 교사 학위를 획득한다. 2008년에 국립 팀스포츠 매니지먼트 대학교에 들어가 2008년에는 아약스, PSV, 페예노르트, 위트레흐트, 2010년에는 랑스에 들어가 지도자 연수를 받는다. 2012년에 대학에서 졸업한 뒤에, 2013년부터 다시 러시아 축협 코칭스킬 아카데미를 수료했고, 2014년 6월에 수료하며 UEFA A 라이센스를 취득한다.

3. 지도자 경력

여러 유스 구단을 전전하다가 2007년 디나모 모스크바의 아카데미에 합류하게 된다. 4년동안 U-12와 U-10반을 맡았다.

2014년 5월, 러시아 U-17 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2015년 5월 U-17 유로에서 러시아는 4강에 진출했고, 독일에 1대0으로 패한다. 10월에 열린 U-17 월드컵에선 16강에서 에콰도르에 패배하였다. 이후 러시아에서 유소년 육성에 관한 자질을 인정받았고, 2017년 6월에 상호 합의하에 러시아 대표팀을 떠난다.

2017년 6월에 아흐마트 그로즈니의 수석코치로 들어가게 된다. 10월 30일 올레크 코노노프 감독이 사임한 뒤에는 감독 대행을 맡았고, 12월 14일에 3.5년 계약을 체결하며 정식 감독으로 임명된다. 2017년 말, 율리안 나겔스만, 도메니코 테데스코의 뒤를 이어 유럽에서 3번째로 젊은 감독이 되었다. 2018년 4월 7일, 루빈 카잔과의 경기에서 패한 뒤에 사임한다.

2018년 5월 22일, 러시아 U-20 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었다. 2018년 12월 7일에는 러시아 U-21 대표팀 감독으로 이동해 2021년 유로 U-21 사령탑이 되었으나, 러시아는 조별리그에서 탈락하고 만다. 하지만 이후 2023 U-21 유로 예선에서는 조 2위를 기록하는 등 준수한 성적을 거두었다. 이후 2023년 6월, 러시아 연령별 대표팀 세대교체와 함께 러시아 U-21 대표팀 사령탑에서 떠나게 된다.

2022년 6월 16일, 젊은 선수들을 영입하는 것으로 팀의 기조를 바꾼 파리 NN의 레이더 망에 걸려, 파리 NN의 감독으로 임명된다. 러시아 U-21 대표팀 감독직과 병행할 예정이다. 이후, 젊은 선수들을 꾸준히 영입하며 10위권 안팎의 나쁘지 않은 성적을 거둔다.

2022년 11월 13일, 유망주 육성을 기조로 하고 싶은 강등권까지 추락한 로코모티프 모스크바가 그를 감독으로 선임한다. 로코모티프 모스크바 부임 이후 시즌 종료시까지, 리그에서 단 1패만을 기록하며 팀을 14위에서 8위까지 끌어올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