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05 04:32:38

알렉산드르 알투닌

<colbgcolor=#cd0000>
소비에트 연방 제30대 북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알렉산드르 테렌티예비치 알투닌
Алекса́ндр Тере́нтьевич Алту́нин
Alexander Terentyevich Altunin
파일:알렉산드르 알투닌.jpg
<colcolor=#ffe400,#ffe300> 출생 1921년 8월 14일
러시아 SFSR 옴스크주 칼라친스키구 스테클랸카 마을
(現 러시아 시베리아 연방관구 옴스크주 스테클랸카 마을)
사망 1989년 7월 15일 (향년 67세)
소련 러시아 SFSR 모스크바
묘소 노보데비치 묘지
재임기간 제30대 북캅카스 군관구 사령관
1968년 6월 ~ 1970년 10월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cd0000><colcolor=#ffe400,#ffe300> 배우자 폴리나 드미트리예브나 알투니나
자녀 장남 알렉산드르
차남 유리
복무 노농적군
1939년 ~ 1946년
소비에트 지상군
1946년 ~ 1989년
최종 계급 대장 (소비에트 지상군)
주요 참전 독소전쟁
주요 서훈 레닌훈장 (4회)
소비에트 연방 영웅
알렉산드르 넵스키 훈장
적기훈장 (2회)
적성훈장
}}}}}}}}}


[clearfix]

1. 개요

소련군인.

2. 생애

농민 가정에서 태어나 8년제 학교를 졸업했다. 회계사로 일하다 1939년 8월 노농적군에 입대 후 1940년 2월 옴스크 보병사관학교에 입학했다. 1941년 6월 졸업 후 하리코프 군관구에서 복무하게 됐다.

2.1. 제2차 세계 대전

2.1.1. 독소전쟁

제25소총군단 제162보병사단 제720보병연대 박격포중대 부중대장이었던 알투닌 중위는 1941년 7월부터 비텝스크 동쪽 방어를 담당하다 심각한 부상을 입었다. 퇴원 후 9월부터 북캅카스 군관구 제65예비소총여단 소총중대장을 맡은 뒤 11월 자캅카스 군관구 제157보병사단 제633보병연대 소총중대장으로 임명됐다. 12월 케르치-페오도시야 상륙전 당시 3일 간의 전투를 치르다 두 번째 부상으로 기절했다. 입원 당시 발진티푸스에 걸렸다.

1942년 4월, 퇴원 후 제21독립예비군 부사령관을 역임한 뒤 1943년 11월 제1벨로루시전선군 제11군 제197보병사단에서 작전장교로 복무했다. 1944년 3월부터 제1우크라이나전선군 제3근위군 소총대대장이었던 알투닌 대위는 리보프-산도미에시 작전에서 독일 육군의 방어선을 뚫고 여러 도시를 탈환했다. 7월 후반, 비스와 강 근처 교두보를 점령해 독일 육군을 몰아냈으며, 40일 넘는 전투를 치른 뒤 레닌훈장과 금성메달을 받았다. 11월부터 제889보병연대 부연대장으로 임명된 알투닌 소령은 비스와-오데르 대공세, 하부 슐레지엔 공세를 지휘한 뒤 전역했다.

2.2. 체르노빌 원자력 발전소 폭발 사고

민방위 부대를 지휘하며 사고 현장 수습에 나섰으나 여러 실책으로 1986년 7월 강제 해임돼 소련 국방부 감찰단 고문을 역임했다.

2.3. 말년

모스크바에서 살며 작가로 활동했다. 1989년 7월 15일 심장마비로 사망한 뒤 노보데비치 묘지에 매장됐다.

3. 진급 이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