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19 12:39:45

안드라시 슈포라르

안드라슈 슈포라르에서 넘어옴

파일: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로고.svg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25-26 시즌 스쿼드
3 포코르니 · 4 [[구람 카시아|카시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b1e6; font-size: .8em"]] · 5 이브라힘 · 6 비머 · 7 [[블라디미르 바이스(1989)|바이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43b1e6; font-size: .8em"]] · 8 가이도스 · 9 쿠하레비치 · 10 톨리치 · 11 바르세갼
12 바이리치 · 14 이라양 · 16 마테아스 · 17 메드베데프 · 18 마르셀리 · 19 포그닝 · 20 무스타피치 · 21 마크 · 23 주베루
26 리치 · 28 블랙맨 · 31 트르노브스키 · 44 마치크 · 57 크루스 · 71 타카치
77 이흐나텐코 · 88 사비디스 · 97 오포리 · 99 슈포라르
블라디미르 바이스
* 이 표는 간략화한 버전입니다. 스쿼드에 대한 자세한 정보는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 본래 스쿼드에서 타 팀으로 임대간 선수는 제외되었습니다.
파일:Andraž Šporar 1087.webp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No. 99
안드라시 슈포라르
Andraž Šporar
<colbgcolor=#43b1e6> 출신 1994년 2월 27일 ([age(1994-02-27)]세)
슬로베니아 류블랴나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슬로베니아|{{{#!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슬로베니아}}}{{{#!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186cm / 체중 82kg
포지션 스트라이커, 윙어
주발 왼발
소속 <colbgcolor=#43b1e6> 유스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1999~2005)
MNK 류블랴나 (2005~2009)
NK 인터블록 1975 류블랴나 (2009~2011)
프로 NK 인터블록 1975 류블랴나 (2011~2012)
NK 올림피야 류블랴나 (2012~2015)
FC 바젤 (2016~2018)
DSC 아르미니아 빌레펠트 (2017~2018 / 임대)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18~2020)
스포르팅 CP (2020~2022)
SC 브라가 (2021 / 임대)
미들즈브러 FC (2021~2022 / 임대)
파나티나이코스 FC (2022~2025)
알란야스포르 (2025)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25~ )
국가대표 64경기 12골[1] (슬로베니아 / 2016~ )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여담6. 같이 보기

1. 개요

슬로베니아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소속 축구 선수.

2. 클럽 경력

2.1. 자국 리그 시절

NK 인터블록에서 데뷔 첫 시즌부터 리그 두자릿 수 득점을 기록하며 발군의 득점력을 보여주었고 2012년 6월, NK 올림피야 류블랴나로 이적했다. 오자마자 팀의 주전 스트라이커로 자리잡으며 1부 리그 데뷔 무대임에도 리그 28경기 동안 11골을 넣으며 어린 나이에 리그 수준급 스트라이커로 거듭난다.

이후에도 팀의 주력 선수로 활약하다가 2015-16 시즌을 앞두고 22살의 나이에 팀의 캡틴으로 선임되었다. 그리고 주장 임명 후 첫 시즌에서 전반기에만 리그 18경기에 17골이라는 절정의 득점력을 과시하며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었다.

2.2. FC 바젤

그에게 있어 더이상 자국 무대는 너무 좁아보였고, 겨울 이적시장을 통해 스위스 리그의 명문팀 FC 바젤과 4년 반 계약을 체결한다. 그리고 2월 14일에 그라스호퍼를 상대로 데뷔전을 가졌다. 그러나 4일 뒤 AS 생테티엔과의 UEFA 유로파 리그를 앞두고 워밍엄 도중 부상으로 인해 수술이 불가피함에 따라 예기치 못하게도 시즌을 마감하고 말았다.

부상 복귀 후 새 시즌을 맞이 했지만 이번에도 부상과 함께 기량 부족으로 이렇다할 모습을 보여주지 못했다. 결국 2017년 7월에 2. 분데스리가아르미니아 빌레펠트로 1시즌 임대를 떠났으나 독일 무대에서도 별 다른 활약은 없었다. 심지어 13라운드 에르츠게비르게 아우에전 이후 치아 수술을 받게 되면서 남은 전반기 경기를 나서지 못했다.

2.3.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018년 1월,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에 60만 유로의 이적료로 입단했다. 브라티슬라바에서 세 시즌간 1번의 리그 우승과 2번의 슬로바키아 컵 우승을 일궈냈다. 특히, 2018-19 시즌은 그의 커리어하이로 리그에서만 29골을 득점하며 득점왕과 리그 올해의 선수를 석권함과 동시에 리그 우승의 주역으로 맹활약했다.

2.4. 스포르팅 CP

2020년 1월 23일, 슬로바키아를 폭격한 슈포라르는 프리메이라 리가스포르팅 CP와 600만 유로의 이적료에 5년 반 계약을 맺고 입단했다. 이번 이적으로 그는 슬로바키아 수페르리가에서 가장 비싼 금액으로 이적한 선수가 되었다.

첫 시즌에는 리그 16경기 6골, 유로파 리그에서 2경기 1골을 득점하며 준수한 성적을 기록했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는 스트라이커로 믿고 맏기기에 부족한 모습을 여러차례 보이며 이듬해 SC 브라가로 잔여 시즌간 임대를 떠났다.

임대 복귀 후 2021-22 시즌을 앞두고 팀 명단에서 제외되며 전력 외 선수로 분류되었고, 조만간 팀을 떠날 것으로 예상되었다.

2.4.1. 미들즈브러 FC (임대)

2021년 8월 30일, EFL 챔피언십 소속팀인 미들즈브러 FC로 임대를 떠났다.

2.5. 파나티나이코스 FC

현지 시각 2022년 7월 27일, 파나티나이코스 FC로 이적했다. 계약 기간은 2026년 6월까지.

첫 시즌, 컵대회 포함 37경기 14골 6어시스트로 준수한 활약을 펼쳤고, 리그컵 우승을 견인했다.

2.6. 알란야스포르

2025년 2월 11일, 알란야스포르로 이적하였다. 계약 기간은 2027년까지. 이적료는 €750k.

2.7.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2기

2025년 8월 31일,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로 이적하였다. 등번호는 99번.

3. 국가대표 경력

2016년 11월, 몰타폴란드와의 2연전을 앞두고 A대표팀에 처음으로 소집됐다. 그리고 11일에 몰타와의 월드컵 예선경기에서 후반 38분에 밀리보예 노바코비치 대신 교체 투입되며 A대표팀에 데뷔했다.

현재는 무게감이 떨어지는 대표팀의 공격진 중 베냐민 셰슈코와 함께 그나마 믿을만한 스트라이커로서 활약하고 있다.

4. 플레이 스타일

준수한 주력에 컷백이 날카로우며 탁월한 위치선정 능력을 통해 득점을 노리는데 일가견이 있는 선수다.

5. 여담

  • 아버지는 1972년생의 前 축구 선수인 미하 슈포라르이다.

6. 같이 보기

파일: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로고.svg
슬로베니아 축구 국가대표팀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ff {{{#!folding [ 펼치기 · 접기 ]
<rowcolor=#fff>포지션등번호이름생년월일출장소속 클럽
GK - 얀 오블락 파일:주장 아이콘.svg
Jan Oblak
1993년 1월 7일 ([age(1993-01-07)]세) 79 0 파일:스페인 국기.svg 아틀레티코 마드리드
- 이고르 베키치
Igor Vekić
1998년 5월 6일 ([age(1998-05-06)]세) 2 0 파일:덴마크 국기.svg 바일레 BK
- 잔 루크 레반
Zan Luk Leban
2002년 12월 10일 ([age(2002-12-10)]세) 0 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NK 첼레
X 비드 벨레치
Vid Belec
1990년 6월 6일 ([age(1990-06-06)]세) 19 0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아포엘 FC
X 마르틴 튀르크
Martin Türk
2003년 8월 21일 ([age(2003-08-21)]세) 0 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DF - 페타르 스토야노비치
Petar Stojanović
1995년 10월 7일 ([age(1995-10-07)]세) 69 2 파일:폴란드 국기.svg 레기아 바르샤바
- 야카 비욜
Jaka Bijol
1999년 2월 5일 ([age(1999-02-05)]세) 65 1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즈 유나이티드 FC
- 잔 카르니치니크
Žan Karničnik
1994년 9월 18일 ([age(1994-09-18)]세) 40 2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NK 첼레
- 유레 발코베츠
Jure Balkovec
1994년 9월 9일 ([age(1994-09-09)]세) 38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알란야스포르
- 에리크 얀자
Erik Janža
1993년 6월 21일 ([age(1993-06-21)]세) 25 3 파일:폴란드 국기.svg 구르니크 자브제
- 다비드 브레칼로
David Brekalo
1998년 12월 3일 ([age(1999-10-30)]세) 23 1 파일:미국 국기.svg 올랜도 시티 SC
- 바냐 드르쿠시치
Vanja Drkušić
1999년 10월 30일 ([age(1999-10-30)]세) 22 0 파일:러시아 국기.svg FC 제니트 상트페테르부르크
- 다비드 제크
David Zec
2000년 1월 5일 ([age(2000-01-05)]세) 2 0 파일:독일 국기.svg 홀슈타인 킬
MF - 아담 그네즈다 체린
Adam Gnezda Čerin
1999년 7월 16일 ([age(1999-07-16)]세) 44 6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 산디 로브리치
Sandi Lovrić
1998년 3월 28일 ([age(1998-03-28)]세) 44 5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우디네세 칼초
- 욘 고렌츠 스탄코비치
Jon Gorenc Stanković
1996년 1월 14일 ([age(1996-01-14)]세) 31 1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SK 슈투름 그라츠
- 티미 엘시니크
Timi Elšnik
1998년 4월 29일 ([age(1998-04-29)]세) 30 1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FK 츠르베나 즈베즈다
- 데얀 페트로비치
Dejan Petrovič
1998년 1월 12일 ([age(1998-04-29)]세) 11 0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HNK 리예카
- 토미 호르바트
Tomi Horvat
1999년 3월 24일 ([age(1999-03-24)]세) 8 0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SK 슈투름 그라츠
- 타마르 스베틀린
Tamar Svetlin
2001년 7월 30일 ([age(2001-07-30)]세) 8 0 파일:폴란드 국기.svg 코로나 키엘체
- 스빗 세슬라
Svit Sešlar
2002년 1월 9일 ([age(2002-01-09)]세) 3 0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에위프스포르
- 다니옐 스텀
Danijel Šturm
1999년 1월 4일 ([age(1999-01-04)]세) 3 0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NK 첼레
FW - 베냐민 셰슈코
Benjamin Šeško
2003년 5월 13일 ([age(2003-05-13)]세) 43 16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맨체스터 유나이티드
- 잔 비포트니크
Zan Vipotnik
2002년 3월 18일 ([age(2002-03-18)]세) 19 3 파일:웨일스 국기.svg 스완지 시티 AFC
- 블라즈 크레이머
Blaž Kramer
1996년 6월 1일 ([age(1996-06-01)]세) 10 0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알 오크두드 클럽
- 네이츠 그라디샤르
Nejc Gradišar
2002년 8월 6일 ([age(2002-08-06)]세) 1 1 파일:이집트 국기.svg 알 아흘리 SC
X 베냐민 베르비치
Benjamin Verbič
1993년 11월 27일 ([age(1993-11-27)]세) 63 7 파일:그리스 국기.svg 파나티나이코스 FC
X 안드라시 슈포라르
Andraž Šporar
1994년 2월 27일 ([age(1994-02-27)]세) 62 12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ŠK 슬로반 브라티슬라바
X 얀 믈라카르
Jan Mlakar
1998년 10월 23일 ([age(1998-10-23)]세) 28 4 파일:프랑스 국기.svg 아미앵 SC
X 잔 첼라르
Žan Celar
1999년 03월 14일 ([age(1999-03-14)]세) 17 0 파일:독일 국기.svg 포르투나 뒤셀도르프
출처: 영문 위키피디아 / 마지막 수정 일자: 2025년 7월 16일
}}}}}}}}} ||

1 오블락 · 2 카르니치니크 · 3 발코베츠 · 4 블라지치 · 5 스탄코비치 · 6 비욜 · 7 베르비치 · 8 로브리치
9 슈포라르 · 10 엘시니크 · 11 셰슈코 · 12 벨레치 · 13 얀자 · 14 쿠르티치 · 15 호르바트 · 16 베키치 · 17 믈라카르
18 비포트니크 · 19 첼라르 · 20 스토야노비치 · 21 드르쿠시치 · 22 체린 · 23 브레칼로 · 24 주겔리 · 25 젤코비치 · 26 일리치치
파일:UEFA EURO SVN.png 마티아시 케크

[1] 2025년 11월 19일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