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learfix]
1. 개요
아메리칸 항공의 서비스를 설명한 문서이다.2. 특징
|
<rowcolor=#fff> 스카이트랙스 선정 3성급 항공사 |
2010년대 후반부터 2020년대에 들어서 AVOD 제거[1]나 좌석간격 축소 등의 정책으로 인해 점점 평판이 좋아지지 않고 있다.[2] 그나마 아메리칸 항공을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는 이유는 델타항공의 기내식이 새모이라는 멸칭이 생길 정도로 구성품이 부실해진 데 반해, 아메리칸 항공의 경우 아직까지는 그나마 구성이 알차고 식사가 상대적으로 맛있는데다 승객들이 가져가라고 갤리에 차려놓은 간식거리가 충분하기 때문에 군것질 좋아하는 사람들에게는 그나마 최적의 선택이 되었다는 시각이 많다.[3]
3. 서비스 관련 수상 내역
3.1. 스카이트랙스 세계 항공사 어워즈 2024
<rowcolor=#fff> 2024 스카이트랙스 순위 | 2024 스카이트랙스 수상 내역 | |
세계 항공사 종합 순위 | 78위 | 없음 |
세계 최고의 항공사 승무원 | - | |
세계 최고의 기내 엔터테인먼트 | 12위 | |
세계 최고의 공항 서비스 | - | |
세계 최고의 퍼스트 클래스 | - | |
세계 최고의 비즈니스 클래스 | - | |
세계 최고의 프리미엄 이코노미 | - | |
세계 최고의 이코노미 클래스 | - | |
세계에서 제일 청결한 항공사 | - | |
세계에서 제일 가족 친화적인 항공사 | - |
4. 클래스별 서비스
4.1. 퍼스트 클래스
|
퍼스트 클래스 |
4.2. 비즈니스 클래스
|
보잉 777, 보잉 787-9의 비즈니스 클래스 |
4.3. 프리미엄 이코노미
|
보잉 777, 보잉 787-9의 프리미엄 이코노미 |
4.4. 이코노미 클래스
|
보잉 777, 보잉 787-9의 이코노미 클래스[4] |
|
A320 패밀리, 보잉 737의 이코노미 클래스 |
|
A320 패밀리, 보잉 737의 이코노미 클래스 Ver.2 |
5. 기내식
|
기내식 |
델타 항공이나 유나이티드 항공도 인천~디트로이트 노선과 인천~샌프란시스코 노선에서 한식 혹은 한식에 준하는 기내식을 제공하지만 김치까지 제공되지는 않았다. 델타 항공의 경우 인천~디트로이트 노선에서 김치를 제공하기는 하나 비즈니스 클래스 한정이고, 일반석에는 2016년 2월 현재 델타항공의 인천~시애틀 노선의 이코노미 클래스에도 김치가 제공된다.
또한 인천~댈러스 노선에는 간식으로 농심그룹의 신라면이 제공되기도 한다. 신라면을 주문할 수 있는 것은 좋지만 가끔 승무원들이 물의 양을 조절하지 못해서 싱거운 라면이 나오기도 한다.
이외에도 부산 출발 승객들이 주로 이용하는 나리타 출발 노선에는 일식 선택 시 나무젓가락을 제공한다. 이 노선에서 제공되는 일식 기내식은 평이 좋은데다, 간식으로 메밀 소바 등이 제공되는 등 아시아권 승객들을 신경쓰는 모습이 보인다.
6. 기내 엔터테인먼트
7. 라운지
|
라운지 |
8. 기내 와이파이
<rowcolor=#fff> 요금제 | 제한 시간 | 요금 |
(요금제명) | X시간 | (가격) |
(요금제명) | X시간 | (가격) |
(요금제명) | X시간 | (가격) |
[1] 정확하게는 BYOD(Bring Your Own Device) 형식으로 변경 중이며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 등 개인 전자기기로 와이파이에 연결하면 기내 엔터테인먼트 사용이 가능하다. 그래도 광동체에는 모두 AVOD가 달려있다.[2] 반면 사고를 한번 거하게 친 유나이티드 항공은 이후 정신을 차리고 서비스 개선을 미친듯이 하고 있는 바람에 더더욱 비교당하고 있다. 물론 그래도 두 항공사 다 델타항공보다 서비스 평판이 아래며, 그 델타항공도 세계 평균 수준이 될까말까한 수준이다.[3] 예를들어, 비즈니스 클래스 DELTA ONE®의 식사가 아메리칸 항공의 프리미엄 이코노미보다 약간 좋은 수준이라는 평이 많다. 이코노미 클래스 메인 캐빈 또한 간편식 형태로 나오고 같이 딸려나오는 반찬이 빠져버린데다 두 번째 기내식은 햄버거 또는 머핀 딸랑 주고 끝이다. 이는 아메리칸 항공을 타면 비행 중간에 나오는 간식의 형태와 유사하다. 이는 아메리칸 항공을 타면 비행 중간에 나오는 간식의 형태와 유사하다. 유나이티드 항공의 경우에도 평판이 나락으로 떨어졌음에도 불구하고 이용하는 사람들이 있었던 이유가 기내식이 맛있기 때문이었다고 한다.(정작 미국에서 가장 기내식으로 호평받는 유나이티드도 기내식 맛없다는 후기가 2024년 현재도 잊을 만하면 나온다. 동양인들이야 입맛에 안 맞아서 그럴 수 있는데, 미국인들의 후기에서도 아직도 악평이 나온다.)[4] 보잉 777은 리모컨이 구형이고 보잉 787-9는 신형이다. 한 때 보잉 787-8도 이런 좌석을 사용했으나 몇 년전 신형 좌석으로 교체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