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AC00 || 넘어옴1[넘어옴1.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AC00 || 넘어옴2[넘어옴2.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AC00 || 넘어옴3[넘어옴3.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AC00 || 넘어옴4[넘어옴4.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AC00 || 넘어옴5[넘어옴5.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AC00 || 넘어옴6[넘어옴6.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AC00 || 넘어옴7[넘어옴7.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AC00 || 넘어옴8[넘어옴8.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AC00 || 넘어옴9[넘어옴9.length - 1] > 0xD7A3
은(는)}}}}}}}}}{{{#!if 넘어옴10 != null
,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는}}}{{{#!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28) != 0
은}}}}}}{{{#!if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AC00 || 넘어옴10[넘어옴10.length - 1] > 0xD7A3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창작물 묘사}}}에 대한 내용은 [[아리아드네/창작물]]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아리아드네/창작물#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아리아드네/창작물#|]]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다른 뜻: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아리아드네(동음이의어)#|]]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창작물 묘사: }}}[[아리아드네/창작물]]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아리아드네/창작물#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아리아드네/창작물#|]]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color=#b59162><colbgcolor=#663333> 크레타의 공주 아리아드네 Ἀριάδνη | Ariadne | |
| | |
| 출신 | 크레타 |
| 부모 | 미노스 (아버지) 파시파에 (어머니) |
| 형제자매 | 데우칼리온 글라우코스 카트레우스 안드로게오스 파이드라 아카칼리스 크세노디케 미노타우로스 (이부 동생) |
| 배우자 | 디오니소스 |
| 자식 | 오이노피온 토야스 스타필로스 페파레토스 |
1. 개요
그리스 로마 신화에 등장하는 공주. 크레타의 왕 미노스와 왕비 파시파에의 딸들 중 장녀이며 제우스와 에우로페의 손녀이다. 헤시오도스의 신들의 계보에서 언급된 머리색은 금발이다.[1]2. 행적
테세우스가 나타나자 그한테 반해서 결혼을 조건으로 미노타우로스를 죽이는 것에 협력하였다. 아리아드네는 다이달로스한테 가서 미궁을 헤쳐나갈 실마리인 실타래를 받고는 길을 잃지 않기 위한 도구라고 하면서 테세우스한테 건네줬다.그가 크레테에 도착하였을 때, 미노스의 딸인 아리아드네가 그에 대한 사랑에 빠져, 만일 그가 자신을 아내로서 아테나이로 데려가는 데 동의한다면 도와주겠노라고 알려온다. 테세우스가 그러겠다고 맹세하자, 그녀는 다이달로스에게 미궁에서 나오는 길을 가르쳐 달라고 요청한다.
『그리스 신화』, 강대진 번역, 민음사, 2022, [ebook] (아폴로도로스, 『비블리오테카』 요약집 1,8)
그렇게 미노타우루스 퇴치에 성공한 테세우스와 함께 도망쳤으나 정작 둘은 이어지지 않았다. 여기엔 다양한 전승이 있는데, 오뒷세이아에 따르면 디오니소스가 모종의 고발을 하여[2] 아르테미스가 아리아드네를 죽여버렸다고 한다.『그리스 신화』, 강대진 번역, 민음사, 2022, [ebook] (아폴로도로스, 『비블리오테카』 요약집 1,8)
또 파이드라, 프로크리스, 아리따운 아리아드네를 보았는데
파멸을 꾀하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는 한번은 테세우스가
크레타로부터, 신성한 아테나이의 언덕으로 데려가려 했으나
그녀와는 행복하지 못했으니, 그 이전에 바다에 둘러싸인 디아섬에서
아르테미스가 디오니소스의 고발로 그녀를 죽였던 것이다.
오뒷세이아 11,321-325, 김기영 번역
파멸을 꾀하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는 한번은 테세우스가
크레타로부터, 신성한 아테나이의 언덕으로 데려가려 했으나
그녀와는 행복하지 못했으니, 그 이전에 바다에 둘러싸인 디아섬에서
아르테미스가 디오니소스의 고발로 그녀를 죽였던 것이다.
오뒷세이아 11,321-325, 김기영 번역
저는 파이드라와 프로크리스, 그리고 아름다운 아리아드네를 보았답니다.
파멸을 꾀하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는 예전에 테세우스가
크레테로부터 신성한 아테네의 언덕으로 데려갔지만,
소용없는 일이었지요. 아르테미스가 그녀를 바다로 둘러싸인 디아에서
일찌감치 죽여버렸으니꺼요. 디오니소스의 증언 때문이지요.
같은 책, 이준석 번역
파멸을 꾀하는 미노스의 딸 아리아드네는 예전에 테세우스가
크레테로부터 신성한 아테네의 언덕으로 데려갔지만,
소용없는 일이었지요. 아르테미스가 그녀를 바다로 둘러싸인 디아에서
일찌감치 죽여버렸으니꺼요. 디오니소스의 증언 때문이지요.
같은 책, 이준석 번역
그곳(낙소스 섬)에서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에게 반해 그녀를 납치했다. 그리고 그는 그녀를 렘노스 섬으로 데려가서 살을 섞어 토야스와 스타필로스, 오이노피온과 페파레토스를 낳았다.
비블리오테케 요약 1장 9(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295P) (천병희 역)
그 외에 테세우스가 낙소스섬에 유기했단 전승도 있다.[3] 그런데 이런 전승에도 이유를 두고 여러 가지 설이 병립한다. 단순히 테세우스가 깜빡했다는 전승, 아테나로부터 아리아드네를 데리고 돌아가면 안 좋은 일이 생기리라는 신탁을 받았다는 전승,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에게 반하여 테세우스에게 두고 떠나라고 명령했다는 전승[4], 디오니소스가 아예 아리아드네를 납치했다는 전승 등이 존재한다.[5] 유기 전승의 다음 행적은 대체로 상심한 아리아드네를 위로해 준 디오니소스와 결혼했다고 한다. 이때 디오니소스가 결혼선물로 선물한 왕관이 북쪽왕관자리가 되었다고 한다.[6]비블리오테케 요약 1장 9(원전으로 읽는 그리스 로마 신화 295P) (천병희 역)
디오니소스와 함께 살다가 수명이 다해 죽었다고도 하지만 디오니소스가 이후 저승으로 내려가 어머니 세멜레와 함께 아리아드네를 여신으로 만들어 줬다고도 한다. 디오도로스 시켈로스에 따르면 디오니소스가 아리아드네를 무척 사랑하여 불멸의 존재로 만들어 줬다고 한다. 로마 신화에서는 바쿠스에 의해 여신이 된 아리아드네가 이후 로마에서 리베라라는 풍요의 여신으로 숭배되었다고 한다.
로도스의 아폴로니오스의 《아르고나우티카》 3권 997-1004행에서는 테세우스와 같이 배를 타고 조국을 떠났다고 한다. 신들도 아리아드네를 사랑했으며 창공 가운데 별들로 된 관이 그 증거라고. 그것은 '아리아드네의 관'이라고 불린다.
고전시대의 그리스 신화만을 보면 불쌍해서 (전승에 따라) 여신으로 만들어 준, 단순히 버림받은 여인으로만 보이겠지만, 사실 아리아드네는 미노아 문명에서 풍요의 여신으로 숭배된, 역사가 긴 여신이다. 미노아 시대에는 페르세포네와 연관되어 숭배를 받았다.
미술학도들에게는 소묘용 석고상으로 친숙하다. '아리아스'로 더 많이 알려졌다.
3. 대중매체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리아드네/창작물#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아리아드네/창작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1] 신들의 계보 947~948행에서 언급. '황금빛 고수머리의 디오니소스는 미노스의 딸 금발의 아리아드네를 꽃다운 아내로 맞았다.'(천병희 역)[2] 구체적으로 무슨 고발인지는 알려지지 않았다.[3] 오비디우스의 변신 이야기 8권에서도 이를 따랐다.[4] 만화로 보는 그리스 로마 신화에서는 이 설을 택했다.[5] 헤로도토스의 서술에 따르면, 테세우스가 단순히 싫증났다는 이유로 임신까지 한 아리아드네를 그냥 버렸다고 한다. 그나마 낙소스가 무인도는 아니어서 다행이었다고..[6] 올림포스 가디언 마지막 에피소드에서 왕관자리의 기원이 나오는데 여기서 헤라, 데메테르, 아프로디테에게 비열하기 짝이 없는 약탈혼이라고 까였다. 한술 더 떴다는 아폴론의 놀림은 덤. 아폴론은 왕관자리 이야기 이전, 까마귀자리 이야기가 나왔을 때 디오니소스가 사랑이 깨진 건 아폴론과 코르니스인데 왜 애꿎은 까마귀에게 화풀이를 했냐고 아폴론을 까내렸기 때문에 복수한 듯하다. 근데 이전 미다스 편에서도 이성과 감성으로 투닥거릴 때도 아폴론이 디오니소스더러 너무 감성에만 치우치면 안 된다고 하자, 디오니소스가 이성적이어서 다프네를 놓친 거냐, 사랑은 이성으로 하는 게 아니냐고 맞받아친 적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