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1-27 03:52:15

스피릿 핑거스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네이버 웹툰 연재작
{{{#!wiki style="margin:-16px -11px" PLAY툰 브랜드웹툰 연재종료 }}}
나무위키에 문서가 있는 전체 네이버 웹툰 연재작
스피릿 핑거스
Spirit Fingers
<nopad> 파일:스피릿핑거스.png
장르 성장, 로맨스, 학원[1]
작가 한경찰
연재처 네이버 웹툰
연재 기간 2015. 05. 16. ~ 2018. 09. 01.
연재 주기
단행본 권수 13권 (2020. 09. 03. 完)
이용 등급 전체 이용가

1. 개요2. 줄거리3. 연재 현황
3.1. 해외 연재
4. 특징5. 등장인물6. 단행본7. 미디어 믹스
7.1. 드라마7.2. 게임7.3. 애니메이션7.4. 리메이크 웹툰
7.4.1. 인도네시아
8. 기타

1. 개요

대한민국웹툰. 한경찰 작가가 전작 고고루키루에 이어서 내놓은 후속작.

2. 줄거리

평범한 여고생, 알록달록 이상한 그림모임에 들어가다!

나만의 색을 찾아 떠나는 모험 이야기!

지극히 평범한 고등학교 2학년 여학생 송우연이 우연히 만난 '스피릿 핑거스'라는 그림 모임에 가입 하면서 자신의 색깔과 개성, 꿈을 찾아가는 이야기를 그린다.

3. 연재 현황

{{{#!wiki style="margin: 0px -11px"
{{{#ffffff,#ffffff {{{#!folding 섬네일 ▼
파일:스핑 썸네일 1.png 파일:스핑 썸네일 2.png }}}}}}}}}

네이버 웹툰에서 2015년 5월 16일부터 2018년 9월 1일까지 연재되었다. 연재 주기는 매주 일요일.

3.1. 해외 연재

#!if ACCENT = "#20d45d", ACCENT_FONT = "#fff"
파일:네이버 웹툰 로고.svg 해외 연재 여부
{{{#!wiki style="font-size: min(0.9em, 3vw); text-align: center; word-break: keep-all;"


  • 2016년 9월 3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중국어 정체(대만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되었다. (제목: 歐巴, 你不會愛上我吧) (링크)
  • 2016년 9월 6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인도네시아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되었다. (제목: Spirit Fingers) (링크)
  • 2017년 6월 6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태국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되었다. (제목: Spirit Fingers) (링크)
  •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이자 일본의 출판 만화 전자책 서비스인 LINE망가에서 일본어 번역 연재되었다. (제목: スピリット・フィンガース) (링크)
  • 2019년 6월 8일부터 네이버 웹툰의 해외 서비스인 WEBTOON영어 페이지에서 번역 연재되었다. (제목: Spirit Fingers) (링크)

4. 특징

  • 한경찰 작가 특유의 동화 같은 예쁜 색감과 아기자기한 그림체가 특징이며, 그렇다 보니 이야기 진행과는 별개로 독자를 위한 서비스 목적의 컷이 자주 등장하기도 한다.
  • 기본적으로 제4의 벽을 깨는 장면이 자주 등장한다. 주인공이 직접 작가에게 왜 이런 상황을 겪게 하냐고 따지거나, 컷이 진행될 때 작가가 등장해서 진심을 드러낼 때도 있다.
  • 작품 분위기가 따뜻해 힐링 웹툰이라는 평가를 받는다.
  • 스피릿 핑거스라는 이름의 뜻은 '영혼이 담긴 손가락'으로 극중 남그린이 지었다. 그림 모임의 멤버들은 본명 대신 자신이 좋아하는 색깔을 정해 '좋아하는 색+핑거'라고 서로를 부른다. 주말마다 독특한 컨셉의 코스프레를 하고 와서 서로 모델을 서주고 크로키를 하는 것이 모임의 주요 활동이다. 평상시에는 다들 평범하게 생활한다.
  • 작가가 AKMU의 팬이어서, 종종 만화에 AKMU와 관련된 요소가 등장하곤 하며[2] 인스타그램에 AKMU의 그림을 올리기도 한다. 재밌게도 AKMU의 이수현도 이 작품의 팬이라서, 서로 쌍방덕질을 즐기게 되었다.[3]
  • 독특한 그림체는 컴퓨터로 그림을 그린 후 인쇄를 해서 라이트박스에 대고 연필로 다시 그린 뒤 스캔을 해 컴퓨터로 채색을 하기 때문에 만들어졌으며, 이렇게 웹툰을 만드는 과정이 복잡하기 때문에 지각이 잦다. 웹툰이 캔버스에 그린 듯한 것은 작가가 캔버스에 아크릴로 직접 색칠한 소스를 입히기 때문이다.

5.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피릿 핑거스/등장인물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릿 핑거스/등장인물#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릿 핑거스/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단행본

||<-6><table align=center><table width=720><table bordercolor=#010101,#010101><table bgcolor=#ffffff,#2d2f34><table color=#373a3c,#dddddd><bgcolor=#010101,#010101> 스피릿 핑거스 ||
위즈덤하우스
01권 02권
03권
파일:스피릿핑거스 1.png 파일:스피릿핑거스 2.png 파일:스피릿핑거스 3.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4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4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년 04월 10일
04권 05권 06권
파일:스피릿핑거스 4.png 파일:스피릿핑거스 5.png 파일:스피릿핑거스 6.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1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1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1월 10일
07권 08권 09권
파일:스피릿핑거스 7.png 파일:스피릿핑거스 8.png 파일:스피릿핑거스 9.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8월 1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년 08월 10일
10권 11권 12권
파일:스피릿핑거스 10.png 파일:스피릿핑거스 11.png 파일:스피릿핑거스 12.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03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03일
13권 (完)
파일:스피릿핑거스 13.png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0년 09월 03일

7. 미디어 믹스

7.1. 드라마

2019년 7월에 웹툰스튜디오 케나즈[4]와 드라마 제작사 넘버쓰리픽쳐스[5]가 공동제작 계약을 체결하고 준비 과정을 거쳐, 4년 후인 2023년 3월부터 10월까지 촬영을 끝마쳤다. 애초에 제대로 편성까지 마치고 제작에 들어갔으나, 드라마 자체나 직접적인 제작 문제와는 무관한 다른 외적인 이유 때문에## 기존 편성처가 사라지면서 원래 계획했던 2023년 하반기에서 편정 일정을 미루어 2025년 공개 된다.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스피릿 핑거스(드라마)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릿 핑거스(드라마)#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스피릿 핑거스(드라마)#|]]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2. 게임

2022년 기준, 모바일 게임 개발 기획이 타진되고 있다. 2022년 4월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콘텐츠진흥원에서 K-게임 해외진출 성공사례 발굴 및 지역 중소 게임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해 마련한 '웹툰 IP 연계 게임 제작지원' 통칭 '글로벌 웹툰 게임즈 사업'을 통해 8개의 네이버 웹툰 작품의 게임화를 추진하게 되었다. '스피릿 핑거스' 또한 여기에 선정 되었다.# 공표 이후 어떤 기업이 선정 되었는지 등 구체적인 프로덕션 진행 상황을 보도가 나온 바가 없으나, 당시 2022년 11월까지 개발 빌드를 완성한 다음 정식 개발 완료는 2023년 10월 기한이었던 점을 감안할 때 어떤 형태로는 기업이 선정되어 개발 과정과 검수가 이루어지고 있을 가능성이 있었으나, 2025년 기준으로도 아무런 소식이 없는 것으로 볼 때 기획 단계에서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6]

7.3. 애니메이션

2023년 11월 기준, 애니메이션화 기획 후보군으로 검토되고 있으나 확정된 바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 기획이 확정된 다른 웹툰의 지원 사업 선정 정보를 보도하는 기사를 통해 같은 지원 사업 후보작 중 하나로 잠시 언급되었다.#

7.4. 리메이크 웹툰

7.4.1. 인도네시아

파일:스피릿 핑거스_인도네시아.jpg
  • 인도네시아에서 작화를 새롭게 해 리메이크 되었다.
  • 한경찰 작가 본인이 소개글 겸 인삿말을 인스타그램에 별도로 올리기도 했다.[7] #
스피릿핑거스 웹툰이 인도네시아에서 리메이크가 되었답니다. 처음에 이 소식을 들었을때 너무 영광이었고 무엇보다 제가 좋아하는 인도네시아에서 리메이크가 된다는게 매우 뜻깊고 기뻤어요!
<Spirit Fingers: Klub Pelangit> 에 많은 관심과 사랑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저도 재밌게 지켜볼게요.
늘 기억해주시고 응원해 주셔서 정말 감사드려요. 여러분의 응원 덕분에 저에게 늘 기쁜일이 생기는것 같아요. 여러분께도 항상 좋은일만 가득하시길 바랄게요.
스피릿핑거스 리메이크에 힘써주신 네이버웹툰, 인도네시아 현지 담당자님들, 리메이크 작가님께도 감사드립니다. 💕 ||

8. 기타

  • 표지 등에 사용되는 타이틀 로고에는 "스피릿 핑거스 !"라고 느낌표가 들어가 있지만, 불필요한 오탈자나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인지 네이버 웹툰 게시 때나 보도 자료 등에 사용되는 정식 기재 제목에는 느낌표(!)가 사용되지 않았다.
  • 후기에 따르면 작가가 스피릿 핑거스를 만들게 된 계기는 이 작품처럼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사람들의 크로키 모임에 참여하게 되고 미술과 관련이 없더라도 즐겁게 그림을 그릴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서 기획하게 되었다고 한다.
  • 2017년 9월 돌배 작가와 '찰과 계룡핑거스'란 이름의 전시회를 열게 되었다.
  • 2D남친 별책부록에서 남기정이 첫 타로 출연했다. 여기서 밝힌 바로는 스핑은 오랫동안 무료일거라고 한다. 실제로 완결 이후 무려 6년 뒤에야 유료로 전환되었다.
  • 2화 초반장면들이 비상교과서 (2015 개정) 중학 3학년 국어 4-2단원 "자신있게 말하기" 에 수록됐다(!)
  • 싱가포르 관광 홍보 브랜드 웹툰으로 외전 형태의 '싱가포르 핑거스'가 나오기도 했다.# 싱가포르에서 극적으로 만난 우연·기정 커플의 데이트를 통해 싱가포르 보타닉 가든, 캄퐁글램, 싱가포르 리버 크루즈, 클라우드 포레스트 등 싱가포르의 아름답고 로맨틱한 명소를 방문하며 서로의 마음을 다시 확인하는 시간을 갖는다는 내용이다.
  • 연재가 끝난지 약 6년만인 2024년 10월 8일 화요일부터 유료로 전환 되었다. 유료화 소식이 SNS 등을 통해 퍼지자 일반적으로 유료화에 대한 아쉬운 소리도 한두 마디 나오는 경우와 다르게, 웹툰 독자들 대부분이 어린 시절 추억으로 기억하고 있을 정도의 엄청난 분량의 작품이었던 만큼, 오히려 '그 정도 분량이 되는 작품이 이렇게 오랫동안 무료로 풀려 있었어?'라며 놀라는 반응들이 더 많았다.
    • 유료 전환 이후로도 꾸준히 독자들은 늘어난 것으로 보인다. 드라마 제작 소식이 처음 알려지던 2023년 당시 "누적 11억뷰"라는 보도가 있었는데,# 2025년에는 "누적 13억뷰"라는 보도 내용으로 유료 전환 기간이 끼어있는 2년 사이에 '2억뷰'가 증가했기 때문이다.#[8]
  • 아직 PC 환경에서 웹툰을 보는 독자 숫자가 더 우세한 시기에 연재를 시작한 작품이다 보니 폰트 사이즈나 말풍선 구성이 앱 보다는 PC 환경에 더 맞춰져 있는 편이다. 그래서 기왕 감상할거라면 스마트폰 보다는 태블릿이나 PC 브라우저를 권하는 편이다.

[1] 네이버웹툰 해시태그에 성장드라마, 감성드라마, 로맨스 등의 표현이 사용되었다.[2] 주로 가게 이름을 AKMU의 곡 제목으로 짓거나 등장인물이 듣는 곡을 AKMU의 곡으로 하는 식으로 등장한다.[3] 이수현의 경우 본인의 유튜브 채널 또는 V앱에서 작품 홍보를 하고 있으며, 남주인공 남기정의 다키마쿠라 등 여러 굿즈를 가지고 있다. 상술한 전시회에도 다녀왔다고 한다.[4] 한경찰 작가는 케나즈 소속이 아니지만 과거 '19Nineteen' 단행본 작업을 함께 한 이력이 있다.[5] 웹툰 원작 미생이나 출판만화 원작 하백의 신부 2017 등을 만든 드라마 제작사.[6] 실제 개발 과정에 돌입했다가 도중에 중단 되었을 가능성도 있으나 아예 업체 이름 자체가 외부로 공표되지 않은 점 그 어떤 후속 보도도 없었던 점 등으로 볼 때 내부적으로 기획 개발 초기 단계 즉 검토 단계에서 중단된 것으로 보인다. 일단 그냥 게임도 아니고 모바일 게임 매체로 한정된 상태에서 작품에 부합하는 장르를 찾는 과정부터 난항이었을 가능성이 크다. 미연시로 할 수도 없고 송우연으로 슈팅을 할 수도 없고[7] 한경찰 작가 본인 계정과 라인 웹툰 인도네시아 계정 동시 게시 형태.[8] 물론 유료 전환되기 전인 2023년부터 2024년 사이 약 1년간 '2억뷰'가 증가했다고 해석할 수도 있으나 '1억뷰'가 어마어마한 조회수라는 점을 생각해보면 비약이 있는 해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