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6-29 11:35:19

스티븐 비토리아

파일:1000010391.png
<colbgcolor=#000><colcolor=#dcbe00> 보아비스타 FC No. 19
스티븐 비토리아
Steven Vitória
본명 스티븐 지소자 비토리아
Steven de Sousa Vitória
출생 1987년 1월 11일 ([age(1987-01-11)]세)
캐나다 온타리오토론토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캐나다|{{{#!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캐나다}}}{{{#!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포르투갈|{{{#!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포르투갈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포르투갈}}}{{{#!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신체 조건 195cm / 86kg
포지션 센터백
주발 오른발(양발)
유소년 클럽 새드버리 라이온스
CS 아주리
미시소가 팔콘스
딕시 SC
클레인버그 노블턴 SC
글렌 쉴즈 SC
우드브릿지 스트라이커스 (2004~2005)
FC 포르투 (2005~2006)
소속 클럽 FC 포르투 (2006~2010)
GD 투리젠스 (2006~2007 / 임대)
SC 올랴넨스 (2007~2009 / 임대)
SC 코빌량 (2009~2010 / 임대)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2010~2013)
SL 벤피카 (2013~2016)
필라델피아 유니언 (2015 / 임대)
레히아 그단스크 (2016~2019)
모레이렌스 FC (2019~2022)
GD 샤베스 (2022~2024)
보아비스타 FC (2025~ )
국가대표 46경기 5골 (캐나다 / 2016~2024)
1. 개요2. 클럽 경력3. 국가대표 경력4. 플레이 스타일5. 같이 보기

1. 개요

캐나다의 축구선수. 현재 보아비스타 FC 소속이다.

스테픈 유스타키오와 함께 캐나다 대표팀에서 포르투갈계 선수로서 핵심으로 활약하고 있는 선수이다.

2. 클럽 경력

2.1. 경력 초기

1987년, 그는 캐나다 온타리오주 출신으로, 아소르스 제도 출신 이민자인 부모의 아들로 태어났다. 유소년 시절에는 캐나다의 여러 클럽팀을 오가며 성장해왔고, 2005년 FC 포르투 아카데미에 입단하면서 혈통의 나라인 포르투갈에 정착하였다.

2.2. FC 포르투

18살의 나이에 포르투에 입단하였으나, 이미 기라성 같은 선수들이 대거 포진되어 있던 1군에서는 좀 처럼 기회를 받기 쉽지 않았다. 결국 수 년간 하부리그 임대를 전전하며 프로 경험을 쌓는데 만족해야 했고, 1군에서의 유일한 출전은 2009년 8월 2일, A.D. 카레가도와의 타사 다 리가 경기였다.

2.3. GD 이스토릴 프라이아

2010년 7월, 팀에서 방출당한 뒤 2부리그의 이스토릴 프라이아에 입단하였다. 그리고 첫 시즌부터 주전으로 발돋움하였으며, 두 번째 시즌에는 우승으로 1부리그 승격에 크게 일조하였다. 처음으로 프리메라 리가에서 맞이하는 2012-13 시즌에는 8번의 페널티킥 골 포함 리그에서만 11골을 득점하며 리그 득점 순위 9위에 랭크되었고, 팀이 5위로 마치며 UEFA 유로파 리그 예선에 진출하는데 공헌하였다.

2.4. SL 벤피카

2013년 6월 16일, 벤피카에 자유계약으로 입단하였다. 계약기간은 4년. 입단 후 그는 "내 생애 가장 행복한 순간"이라고 밝히며 기쁨을 드러내었다. 그러나 벤피카에서는 단 3경기 출전에 그쳤고, 다음 시즌에는 아예 한 경기도 나서지 못하였다.

2015년 2월 9일, 결국 출전 기회를 얻기 위해 메이저리그 사커필라델피아 유니언으로 임대되었다. 리그 첫 골은 자신의 고향 팀인 토론토를 상대로 기록하였으며, 2015 시즌 동안 18경기를 출전하였다. 그리고 12월, 임대 복귀 후 벤피카에서 방출되었다.

2.5. 레히아 그단스크

반 년간 무 소속 상태였던 그는 2016년 8월 17일, 레히아 그단스크와 3년 계약을 채결하면서 폴란드 리그로 진출하였다.

레히아에서는 세 시즌 동안 로테이션 멤버로 44경기를 출전하였고, 3골을 기록하였다.

2.6. 모레이렌스 FC

2019년 7월 4일, 모레이렌스와 3년 계약을 서명하면서 약 4년 반만에 포르투갈로 복귀하였다. 8월 11일, SC 브라가를 상대로 데뷔전을 치렀다. 그리고 11월 2일, 비토리아 드 기마랑이스 전에서 모레이렌스 소속으로 첫 득점을 기록하였다.

세 시즌 동안 준주전으로 나서 63경기 12골을 기록하였다.

2.7. GD 샤베스

2022년 7월 4일, 1부리그로 승격한 샤베스로 이적하였다. 8월 27일, 스포르팅 CP 전에서 파워풀한 헤더로 첫 골을 신고하였으며, 2:0 승리를 만들어냈다.

2023-24시즌이 끝나고 팀을 떠나게 되었다.

2.8. 보아비스타 FC

2025년 2월, 보아비스타 FC에 입단했다. 계약 기간은 시즌 종료까지.

3. 국가대표 경력

포르투갈계 캐나다인으로, 연령대 대표 시절에는 포르투갈 대표팀에서 활약하였으며, 캐나다에서 열린 2007 FIFA U-20 월드컵에도 포르투갈 대표팀으로 참가한 경력이 있다.

그러나 프로 데뷔 후 포르투갈 성인 대표팀에 들어가기에는 현실적으로 쉽지 않았기 때문에 2012년 9월, 연령대 대표 시절부터 꾸준히 구애를 해온 캐나다 대표팀을 선택하였다. 그리고 4년 뒤인 2016년 1월, 미국과의 친선전을 앞두고 처음으로 캐나다 대표팀에 콜업되었으며, 2월 5일에 치러진 미국 전에 선발 풀타임을 소화하며 데뷔전을 치렀다.

2016년 10월 6일, 모리타니와의 친선 경기에서 캐나다 대표 소속으로 첫 골을 기록하였고, 팀은 4:0으로 승리하였다.

이후, 그는 캐나다 대표로 2017 CONCACAF 골드컵, 2021 CONCACAF 골드컵에 참가하였으며, 카타르 월드컵 북중미 최종예선 기간 동안 밀란 보르얀, 카말 밀러 등과 함께 후방을 든든히 지키며 36년 만에 자국의 월드컵 본선 진출에 큰 공을 세웠다.

4. 플레이 스타일

강력한 피지컬을 바탕으로 한 몸싸움과 헤더 능력이 뛰어난 센터백으로, 킥력도 준수하여 소속팀에서 페널티킥과 프리킥 등을 도맡기도 한다. 다만, 느린 주력으로 인해 기민한 상대에게 치명적인 약점을 보인다.

5. 같이 보기

파일:나이키 로고 화이트.svg파일: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엠블럼.svg
Canada men's national soccer team
캐나다 축구 국가대표팀
(2022 FIFA 월드컵 카타르 - 최종 명단)
1 St.클레어 · 2 존스턴 · 3 아데커비 · 4 밀러 · 5 비토리아 · 6 피에트 · 7 유스타키오 · 8 프레이저 · 9 카발리니
10 호일렛 · 11 뷰캐넌 · 12 우그보 · 13 허친슨 · 14 케이 · 15 코네 · 16 판테미스 · 17 래린 · 18 보르얀
19 데이비스 · 20 J.데이비드 · 21 오소리오 · 22 라레이아 · 23 밀러 · 24 워더스푼 · 25 코넬리우스 · 26 워터먼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존 허드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