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슈퍼맨에서 모티브를 따왔거나 오마주한 캐릭터들을 정리하는 항목.대체로 망토를 두르고, 하늘을 날 수 있으며 강력한 신체능력을 발휘하는 스타일이 많다. 눈에서 빔까지 쏘면 거의 확정. 다만 슈퍼맨 자체가 워낙 오래된 캐릭터인 탓에 초인 격투 캐릭터의 대부분은 슈퍼맨의 영향권을 벗어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슈퍼맨의 능력도 히트 비전이나 콜드 브레스, 슈퍼 플레어, 슈퍼 아우라 같은 것을 빼면 초인의 전형적인 형상이라 다르게 만들기도 어렵다.[1] 넓게 잡으면 드래곤볼의 카카로트같은 캐릭터들도 슈퍼맨의 아류에 충분히 들어간다. 그러므로 여기에 서술된 캐릭터가 모두 슈퍼맨 캐릭터를 도용한 캐릭터라고 보기 곤란하다.이 중 아폴로나 샤잠 등 상당수의 캐릭터들 같이 슈퍼맨을 오마주한 캐릭터이기도 있고, 플루토니언이나 홈랜더처럼 슈퍼맨을 뒤튼 캐릭터 역시 존재한다.
참고 목록
2. 목록
2.1. DC 코믹스
DC 코믹스[2] | |
| |
캡틴 마블/샤잠 - 1940년 2월 | 아폴로 - 1988년 2월 |
| |
아이콘(Icon) - 1993년 5월 | 샐던(Salden)[3] - 2001년 11월 |
| |
알파 원(Alpha One) - 2009년 4월 |
2.1.1. 와일드스톰(Wildstorm)
처음엔 이미지 코믹스 밑에 있었으나 DC 코믹스에 매각되었다.와일드스톰(Wildstorm) | |
| |
미스터 머제스틱(Mr. Majestic) - 1994년 6월 | 하이(The High) - 1997년 03년 |
| |
사마리탄(Samaritan) - 1995년 08월 | 튜턴(Teuton)- 2001년 03월 |
| |
핼리배스터드(Halibastard) - 2002년 10월 | 아토미쿠스(Atomicus) - 2003년 06월 |
| |
임페라토르(Imperator) - 2006년 02월 | 파로스(Pharos) - 2006년 04월 |
| |
맥시멈맨(Maximum Man) - 2006년 12월 | 세바스찬(Sebastian) - 2009년 11월 |
2.2. 마블 코믹스
마블 코믹스 | |
| |
미라클맨 - 1954년 2월 | 원더맨 - 1964년 10월 |
| |
네파리아 백작(Count Nefaria) - 1964년 12월 | 마-벨 - 1967년 10월 |
| |
하이페리온[4] - 1969년 10월 | 마스터맨 - 1975년 03월 |
| |
오메가 디 언노운(Omega the Unknown) - 1975년 12월 | 이카리스 - 1976년 4월 |
| |
캡틴 울트라(Captain Ultra) - 1976년 09월 | 글래디에이터 - 1977년 7월 |
| |
퀘이사(Quasar) - 1979년 01년 | 캡틴 히어로(Captain Hero) - 1984년 08월 |
| |
스카이맥스(Skymax)[5] - 1985년 05월 | 화이트 어벤저(White Avenger) - 1988년 03월 |
| |
센트리 - 2000년 7월 | 칼 에이오엘(Kal-AOL) - 2002년 09월 |
| |
이선 에드워즈(Ethan Edwards) - 2005년 04월 | 아다만틴(Adamantine) - 2006년 12월 |
| |
블루 마블 - 2008년 11월 | 안티맨 - 2008년 11월 |
| |
선 갓(Sun God)[6] - 2014년 03월 | 태극기 - 2021년 2월 |
2.2.1. 말리부 코믹스(Malibu comics)
1994년 마블 코믹스에 매각되었다.말리부 코믹스 | |
| 파일:external/static.comicvine.com/106891-78419-hardcase.jpg |
프라임(Prime) | 하드케이스(Hardcase) |
2.3. 이미지 코믹스
이미지 코믹스 | |
| |
마이티맨(Mighty Man)[7] | 슈프림 |
| |
인빈시블 | 벤처(Venture) |
| |
옴니맨 | 캡틴 코스믹(Captain Cosmic) |
| |
크래쉬 코멧(Crash Comet) | 캡틴 다이나모(Captain Dynamo) |
| |
울트라(Ultra) | 솔라맨(Solar Man) |
| |
슈퍼스타(Superstar) | 유토피안(Utopian) |
2.4. 붐! 스튜디오
붐! 스튜디오(Boom! Studios) | ||
| | |
머리디언(Meridian) | 소버린(Sovereign) | 플루토니안(Plutonian)[8] |
2.5. 다이너마이트 엔터테인먼트
다이너마이트 엔터테인먼트 | ||
| | |
솔라(Solar) | 홈랜더 | 스톰프론트 |
2.6. 다크호스 코믹스
다크호스 코믹스 | |
| |
타이탄(Titan) | 어스토니시맨(Astonishman) |
2.7. 기타
기타 코믹스 | ||
| | |
다이나모(Dynamo) - 타워(Tower) | 다이너스티(Dynasty) - 론 스타 프레스(Lone Star Press) | 마그나 맨(Magna Man) - 코믹스 인터뷰(Comics Interview) |
| | |
마스터맨(Master man) - 포셋 코믹스(Fawcett Comics) | 마스터맨 - United Anglo-American/Streamline | 마이티맨(Mighty man) - 크로스젠(Crossgen) |
| | |
마이티 타이탄(Mighty Titan) - 레드 앤빌 코믹스(Red Anvil Comics) | 매슈 브라이트(Matthew Bright) - 톱 카우(Top Cow) | 맥시모털(Maximortal) - 킹 헬(King Hell) |
| | |
메갈리스(Megalith) - 컨티뉴이티(Continuity) | 발리언트(Valiant) - 몽키브레인 코믹스(Monkeybrain Comics) | 크림슨 코멧(Crimson Comet) - 언라이클리 히어로즈 스튜디오 |
| | |
슈퍼스타(Superstar) - 언라이클리 히어로즈 스튜디오(Unlikely Heroes Studios) | 슈피리어(Superior) - 아이콘 코믹스(Icon Comics)[9] | 스테이츠맨(Statesman) - 톱 카우 |
| | |
울티맨(Ultiman) - 빅뱅 코믹스(Big Bang Comics) | 투모로맨(Tomorrow Man) - 앤타크틱 프레스(Antarctic Press) | 코스모스(Cosmos) - IDW 퍼블리싱 |
| | |
옵티맨(Optiman) - 몽키 파이프 스튜디오(Monkey Pipe Studios) | 캡틴 파라곤(Captain Paragon) -AC 코믹스(AC Comics) | 카오스(Chaos) - Zenescope Entertainment |
일본 | ||
| | |
난다 난다 니얀다 - 니얀다, 니얀다 카렌 | 날아라 호빵맨 - 호빵맨, 식빵맨, 카레빵맨, 메론빵소녀, 롤빵소녀, 크림판다, 베이비맨 | 램프의 바바 - 시간탐험대 |
| | |
퍼맨 - 후지코 F. 후지오의 만화 | 마스터 울티마 - 콘크리트 레볼루티오 초인환상 | 올마이트(オールマイト) - 나의 히어로 아카데미아 |
| ||
슷파맨(スッパマン) - 닥터 슬럼프 |
기타 | ||
| | |
메트로맨 | 실버 센트리(Silver Sentry) - IDW 퍼블리싱(IDW Publishing)[10] | 메이저맨(Major Man) - 파워퍼프걸 |
| | |
최종병기 톰 - 제0시: 대통령을 죽여라 | 슈퍼 스캇 - 히어로 인사이드 | 미스터 저스티스 - 히어로 인사이드 |
- 로켓맨: 일본의 만화가 미즈키 시게루가 1958년에 발표한 만화의 캐릭터로, 노골적인 슈퍼맨의 표절이다. 심지어 원조 슈퍼맨의 가슴에 붙은 S자 문양까지 그대로 붙어있다(...)출처
- 울트라 슈퍼 디럭스맨: 퍼맨이나 도라에몽 등의 작품을 그린 유명한 작가, 후지코 F. 후지오 선생이 그린 SF 단편[11]의 제목이자 그 단편에 등장하는 캐릭터.
- 블룬스 타워 디펜스 시리즈의 슈퍼 원숭이
- 화이트맨: 1960년대 미국 나치당 기관지 스톰트루퍼 매거진에서 내놓은 동명의 만화 주인공. 창조자는 훗날 조지 링컨 록웰 암살 사건을 일으킨 미국 나치당 당원 존 페이틀러다. 알링턴의 우유 배달부 루 코어(Lew Cor)가 리에 게이스(Lieh Geis)[12]을 말하면 벼락을 맞고 화이트맨이 된다는 샤잠에서 가져온 듯한 설정이다. 적으로는 흑인들과 지구의 부를 훔치려하는 아치에너미 외우주에서 온 유대인 강력한 모차(Mighty Motza)가 나온다. 이 만화에도 슈퍼맨은 있지만 유대인들이 만든 포르노의 영향을 받고 X선 투시로 관음짓을 하다가 경찰에 잡혀갔다고 한다.#
[1] 당장 슈퍼맨의 가장 기본적인 능력인 압도적인 근력과 날렵함, 그리고 비행능력은 초인이라고 하면 당연히 가진 거라고 생각하기 일쑤라는 것을 보면 이해가 빠를 것이다.[2] 데뷔 순 정리[3] DC 코믹스가 이벤트로 스탠 리에게 부탁해 만든 '스탠 리가 DC 히어로들을 만들었다면?' 컨셉트의 슈퍼맨.[4] 이미지의 하이페리온은 지구-13034의 하이페리온으로, 이 날짜에 데뷔한 하이페리온은 스쿼드론 시니스터의 하이페리온을 칭한다. 그러나 '하이페리온'이란 동일인인 건 옳기에 구분 않고 서술.[5] 슈퍼스크럴로, 사실 그는 마샨 맨헌터의 마블 버전이다.[6] 지구-4290001의 히어로로 지구-616과 인커젼이 발생할 위기로 인해 당시 인루미나티와 충돌하게 된다. 헐크를 제압하는 등 강한 모습을 보여줬지만 닥터 스트레인지가 영혼을 팔아 소환한 고대의 존재에게 힘을 빼앗겨 제압당한다. 안타까움에 블랙 팬서가 자신의 지구로 같이 가자고 권유하지만, 선 갓은 거절하고 끝까지 하지 말아달라 애원하지만 결국 네이머에 의해 반생명 폭탄이 가동, 지구-4290001과 함께 소멸한다.[7] 사실 이미지 코믹스의 마이티맨은 캡틴 마블(샤잠)에 가까운 캐릭터다.[8] 타락한 슈퍼맨 캐릭터. 이리디머블(Irredeemable)이란 만화에서 등장하며 원래는 지구 최고이자 최강의 슈퍼 히어로로 활동하였으나 어느 날 타락하여 동료 히어로들이나 지구인들을 마구 학살하는 미치광이가 되어 버린다. UN의 싱가포르 대사가 자신에게 거짓말을 하자 싱가포르에 운석을 마구 던지고, 싱가포르 땅바닥을 밀어서 바다 밑으로 수장시켜 버린다.[9] 사실 슈피리어의 행적을 생각해보면 슈퍼맨보다는 샤잠에 더 가깝다.[10] 닌자 거북이에 등장하는 캐릭터[11] 장르는 블랙 코미디[12] 나치식 경례를 할 때 자주 쓰이던 경례구호 지크 하일(Sieg Heil)의 애너그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