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10-16 13:13:37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



[[소드 아트 온라인|
파일:SAO 로고01.png
]]

{{{#57ade6,#57ade6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able width=100%><table bgcolor=#fff,#2d2f34><colbgcolor=#d7f6ff,#d7f6ff> 등장인물 1부 & 프로그레시브 · 2부 & 마더스 로자리오 · 3부 · 오디널 스케일 · 4부 · 5부 · 기타 등장인물
설정 연표 | 길드 목록 | 스킬 목록 | 장비 목록
발매 현황 시리즈 | 코믹스
TVA 1기 Extra Edition · · 앨리시제이션 인계편 · War of Underworld | 엔드 카드
극장판 오디널 스케일 · 프로그레시브 (별 없는 밤의 아리아 · 짙은 어둠의 스케르초) · 4 (가제)
스핀오프 건 게일 온라인 (TVA 1기 · 2기)
기타 게임 | 웹 연재판과의 차이점 | 비판 }}}}}}}}}}}}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
ソードアート・オンライン フラクチュアード デイドリーム
SWORD ART ONLINE Fractured Daydream
파일:RE_SAOFD_abec-sensei_KV_full_Vertical_KR.jpg
<colbgcolor=#dddddd><colcolor=#000000> 개발 딤프스
유통 반다이 남코 엔터테인먼트
플랫폼 PS5 | Xbox Series X|S | Nintendo Switch | Windows[1]
출시 파일:세계 지도.svg 2024년 10월 4일
장르 액션, 어드벤처, 롤플레잉
엔진 언리얼 엔진 5
웹사이트 https://fd.sao-game.jp/
한국어 지원 자막 지원
심의 등급 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

1. 개요2. 시스템 요구 사항3. 게임 시스템
3.1. 오프라인 모드
3.1.1. 스토리3.1.2. 추가 스토리
3.2. 온라인 모드
3.2.1. 불굴의 탑3.2.2. 싱글 플레이3.2.3. 프리 퀘스트3.2.4. 퀵 매치3.2.5. Co-Op 퀘스트3.2.6. 보스 레이드3.2.7. 극한 보스 레이드3.2.8. 보스 연속 전투3.2.9. 셀리브레이션
4. 등장 인물5. 플레이어블 캐릭터6. 업데이트 내역7. 평가
7.1. 문제점
8. 여담

1. 개요

시공간과 기억을 넘어―
《소드 아트 온라인》게임 10주년 기념 작품 제2탄
알브헤임 온라인에 추가된 새로운 기능 '갤럭시아'.
그것은 과거를 실감나게 재현하는 혁신적인 기술이었다.
그러나 어느 날 갑자기 갤럭시아가 폭주, 수많은 플레이어들이 어긋난 시공간 속에 말려든다.
이 이변에 대처하기 위해, 키리토는 죽은 옛 친구나 숙적들과 힘을 합친다.
다양한 역할을 가진 SAO 시리즈의 캐릭터들이 기억을 넘어 참전한다. 전 세계의 플레이어들과 함께 최대 20명이 팀을 맺어 앞길을 가로막는 강대한 적에게 맞서는 온라인 협력 액션.

게임판 소드 아트 온라인의 최신작으로, 전작들과 달리 온라인 위주의 제작이 된다고 한다.

2. 시스템 요구 사항

시스템 요구 사항
<colbgcolor=#dddddd> 구분 최소 사양 권장 사양
<colcolor=#000000> 운영체제 Windows 10 / Windows 11 64-bit
프로세서 AMD Ryzen 3 3100
Intel Core i5-8400
AMD Ryzen 5 3600
Intel Core i7-10700K
메모리 8 GB RAM 16 GB RAM
그래픽 카드 AMD Radeon RX 580
Nvidia GeForce GTX 780
Intel Arc A 380
AMD Radeon RX Vega 64
Nvidia GeForce RTX 2060
API DirectX 11
저장 공간 45 GB 사용 가능 공간
추가 사항 1080p 해상도에서 그래픽 설정을 “높음”으로 두었을 때, 20인 멀티플레이 모드에서 약 60fps의 성능이 예상됩니다. 다만, 그래픽 부하가 큰 장면에서는 프레임레이트가 일시적으로 하락할 수 있습니다.

3. 게임 시스템

3.1. 오프라인 모드

튜토리얼과 스토리 모드/추가 스토리 모드로 이루어져 있다. 스토리는 원작 및 애니판 기반루트에 오리지널 스토리로, 여기서는 캐릭터를 해금할 수 있고 장비 파밍은 가능하나 레어도 제한이 있다.

오프라인 모드이기 때문에 온라인에서 이용 가능한 대부분의 메인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
사용 불가능한 기능은 아래 목록으로 기재

- 불굴의 탑 / 싱글 플레이 (BETA) / 프리 퀘스트 / 멀티 퀘스트 / 극한 보스 레이드 / 보스 연속 전투 / 셀리브레이션 콘텐츠 이용 불가
- 시즌 패스 Trial / Store 이용 불가
- 친구 목록 등의 커뮤니케이션 불가
- 우편함 기능 이용 불가
- 온라인 모드에서 구매한 일부 스킨 사용 불가
- 아이템 생성 불가 (탤리즈먼 포함)
- 웨폰 & 액세서리 강화는 오프라인에서 6강까지만 가능하고, 7강 ~ 10강은 온라인에서만 가능
- 에픽이상의 웨폰 & 액세서리 강화/분해 불가 (탤리즈먼 포함)
- 이펙트 스피어화 / 특수 효과 변경 기능 불가 (탤리즈먼 포함)

3.1.1. 스토리

3.1.2. 추가 스토리

3.2. 온라인 모드

장비 파밍을 위해서는 온라인 모드를 필수적으로 해야 한다. 최대 20인이 참여할 수 있으며[2], 4인 단위로 파티를 구성한다. 4인 기준으로 1명이 선택한 캐릭터는 파티 플레이 종료 시까지 다른 사람이 선택할 수 없기 때문에, 여러 명의 캐릭터를 다룰 수 있어야 유리하다.

3.2.1. 불굴의 탑

3.2.2. 싱글 플레이

2025년 10월 2일, Ver.1.5.0 업데이트로 추가된 콘텐츠.

기존의 보스 레이드 및 Co-Op 퀘스트를 1인 플레이로도 즐길 수 있도록 한 콘텐츠이며, 플레이어는 혼자서도 해당 콘텐츠를 진행할 수 있으며, 파티 구성 시 나머지 인원은 NPC 캐릭터를 선택하여 채워 넣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현재 해당 기능은 베타(BETA) 버전으로 공개된 상태이며, 향후 피드백을 바탕으로 점차 개선될 예정이라고 한다.
참고로 싱글 플레이 모드는 멀티 퀘스트와 비교했을 때 획득 가능한 콜과 장비의 드랍률이 제한되어 있으며, 스킨은 드랍되지 않는다. 또한 시즌 패스의 트라이얼(Trial) 일일 챌린지와 주간 챌린지는 진행할 수 없다.

3.2.3. 프리 퀘스트

3.2.4. 퀵 매치

3.2.5. Co-Op 퀘스트

3.2.6. 보스 레이드

  • World Tier 1
    - 추천 랭크: 20
    - 장비 랭크 제한: 30
    - 드롭 장비 최대 랭크: 35
  • World Tier 2
    - 추천 랭크: 40
    - 장비 랭크 제한: 50
    - 드롭 장비 최대 랭크: 85
  • World Tier 3
    - 추천 랭크: 90
    - 장비 랭크 제한: 100
    - 드롭 장비 최대 랭크: 115
  • World Tier 4
    - 추천 랭크: 120
    - 장비 랭크 제한: 130
    - 드롭 장비 최대 랭크: 145
  • World Tier 5
    - 추천 랭크: 140
    - 장비 랭크 제한: 155
    - 드롭 장비 최대 랭크: 150

3.2.7. 극한 보스 레이드

3.2.8. 보스 연속 전투

3.2.9. 셀리브레이션

1인 플레이 전용 모드

셀리브레이션은 캐릭터의 생일이나 기념일 등 특별한 날을 기념하여 기간 한정으로 열리는 퀘스트 모드이다.
퀘스트를 클리어하면 특별한 의상과 많은 캐릭터 경험치를 얻을 수 있으며, 상점(STORE)에서 판매하는 셀리브레이션 관련 의상을 착용하고 플레이하면 기간 한정으로 캐릭터 랭크 경험치가 2배가 되고, 사용하는 캐릭터의 무기와 액세서리가 더 쉽게 드롭되는 효과를 받을 수 있다.

혼자서만 플레이할 수 있으며, 제한 시간 안에 최대한 많은 '라구 래빗'이라는 몬스터를 쓰러뜨리는 것이 목표다.
온라인 상태에서만 플레이할 수 있다.

4. 등장 인물

대부분이 원작 또는 콘솔판[3]에서 주조연 이상을 꿰찬 인물들로, 이전에는 적으로만 나왔던 캐릭터도 플레이어블로 기용할 수 있다. 오리지널 캐릭터는 단 2명이다.

아래 인물의 소속 게임은 본인의 디폴트 아바타에 따라 배치했기 때문에, 1부에 데뷔했던 케이코와 리카는 ALO 아바타를 쓰고 있어서 ALO로 되어 있음을 참고할 것.
SAO
등장 인물 주무장 플레이 역할 비고
키리토/키리가야 카즈토 쌍검 파이터 콘솔판 개근
아스나/유우키 아스나 세검 파이터 콘솔판 개근
클라인/츠보이 료타로 카타나 파이터 콘솔판 전근[a]
에길/앤드류 길버트 밀즈 두손도끼 탱커 콘솔판 전근[a]
아르고/호사카 카리나 토모 너클 로그 콘솔판 전근[a]
유이 단검 서포터 콘솔판 전근[a]
스트레아 양손검 탱커 콘솔판 개근
1차 DLC 캐릭터
에이지/노치자와 에이지 한손검 로그 -
유나/시게무라 유우나 아이돌 마이크 서포터 -
히스클리프 방패검 탱커 플레이어블로 첫 출장
필리아 단검 로그 콘솔판 개근
3차 DLC 캐릭터
사치 서포터 3차 DLC 캐릭터
미토 파이터 4차 DLC 캐릭터
ALO
등장 인물 주무장 플레이 역할 비고
리파/키리가야 스구하 한손검 서포터 콘솔판 개근
유우키/콘노 유우키 한손검 로그 -
시리카/아야노 케이코 단검 서포터 콘솔판 개근
리즈벳/시노자키 리카 한손둔기 파이터 콘솔판 개근
오베론/스고우 노부유키 한손검 메이지 플레이어블로 첫 출장
고양이 기사 앨리스 한손검 메이지 4차 DLC 캐릭터
스프리건 키리토/키리가야 카즈토 쌍검 로그 유료 업데이트 캐릭터
GGO
등장 인물 주무장 플레이 역할 비고
시논/아사다 시노 저격총 레인저 콘솔판 개근
렌/코히루이마키 카렌 기관단총 로그 -
후카지로 유탄발사기 레인저 -
피토휘/칸자키 엘자 소총 파이터 2차 DLC 캐릭터
M/아소기 고지 저격총 레인저 2차 DLC 캐릭터
데스 건 저격총 레인저 플레이어블로 첫 출장
UW
등장 인물 주무장 플레이 역할 비고
앨리스 신서시스 서티 한손검 탱커 -
유지오 한손검 메이지 -
어드미니스트레이터 세검 메이지 플레이어블로 첫 출장
카디널 - (파티 기용 불가) 게임 가이드 역할

5. 플레이어블 캐릭터

파일: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 로고.png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캐릭터|
플레이어블 캐릭터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 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colbgcolor=#030066,#383b40><colcolor=#ffffff,#dddddd>파일:로고_파이터_FIGHTER.png FIGHTER
파일:로고_탱커_TANK.png TANK
파일:로고_로그_ROGUE.png ROGUE
파일:로고_레인저_RANGER.png RANGER
파일:로고_메이지_MAGE.png MAGE
파일:로고_서포터_SUPPORT.png SUPPORT
}}}}}}}}} ||

6. 업데이트 내역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업데이트 문서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업데이트#s-|]]번 문단을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소드 아트 온라인: 프랙처드 데이드림/업데이트#|]]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평가

소아온 게임 치고는 나쁘지 않은 물건이 나왔다는 평이 있고, 기본적인 부분은 조작감을 손 보면 괜찮은 게임이 되겠다는 평가도 받았는데 딤프스의 개발 능력이 향상된 듯 보였다.

하지만 문제점이 차고도 넘치는데다 의외의 피드백을 해주고는 있지만 대부분 버그를 수정하는 것 뿐이다.
결국 전전전작인 페이탈 불릿에게 동접자 수를 따라잡힐 만큼 처참하게 망해가는데, 페이탈 불릿이 게임 내용은 할만한데 본작과 DLC의 밸런스와 컨텐츠로 말아먹은 빛 좋은 개살구같은 좋아보이나 파고 보니 함정이었던 게임이란 걸 생각하면 둘이 비슷한 처지로 보인다.

7.1. 문제점

  • 유저 적대적 운영

    • 가챠겜 운영하듯이 유저 적대적 운영을 펼치며 배짱 운영까지 선보이고 있다.
  • 의미 없는 경쟁 시스템
    MVP와 라스트 어택의 혜택은 경험치 몇백이 전부이며, 원작의 레어 아이템 확정 같은 요소는 단 하나도 없다. 던전 플레이 중 성장조차도 경쟁이기 때문에 조금만 시간이 지체되도 성장이 지연되어 MVP 경쟁에서 도태된다.
  • 인원 수 분배에 따른 불합리함
    인원 배분을 5×4가 아닌 4×5로 해서 생긴 문제점으로 코옵 퀘스트 기준 A/B/C 파티와 D/E로 2번째 맵 미션이 진행 되는데 아주 높은 확률로 D/E 파티는 A/B/C 파티보다 느리다. 이런 경우 미션 완화로 D/E 파티에게 어드밴티지를 줘야하지만 똑같은 미션이 주어지기에 아예 D/E 파티에 걸리면 잠수를 타버리는 유저들이 많다.
  • 극악이다 못해 처참한 드랍률

    • 소아온 게임 시리즈의 고질적인 문제로 반다이 남코는 이 게임을 MMORPG로 여기는지 에픽 이상 아이템의 드랍률이 매우 낮다. 특히 스킨 계열 아이템은 레전더리 유효 장비는 따위로 만드는 드랍률을 자랑한다. 오죽하면 해당 스킨이 실존하는지 물어보는 질문이 커뮤니티나 위키에 빈번할 정도.
  • 산으로 간 밸런스
    소드 스킬 쓸 필요도 없이 점프 강공 차지-약공-강공 차지 루프로 타 딜러들 뺨을 왕복으로 후려치는 키리토와 서포터 주제에 힐과 버프, 딜을 다해먹는 유이와 유나가 OP 캐릭터 라인이며, 그 외엔 히스클리프나 자해 세팅 유우키 정도가 강캐라인에 꼽힌다. 강캐 라인과 하위권 캐릭의 갭이 하늘과 땅차이 수준으로 대표적인 약캐로는 스트레아, 엘리스, 렌, 에길, 유지오가 있으며 이들은 풀세팅을 갖춰도 상위권 캐릭의 발끝도 미치지 못한다.
  • 빈약한 컨텐츠
    레이드 보스도 기껏해야 다섯에 최종 컨텐츠인 극 레이드마저 기존 몹인 스컬리퍼를 계속 우려먹고 있는 마당에 컨텐츠 추가도 매우 느리다. 향후 업데이트도 캐릭터 관련만 있지 컨텐츠 관련된건 하나도 없다.

8. 여담

  • 이번 작에서는 캐릭터의 외형 커스터마이즈를 할 수 없다. 다양한 캐릭터를 넣었다 뺏다 할 수 있는 것 때문으로 보이는데, 그 대신 코디 커스터마이즈는 전작들에 비해 자유롭다. 커스터마이즈 면에서는 페이탈 불릿에서 외형 커스터마이즈만 제외시킨 수준이다. 다만 일부 악세서리나 의상은 전용 딱지가 붙어서 타 캐릭터들은 착용시킬 수 없다는 점 때문에 반토막 짜리라고 평가하는 유저들도 있다.

[1] 크로스 플랫폼이 지원된다.[2] 부족한 인원은 AI로 채운다.[3] 콘솔판의 경우는 스트레아 혼자 출장이 확정되어 있다.[a] SAO AL에서 결장.[a] [a] [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