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교육기관 관련 문서입니다. 다음과 같은 서술은 작성 시 편집권 남용으로 간주되어 제재될 수 있습니다.
| {{{#!wiki style="margin:-10px -10px; word-break: keep-all" | <tablebordercolor=#00a0c6> | }}} | ||||
| {{{#!wiki style="margin:0 -10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letter-spacing: -1px" | 남자고등학교 , 여자고등학교 , 이외 남녀공학 ※: 자사고, ⊙: 자공고, ▣: 특목고, ◈: 특성화고, 이외 일반계고 | |||||
| 고운고등학교 | 다정고등학교 | 도담고등학교 | 두루고등학교 | 반곡고등학교 | ||
| 보람고등학교 | 새롬고등학교 | ⊙ 세종고등학교 | ▣ 세종과학예술영재학교 | ▣ 세종국제고등학교 | ||
| 세종대성고등학교 | ◈ 세종미래고등학교 | 세종여자고등학교 | ▣ 세종예술고등학교 | ◈ 세종장영실고등학교 | ||
| ⊙ 세종캠퍼스고등학교 | 소담고등학교 | 아름고등학교 | 양지고등학교 | 종촌고등학교 | ||
| 한솔고등학교 | 해밀고등학교 | }}}}}}}}} | ||||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
| 학교 틀 둘러보기 | ||||||
| <colbgcolor=#0163a9><colcolor=#fff> 세종캠퍼스고등학교 世宗캠퍼스高等學校 Sejong Campus High School | |
| | |
| 개교 | 2025년 3월 1일 |
| 유형 | 자율형 공립고등학교 |
| 성별 | 남녀 공학 |
| 형태 | 공립 |
| 교장 | 이정세 |
| 교감 | 김혜옥 |
| 교훈 | 저마다의 빛깔을 찾아 모두가 특별해지는 다채로운 배움터 |
| 교화 | 수수꽃다리 |
| 교목 | 소나무 |
| 교조 | 교조 |
| 학생 수 | 398명[기준] |
| 교직원 수 | 34명[기준] |
| 관할청 | 세종특별자치시교육청 |
| 주소 | 세종특별자치시 산울3로 140 |
| 홈페이지 | |
| <nopad> | |
1. 개요
세종특별자치시 산울동에 위치한 자율형 공립고등학교.2. 학교 연혁
| 2025년 3월 1일 | 개교 (14학급 399명) |
| 2025년 3월 2일 | 제1회 입학식 |
| 2025년 9월 1일 | 이정세 교장 부임 |
3. 학교 상징
- 출처: 세종캠퍼스고등학교 홈페이지
| 교목, 교화 | |
| 교목 | 소나무 |
| 교화 | 수수꽃다리 |
3.1. 교표
3.2. 교화
수수꽃다리
은은한 향기와 수수한 외형을 지닌 꽃으로, 진정성 있는 마음과 성숙한 인성을 중시하는 태도를 상징한다. 꽃말인 ‘우애’처럼, 서로를 배려하고 조화롭게 생각하는 공동체 정신을 바탕으로 바른 사고(正思)의 가치를 함양한다.
은은한 향기와 수수한 외형을 지닌 꽃으로, 진정성 있는 마음과 성숙한 인성을 중시하는 태도를 상징한다. 꽃말인 ‘우애’처럼, 서로를 배려하고 조화롭게 생각하는 공동체 정신을 바탕으로 바른 사고(正思)의 가치를 함양한다.
3.3. 교목
소나무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간직하며 곧게 자라는 나무로, 흔들림 없이 바른 자세를 견지하는 삶의 태도를 상징한다. 굳은 의지와 실천을 바탕으로, 바르게 보고(正見), 바르게 행동하자(正行)는 교훈의 가치를 함양한다.
사계절 내내 푸르름을 간직하며 곧게 자라는 나무로, 흔들림 없이 바른 자세를 견지하는 삶의 태도를 상징한다. 굳은 의지와 실천을 바탕으로, 바르게 보고(正見), 바르게 행동하자(正行)는 교훈의 가치를 함양한다.
3.4. 교조
3.5. 교훈
저마다의 빛깔을 찾아 모두가 특별해지는 다채로운 배움터
3.6. 캐릭터
왼쪽부터 정음(미술), 정음(체육), 훈민, 창제이다.
3.7. 교육목표
3.8. 교가
4. 학교 특징
4.1. 복장
일반적인 정장교복이다.4.2. 학교 시설
총 4층까지 있다.- 1층
- 급식실, 보건실, 도서관, 컴퓨터실, 교장실, 교무센터, 행정실 등이 있다.
- 2층
- 1학년 교실, 도서관[3], 강당, 미술실, 과학실, 홈베이스 등이 있다.
3층부터는 아직 공사 중이라 학생들의 출입이 제한된 상태이다.[4][5]
4.3. 교과중점과정
사회·국제(훈민), 미술, 체육(정음), 과학·정보(창제) 등 4개 중점 과정을 기반으로 학생의 진로와 적성에 부합하는 교과중점과목 특화 교육과정을 운영한다.4.3.1. 훈민(사회·국제)
훈민동에 위치하여 있고, 6반부터 10반까지이다.4.3.2. 정음(미술, 체육)
정음동에 위치되어 있고, 미술은 11, 12반, 체육은 13, 14반이다.4.3.3. 창제(과학·정보)
창제동에 위치되어 있고, 1반부터 5반까지이다.5. 학교 생활
5.1. 주요 행사
| 추가하시려면 "행사명: 개최 시기"로 추가해 주시고 부가적인 설명을 적어주세요. |
5.2. 학교 일과
| 나머지 일과, 방과후 프로그램 등은 이곳에 작성합니다. |
5.3. 시간표
| 정규 시간표 | ||
| 등교 | ~08:30 | |
| 조례/자습 | 08:30 ~ 08:40 | |
| 1교시 | 08:40 ~ 09:30 | |
| 쉬는시간 | 09:30 ~ 09:40 | |
| 2교시 | 09:40 ~ 10:30 | |
| 쉬는시간 | 10:30 ~ 10:40 | |
| 3교시 | 10:40 ~ 11:30 | |
| 쉬는시간 | 11:30 ~ 11:40 | |
| 4교시 | 11:40 ~ 12:30 | |
| 점심시간 | 12:30 ~ 13:30 | |
| 수업준비시간 | 13:30 ~ 13:40 | |
| 5교시 | 13:40 ~ 14:30 | |
| 쉬는시간 | 14:30 ~ 14:40 | |
| 6교시 | 14:40 ~ 15:30 | |
| 쉬는시간 | 15:30 ~ 15:40 | |
| 7교시 | 15:40 ~ 16:30 | |
6. 출신 인물
| <colbgcolor=#E9ECEF,#101112>가나다순으로 정렬합니다. |
| 나무위키에 등재되어 있거나 등재기준을 만족할 정도의 저명성 있는 인물만 기록 가능합니다. |
7. 이용 가능한 대중교통
7.1. 버스
| 해밀동,산울동(중앙) (2456)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방면 | |
| B0 | 배차 간격 4-15분 |
| B1 | 배차 간격 6-8분 |
| B2 | 배차 간격 3-10분 |
| B3 | 배차 간격 18-30분 |
| B7 | 배차 간격 20-30분 |
| A2 | 배차 간격 1일 8회 |
| A3 | 배차 간격 1일 8회 |
| 해밀동,산울동(중앙) (2268) - 한별동 방면 | |
| B0 | 배차 간격 4-15분 |
| B1 | 배차 간격 6-8분 |
| B2 | 배차 간격 3-10분 |
| B3 | 배차 간격 18-30분 |
| B7 | 배차 간격 20-30분 |
| A2 | 배차 간격 1일 8회 |
| A3 | 배차 간격 1일 8회 |
| 산울마을7,8단지 (64100) - 한별동 방면 | |
| 271 | 배차 간격 13-17분 |
| 산울마을7,8단지 (64101) - 산울동커뮤니티센터 방면 | |
| 271 | 배차 간격 13-17분 |
| 산울동커뮤니티센터 (64102) - 산울마을7,8단지 방면 | |
| 271 | 배차 간격 13-17분 |
| 산울동커뮤니티센터 (64103) - 바른초등학교 방면 | |
| 271 | 배차 간격 13-17분 |
| 해밀동,산울동 (31051) - 세종충남대학교병원 후문 방면 | |
| 273 | 배차 간격 17분 |
| 275 | 배차 간격 13-33분 |
| 279 | 배차 간격 16-21분 |
| 500 | 배차 간격 30-60분 |
| 502 | 배차 간격 1일 1회 |
| 550 | 배차 간격 1일 10-12회 |
| 551 | 배차 간격 1일 2회 |
| 601 | 배차 간격 15-20분 |
| 991 | 배차 간격 30분 |
| M1 | 배차 간격 15분 |
| 해밀동,산울동 (31052) - 한별동 방면 | |
| 273 | 배차 간격 17분 |
| 275 | 배차 간격 13-33분 |
| 279 | 배차 간격 16-21분 |
| 500 | 배차 간격 30-60분 |
| 502 | 배차 간격 1일 1회 |
| 550 | 배차 간격 1일 10-12회 |
| 551 | 배차 간격 1일 2회 |
| 601 | 배차 간격 15-20분 |
| 991 | 배차 간격 30분 |
| M1 | 배차 간격 15분 |
8. 사건 사고
| 제도권 언론 및 계열 브랜드 언론에서 보도한 경우에만 서술합니다. |
9. 기타
- 前 세종특별자치시교육감 최교진이 2014년 제2대 교육감 선거 공약으로 내세운 학교이다.
- 2014년부터 개교할 때까지 설립 추진 전담팀(TF) 운영, 설립 및 운영방안 연구, 교육과정 기획단(TF) 운영, 대지 확보 및 설계 등 개교 절차를 밟아 왔다.
- 학교 내 학생들 커뮤니티가 있다. #
10. 둘러보기
[기준] 2025년 3월 1일[기준] [3] 1층과 2층에 모두 존재한다. 2025년 1학기 때는 공부용 6인 책상만 두어 야간자율학습 공간으로 활용되었지만, 2학기부터는 다양한 가구들로 도서관을 꾸며서 야간자율학습 공간으로 활용되지 않고 있다.[4] 단, 기술가정 시간에는 3층 기술실이 이용 가능하고, 음악시간에는 4층 음악실이 사용 가능하다. 또한 2025년 2학기 때부터 3층 창제반 교무실과 맞은편 교실을 야간자율학습 공간으로 사용하고 있다.[5] 3층은 2학년 교실, 4층은 3학년 교실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3층과 4층에 있는 교실들을 보면 학년과 반을 나타내는 표시판이 있지만 가구가 아무것도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것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