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width=320><tablebordercolor=#df1919><tablebgcolor=#df1919> | 유럽축구연맹 소속 국가대표팀 감독 |
{{{#!wiki style="margin: 0 -10px;" {{{#1868D6,#2878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aaa | 이반 요바노비치 | 로날드 쿠만 | 스톨레 솔바켄 | 브리안 리머 |
율리안 나겔스만 | 파올로 니콜라토 | 발레리 카르핀 | 미르체아 루체스쿠 | |
제프 스트라서 | 에드가라스 얀카우스카스 | 콘라트 퓐프슈튀크 | 미르코 부치니치 | |
릴리안 포페스쿠 | 에밀리오 데레오 | 뤼디 가르시아 | 카를로스 알로스 | |
세르게이 바르바레즈 | 블라고야 밀레프스키 | 마이클 오닐 | 알렉산다르 디미트로프 | |
로베르토 체볼리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무라트 야킨 | 욘 달 토마손 | |
스티브 클라크 | 루이스 데 라 푸엔테 | 프란체스코 칼초나 | 마티아시 케크 | |
아르나르 군라우그손 | 헤이미르 하들그림손 | 예기시 멜리키안 | 아이칸 아바소프 (대행) | |
콜도 알바레즈 | 시우비뉴 | 위르겐 헨 | 랄프 랑닉 | |
세르히 레브로프 | 크레이그 벨라미 | 란 벤 시몬 | 젠나로 가투소 | |
토마스 투헬 | 윌리 사뇰 | 스콧 와이즈먼 | 이반 하셰크 | |
공석 | 프랑코 포다 | 즐라트코 달리치 | 소프로니스 아브구스티 | |
빈첸조 몬텔라 | 에우둔 클라크스타 |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 얀 우르반 | |
디디에 데샹 | 야콥 프리스 | 마르코 로시 | ||
<colbgcolor=#f7f7f7,#191919> | ||||
전 세계 리그 및 대표팀 감독 |
세르히 레브로프의 역임 직책 |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 둘러보기 틀 모음 | |||
대표팀 | ||||
16대 | ||||
클럽 |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 ||
Збірна України з футболу | ||
<nopad> | ||
이름 | <colbgcolor=#ffffff,#1c1d1f> 세르히 레브로프 Сергій Ребров | Serhiy Rebrov | |
본명 | 세르히 스타니슬라보비치 레브로우 Сергій Станіславович Ребров | |
출생 | 1974년 6월 3일 ([age(1974-06-03)]세) | |
소련 우크라이나SSR 고를롭카 | ||
국적 |
| |
신체 | 키 173cm | |
직업 | 축구 선수 (중앙 공격수 / 은퇴) 축구 감독 | |
소속 | <colbgcolor=#f4d622> 선수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 (1991~1992) FC 디나모 키이우 (1992~2000) 토트넘 홋스퍼 FC (2000~2004) → 페네르바체 SK (2002~2004 / 임대)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 (2004~2005) FC 디나모 키이우 (2005~2008) FC 루빈 카잔 (2008~2009) FC 이르핀 호레니키 (2009) |
감독 | FC 디나모 키이우 U-21 (2009~2010 / 수석 코치) FC 디나모-2 키이우 (2010) FC 디나모 키이우 (2010~2014 / 수석 코치) 우크라이나 대표팀 (2010~2011 / 수석 코치 ) FC 디나모 키이우 (2014~2017) 알 아흘리 SFC (2017~2018) 페렌츠바로시 TC (2018~2021) 알 아인 FC (2021~2023) 우크라이나 대표팀 (2023~ ) | |
국가대표 | 75경기 15골 (우크라이나 / 1992~2006) |
1. 개요
우크라이나의 축구 선수 출신 감독.2. 선수 경력
2.1. 우크라이나 리그
샤흐타르 도네츠크에서 데뷔했다. 1992년 디나모 키이우로 이적하여 득점기계 안드리 셰브첸코와 투톱으로 나서 5연패를 이루어낸 후 EPL에 진출한다.디나모 키이우에서 보낸 8시즌동안 139골을 기록했다.
2.2. 토트넘 홋스퍼 FC 이적 후
프리미어리그 데뷔 시즌 29경기 9골로 다소 부진했다. 이후 큰 두각을 나타내지 못하고 페네르바체로 임대되었다.
토트넘을 거쳐 웨스트햄, 디나모 키예프, 루빈 카잔 등의 클럽에서 활동하다가 2009년 은퇴하였다.
3. 지도자 경력
3.1. FC 디나모 키예프
수석코치가 아닌 감독으로써 지휘봉을 잡은 것은 2014년부터이다. 선수 및 코치 시절부터 연이 깊은 디나모 키이우에서 재임기간동안 2번의 리그 우승, 2번의 리그컵 우승, 슈퍼컵 우승 1회를 달성하였다. 2014-15시즌 유로파리그 16강에서 에버튼을 무너뜨렸으며, 2015-16시즌에는 팀을 3년 만에 UEFA 챔피언스 리그로 이끌었다. FC 포르투를 밀어내고 조 2위로[1] 16강까지 올라갔다.3.2. 페렌츠바로시 TC
2018년, 헝가리 리그의 강호 페렌츠바로시에 부임했다. 당시 페렌츠바로시는 2시즌 연속 우승에 실패했고, 토마스 돌의 대체자로 레브로프를 낙점했다. 2018-19시즌 팀의 30번째 우승을 이끌었고, 다음 해에도 기세를 이어가며 헝가리 챔피언의 자리를 확고히 했다. 2020-21시즌, 25년만인 페렌츠바로시의 챔피언스리그 본선 진출을 성공시켰다. 동시에 3시즌 연속 리그 우승을 달성했고, 2021년 6월 팀과의 동행을 마쳤다.
3.3. 알 아인 FC
2022년 시즌이 끝나면 바로 우크라이나군으로 자원 입대한다고 발표했다.2023년 5월 27일, 알 아인 FC를 떠난다고 발표했다.#
3.4.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2023년 6월 7일,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선임되었다. 계약 기간은 2026년 7월 30일까지.#부임 이후 여러 강팀들을 무승부 혹은 승리를 이뤄내면서 좋은 모습을 보였다. 그러나 유로 예선 조 편성부터 전 대회의 우승국, 준우승국과 한 조에 묶이는 최악의 조 편성을 받아들었기에 현실적으로 조 2위 안에 들기는 매우 어려운 상황이었다.
결국 예선에서 만난 잉글랜드에게 1무 1패, 이탈리아에게도 1무 1패를 기록하며 나름 선방했음에도 여기에 발목이 잡혀 조 3위로 밀렸다. 그러나 이탈리아가 예선 내내 부진하면서 4승 2무 2패로 우크라이나와 동 승점을 기록했지만, 결국 상대 전적에서 앞서 극적인 2위를 할 정도로 차이가 크지 않았다.
그리고 2024년 3월 맞이한 플레이오프에서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아이슬란드를 모두 1점차 신승으로 누르고 조국의 4회 연속 유로 본선 진출 달성에 성공했다.
2025년 3월에 펼쳐진 네이션스 리그 승강 플레이오프 1차전 홈 경기에서 벨기에를 3:1로 잡으며 리그 A 승격을 기대하였으나 2차전 원정 경기에서 3:0으로 패하며 승격에는 실패하였다.
2025년 6월 8일에 펼쳐진 캐나다와의 친선 경기에서 4:2로 패하였다. 그나마 나온 두 골도 캐나다가 4:0으로 리드를 가져가고 있는 상황에서 나온 골들이고 더불어 전체 13개의 슈팅 중 8개에 달하는 유효슈팅을 때렸음에도 고작 2골을 넣은 것에 반해 캐나다는 6개의 유효슈팅 중 4개를 골로 연결하며 캐나다에 비해 비효율적인 경기력을 보여주었다.
2025년 6월 11일에 펼쳐진 뉴질랜드와의 친선 경기에는 2:1로 승리하며 공식전 2연패를 끊었다.
4. 둘러보기
{{{#!wiki style="margin: 0 -10px;" {{{#18489D,#6192e7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555555,#aaaaaa | 1992년 ~ 현재 | |||||
초대 프로코펜코 | 초대(대행) 파블로브 / 트카첸코 | 2대 바질례비치 | 2대(대행) 파블로브 / 문탼 | 3대 사보 | ||
4대 콘코브 | 5대 사보 | 6대 로바노브스키 | 7대 부략 | 8대 블로힌 | ||
9대 미카일리첸코 | 10대 마르케비치 | 11대 칼리트빈체브 | 12대 블로힌 | 12대(대행) 발 | ||
12대(대행) 자바로브 | 13대 포멘코 | 14대 셰브첸코 | 15대 페트라코프 | 15대(대행) 로탄 | ||
16대 레브로프 | ||||||
◀ 소련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
UEFA 유로 2024 참가 감독 | |||||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FFFFFF, #FFFFFF)" {{{#!wiki style="color: #000; margin: 0 -10px -5px; min-height: 27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color:#000000" | <colbgcolor=#1DBB5F> A조 | 율리안 나겔스만 | 스티브 클라크 | 마르코 로시 | 무라트 야킨 |
B조 | 루이스 데 라 푸엔테 ★ | 즐라트코 달리치 | 루치아노 스팔레티 | 시우비뉴 | |
C조 | 마티아시 케크 | 카스페르 히울만 | 드라간 스토이코비치 | 가레스 사우스게이트 ☆ | |
D조 | 미하우 프로비에시 | 로날드 쿠만 | 랄프 랑닉 | 디디에 데샹 | |
E조 | 도메니코 테데스코 | 프란체스코 칼초나 | 에두아르드 이오르더네스쿠 | 세르히 레브로프 | |
F조 | 빈첸조 몬텔라 | 윌리 사뇰 | 로베르토 마르티네스 | 이반 하셰크 | |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60 | 1964 | 1968 | 1972 | 1976 | 1980 1984 | 1988 | 1992 | 1996 | 2000 | 2004 2008 | 2012 | 2016 | 2020 | 2024 |
분류
- 1974년 출생
- 1991년 데뷔
- 2009년 은퇴
- 고를롭카 출신 인물
- 우크라이나의 남자 축구 선수
- 우크라이나의 남자 축구 감독
- FC 샤흐타르 도네츠크/은퇴, 이적
- FC 디나모 키이우/은퇴, 이적
- 토트넘 홋스퍼 FC/은퇴, 이적
- 페네르바흐체 SK/은퇴, 이적
- 웨스트햄 유나이티드 FC/은퇴, 이적
- FC 루빈 카잔/은퇴, 이적
- FC 디나모 키이우/역대 감독
- 알 아흘리 SFC/역대 감독
- 페렌츠바로시 TC/역대 감독
- 알 아인 FC/역대 감독
- 우크라이나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
- 2006 FIFA 월드컵 독일 참가 선수
- UEFA 유로 2024 참가 감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