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역대 성적
FIFA 월드컵 통산 랭킹: 14위④④⑧⑧⑧⑧
연도 | 라운드 | 순위 | 승점 | 경기 | 승 | 무 | 패 | 득점 | 실점 |
※ 유고슬라비아 왕국 | |||||||||
1930 우루과이 | 4강[1] | 4위 | 6 | 3 | 2 | 0 | 1 | 7 | 7 |
1934 이탈리아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38 프랑스 | |||||||||
※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 공화국 | |||||||||
1950 브라질 | 조별리그[3] | 5위[4] | 6 | 3 | 2 | 0 | 1 | 7 | 3 |
1954 스위스 | 8강 | 7위 | 4 | 3 | 1 | 1 | 1 | 2 | 3 |
1958 스웨덴 | 8강 | 5위 | 5 | 4 | 1 | 2 | 1 | 7 | 7 |
1962 칠레 | 4위[5][6] | 9 | 6 | 3 | 0 | 3 | 10 | 7 | |
1966 잉글랜드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70 멕시코 | |||||||||
1974 서독 | 8강[8] | 7위 | 5 | 6 | 1 | 2 | 3 | 12 | 7 |
1978 아르헨티나 | 본선 진출 실패[16개국] | ||||||||
1982 스페인 | 조별리그[10] | 16위[11] | 4 | 3 | 1 | 1 | 1 | 2 | 2 |
1986 멕시코 | 본선 진출 실패[24개국] | ||||||||
1990 이탈리아 | 8강[13] | 5위 | 10 | 5 | 3 | 1 | 1 | 8 | 6 |
※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 | |||||||||
1994 미국 | 실격[14] | ||||||||
1998 프랑스 | 16강 | 10위 | 7 | 4 | 2 | 1 | 1 | 5 | 4 |
2002 한국/일본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 세르비아 몬테네그로[16] | |||||||||
2006년 독일 | 조별리그[17] | 32위 | 0 | 3 | 0 | 0 | 3 | 2 | 10 |
※ 세르비아 공화국 | |||||||||
2010 남아공 | 조별리그[18] | 23위 | 3 | 3 | 1 | 0 | 2 | 2 | 3 |
2014 브라질 | 본선 진출 실패[32개국] | ||||||||
2018 러시아 | 조별리그[20] | 공동 22위[21] | 3 | 3 | 1 | 0 | 2 | 2 | 4 |
2022 카타르 | 조별리그[22] | 29위 | 1 | 3 | 0 | 1 | 2 | 5 | 8 |
2026 캐나다/멕시코/미국 | ? | ? | ? | ? | ? | ? | ? | ? | ? |
2030 스페인/포르투갈/모로코 | ? | ? | ? | ? | ? | ? | ? | ? | ? |
2034 사우디아라비아 | ? | ? | ? | ? | ? | ? | ? | ? | ? |
합계 | 본선진출 13회 / 4위 2회 | 63 | 49 | 18 | 9 | 22 | 71 | 71 |
2. 2010 남아공 월드컵
2.1. 32강 조별리그 가나전 - 0 : 1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1경기 2010년 6월 13일 16:00(UTC+2) | ||
로프터스 버스펠트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프리토리아) | ||
주심: 엑토르 발다시 (아르헨티나) | ||
| 0 : 1 | |
세르비아 | 가나 | |
- | 득점자 | 85′ 아사모아 기안 (PK) |
74′ 알렉산다르 루코비치 | 퇴장자 | - |
관중: 38,833명 | ||
Man of the Match: [[아사모아 기안|{{{#000000 아사모아 기안}}}]] (가나) |
2.2. 32강 조별리그 독일전 - 1 : 0 승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3경기 2010년 6월 18일 13:30(UTC+2) | ||
넬슨 만델라 베이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포트엘리자베스) | ||
주심: 알베르토 운디아노 마옌코 (스페인) | ||
| 1 : 0 | |
세르비아 | 독일 | |
38′ 밀란 요바노비치 | 득점자 | - |
- | 퇴장자 | 37′ 미로슬라프 클로제 |
관중: 38,294명 | ||
Man of the Match: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000000 블라디미르 스토이코비치}}}]] (세르비아) |
2.3. 32강 조별리그 호주전 - 1 : 2 패
2010 FIFA 월드컵 남아프리카 공화국 D조 제5-2경기 2010년 6월 23일 20:30(UTC+2) | ||
음봄벨라 스타디움 (남아프리카 공화국, 넬스프루이트) | ||
주심: 호르헤 라리온다 (우루과이) | ||
| 1 : 2 | |
세르비아 | 호주 | |
84′ 마르코 판텔리치 | 득점자 | 69′ 팀 케이힐 73′ 브렛 홀먼 |
관중: 37,836명 | ||
Man of the Match: [[팀 케이힐|{{{#000000 팀 케이힐}}}]] (호주) |
3. 2018 러시아 월드컵
3.1. 32강 조별리그 코스타리카전 - 1 : 0 승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1경기 2018.06.17.(일) 21:00(UTC+4) | ||
사마라 아레나 (러시아, 사마라) | ||
주심: 말랑 디에디우 (세네갈) | ||
| 1 : 0 | |
세르비아 | 코스타리카 | |
56'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 득점자 | - |
관중: 41,970명 | ||
Man of the Match: 알렉산다르 콜라로프 (세르비아) |
3.2.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1 : 2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4경기 2018.06.22.(금) 20:00(UTC+2) | ||
칼리닌그라드 스타디움 (러시아, 칼리닌그라드) | ||
주심: 펠릭스 브리히 (독일) | ||
| 1 : 2 | |
세르비아 | 스위스 | |
5' 알렉산다르 미트로비치 | 득점자 | 52' 그라니트 자카 90' 제르단 샤키리 |
관중: 33,167명 | ||
Man of the Match: 제르단 샤키리 (스위스) |
3.3.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2018 FIFA 월드컵 러시아 E조 5-1경기 2018.06.27.(수) 21:00(UTC+3) | ||
스파르타크 스타디움 (러시아, 모스크바) | ||
주심: 알리레자 파가니 (이란) | ||
| 0 : 2 | |
세르비아 | 브라질 | |
- | 득점자 | 35' 파울리뉴 67' 티아구 시우바 |
관중: 44,190명 | ||
Man of the Match: 파울리뉴 (브라질) |
4. 2022 카타르 월드컵
4.1. 32강 조별리그 브라질전 - 0 : 2 패
4.2. 32강 조별리그 카메룬전 - 3 : 3 무
4.3. 32강 조별리그 스위스전 - 2 : 3 패
[1] 이 당시는 3, 4위전이 없었고, 4강전에서 탈락하면 승무패, 득실차로 3, 4위를 가렸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3] 13강 조별리그 다음이 8강전 없이 조1위만 진출하는 4강 결승리그(풀리그 방식)였다. 덕분에 조2위를 차지하였으나 월드컵 최종 5위로 4강 결승리그에 진출 실패했다. 8강 제도가 있었다면 8강에 진출이 가능했다. 당시 2차 세계대전의 후유증과 동시에 한국전쟁이 터져 기권팀이 많아 13개팀이 본선에 진출하였다.[4] 8강전이 없었다.[5] 4강전에서 탈락 후 3,4위전 최종 4위[6] 1954~1962년까지 3회 연속 8강에서 서독을 만났으며, 두 대회 연속으로 졌지만 결국 이김으로서 복수에 성공, 두 번째 4강 진출을 이뤄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8] 16강 조별리그에서 아프리카 예선 우승으로 진출한 자이르(현 콩고민주공화국)를 상대로 9:0 월드컵 최다 득점차로 이김으로서 남은 두 경기를 비기고도 조 1위로 8강에 진출했다.[16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0] 24강 조별리그 다음 12강으로 진행되었으며, 16강전이 없었다. 개최국 스페인에게 다득점에 밀렸는데 당시는 2라운드가 16강 토너먼트가 아닌 12강 조별리그로 12강 진출에 실패했다.[11] 16강전이 없었다.[24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3] 1962년 4강 진출 이후 가장 높은 성적. 아르헨티나와의 8강전에서 승부차기까지 갔지만 패배하여 4강 진출은 이루지 못했는데, 이 대회에서 뛰던 선수들 상당수가 크로아티아 출신이고 이들이 8년 후에 결국 4강 진출에 성공한다.[14] 유고슬라비아 전쟁으로 실격 처리되었다.[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16] 공식적으로는 그렇지만 유고슬라비아 연방 공화국과 국체가 같기 때문에 실질적으로는 1994년 기록부터 이어진다고 봐도 된다.[17] 32강 조별리그, 한 조에 유럽이 3개국이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특별시드로 분류되어 브라질, 아르헨티나, 멕시코가 톱시드인 조 중 하나로 강제 편성되었고, 그 결과 아르헨티나, 네덜란드, 코트디부아르라는 최악의 조를 만나 아르헨티나에 0:6으로 대패하고 본선 최하위 32등으로 탈락했다.[18] 32강 조별리그, 톱시드팀 독일을 1:0으로 이겼지만 남은 두 경기를 지는 바람에 탈락했다. 8년 전 크로아티아의 데자뷰.[32개국] 본선 월드컵에 진출 실패했다.[20] 32강 조별리그[21] 독일과 공동 22위[22] 32강 조별리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