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7-22 11:51:48

세가 슈퍼스타 테니스

{{{#!wiki style="margin:-10px"<tablebordercolor=#0063ff><tablebgcolor=#0063ff> 파일: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로고.svg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일람
}}}
{{{#!wiki style="margin:0 -10px -5px; min-height:calc(1.5em + 5px); word-break:keep-all"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5px -1px -11px; text-align:left"
<colbgcolor=#0063ff><colcolor=#fff>
1세대
<colbgcolor=#0063ff><colcolor=#fff> '''
2D
'''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1991) · 소닉 더 헤지혹 2 · 소닉 더 헤지혹 CD · 소닉 더 헤지혹 3 · 소닉 & 너클즈 · 카오틱스 · 소닉 3D 블래스트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8비트) · 소닉 더 헤지혹 2(8비트) · 소닉 & 테일즈 · 소닉 & 테일즈 2 · 테일즈의 스카이패트롤 · 테일즈 어드벤처 · 소닉 래버린스 · G 소닉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클래식 · 소닉 & 너클즈 컬렉션 · 소닉 잼 · 소닉 메가 컬렉션/플러스 · 소닉 젬즈 컬렉션 · 소닉 더 헤지혹 제네시스 · 소닉 클래식 컬렉션 · 소닉 오리진스 (DLC)
2세대
3D
가정용: 소닉 어드벤처 · 소닉 어드벤처 2 · 소닉 히어로즈 · 섀도우 더 헤지혹 · 소닉 더 헤지혹(2006) · 소닉 언리쉬드 · 소닉 컬러즈 · 소닉 제너레이션즈 · 소닉 로스트 월드 (3DS) · 소닉 포시즈
리메이크 및 이식: 소닉 어드벤처 DX · 소닉 어드벤처 2 배틀 · 소닉 PC 컬렉션 · 소닉 컬러즈 얼티밋 · 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2D
가정용: 소닉 더 헤지혹 4 · 소닉 매니아 (DLC)
휴대용: 소닉 더 헤지혹 포켓 어드벤처 · 소닉 어드밴스 · 소닉 어드밴스 2 · 소닉 배틀 · 소닉 어드밴스 3 · 소닉 러시 · 소닉 라이벌즈 · 소닉 러시 어드벤처 · 소닉 라이벌즈 2 · 소닉 크로니클 · 소닉 컬러즈(닌텐도 DS) · 소닉 제너레이션즈: 파란 모험
3세대
3D
소닉 프론티어
2D
소닉 슈퍼스타즈
외전 레이싱: 소닉 드리프트 · 소닉 드리프트 2 · 소닉 R · 소닉 라이더즈 · 소닉 라이더즈 슈팅 스타 스토리 · 소닉 프리 라이더즈 ·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 · 소닉 & 올스타 레이싱 트랜스폼드 · 팀 소닉 레이싱 · 소닉 레이싱 · 소닉 레이싱 크로스월드
스토리북: 소닉과 비밀의 링 · 소닉과 암흑의 기사
마리오와 소닉 올림픽: 베이징 올림픽 · 밴쿠버 동계 올림픽 · 런던 올림픽 · 소치 동계 올림픽 · 리우 올림픽 · 2020 도쿄 올림픽
콜라보레이션 등장: 세가 슈퍼스타 테니스 ·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 Super Smash Bros. for Nintendo 3DS / Wii U · 슈퍼 스매시브라더스 얼티밋 · 체인 크로니클 · D×2 진 여신전생 리버레이션 · 몬스터 슈퍼리그 · 쿠키런: 킹덤 · 뿌요뿌요 테트리스 2 · Sonic Speed Simulator · 크레이지레이싱 카트라이더 · 카트라이더 러쉬 플러스
소닉 붐 시리즈: 소닉 붐 라이즈 오브 리릭 · 섀터드 크리스털 · 파이어 & 아이스
기타: 소닉 패트롤 카 · 세가소닉 팝콘 숍 · 세가소닉 · 닥터 로보트닉의 민 빈 머신 · 소닉 스핀볼 · 소닉 더 파이터즈 · 소닉 셔플 · 소닉 핀볼 파티· 소닉 X(Leapster) · 소닉 더 헤지혹 살인 사건
모바일
기반
플레이 가능: 소닉 점프 · 소닉 대시 · 소닉 대시 2 · 소닉 러너즈 어드벤처 · 소닉 포시즈: 스피드 배틀 · 소닉 레이싱 · 소닉 드림 팀 · 소닉 럼블소닉 블리츠
서비스 종료: 소닉 러너즈
미분류
개발 중단: 소닉 엑스트림 · 소닉 시너지: Remastered for PC
개발 중: 제목 미정의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신작
미디어
믹스
TV & OTT 애니메이션: 바람돌이 소닉 · 고슴도치 소닉 · 언더그라운드 · 소닉 X (1기 · 2기) · 소닉툰 · 소닉 프라임
수퍼 소닉 시리즈: 수퍼 소닉 · 수퍼 소닉2 · 수퍼 소닉3 · 수퍼 소닉4 · 너클즈(드라마)
기타 영상물: 소닉 더 헤지혹(OVA) · 나이트 오브 더 웨어혹 · 주먹왕 랄프 · Hi☆sCoool! 세하걸 · 소닉 매니아 어드벤처즈 · 팀 소닉 레이싱 오버드라이브 · OK K.O.! Let's Be Heroes · 소닉 컬러즈: 라이즈 오브 더 위스프 · 테일즈튜브 · 소닉 프론티어 프롤로그: 분기 · 소닉 슈퍼스타즈: 트리오 오브 트러블소닉×섀도우 제너레이션즈: Dark BeginningsCHAO TALES · Sonic Twitter Takeover
코믹스: 소닉 더 코믹 · 아치판 소닉 코믹스 시리즈 · 소닉 더 헤지혹(IDW)
캠페인
프로젝트 소닉 · 프로젝트 소닉'22 · Fearless, Year of Shadow
}}}}}}}}} ||
소닉 크로스오버물
대난투 스매시브라더스 X 세가 슈퍼스타 테니스 소닉 & 세가 올스타 레이싱
<colcolor=Black>
세가 슈퍼스타 테니스
Sega Superstars Tennis
파일:세가 슈퍼스타 테니스.png
개발 스모 디지털, 페럴 인터렉티브[Mac]
유통 세가
플랫폼 PlayStation 2 | PlayStation 3 | Wii | Nintendo DS | Xbox 360 | Mac OS X
출시일 파일:미국 국기.svg 2008년 3월 18일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2008년 3월 17일
파일:호주 국기.svg 2008년 3월 18일
파일:Apple 파란색 로고(2001-2007).webp[2] 2013년 10월 17일
장르 스포츠 게임

1. 개요2. 미니 게임3. 등장 캐릭터
3.1. 처음부터 선택 가능한 캐릭터3.2. 숨겨진 캐릭터
4. 게임 모드5. 캐릭터 기술6. 특징

1. 개요


2008년 3월 17일세가에서 발매되었으며, 발매 기종은 PS2/3, X-box360, Wii, DS로 발매되었고, 나중에 2013년 10월 13일에 macOS로도 발매했다. 제작사는 스모 디지털. 제목에서만 봐도 알 수 있듯이 게임 회사 세가의 게임들 중 유명했던 게임의 캐릭터들이 등장하여 테니스 대결을 펼치는 게임이다.

게임 디스크 케이스의 표지를 보면 소닉과 그의 숙적 에그맨이 있어 얼핏 보면 소닉 게임의 후속작으로 보일 수 있지만 아니며, 그냥 팬서비스 게임..... 게임 제목을 봐도 알 수 있듯이 테니스 대결을 하는 게임이긴 하나 캐릭터별로 특수 기술이 있기도 하고, 또 세가의 유명했던 게임들을 테니스와 연관시켜 즐길 수 있는 게임모드가 있다(미니게임).

어떻게 보면 세가가 과거에 아케이드용으로 제작, 실존하는 테니스 선수들이 등장하는 테니스 게임 시리즈인 버추어 테니스 시리즈의 후계작이라고 볼수도 있다.

2. 미니 게임

3. 등장 캐릭터

캐릭터가 등장하는 게임은 각각의 강점이 있듯이 이 게임에도 각 캐릭터별로 강점이 있다. 네 가지로 나뉘는데 빠르게 이동할 수 있는 스피드(Speed), 공을 살짝살짝 휘도록 치는 스핀(Spin), 슈퍼스타 모드가 막강한 파워(Power)이긴 한데 꼭 그렇지 않은 것도 있다..., 밸런스형으로 되어있는 올 라운드(All Round), 공을 치러다니기가 수월한 컨트롤(Control) 캐릭터가 있다.

3.1. 처음부터 선택 가능한 캐릭터

캐릭터 출연 작품 타입 올스타
소닉 더 헤지혹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스피드 슈퍼 소닉
아이아이 슈퍼 몽키 볼 시리즈 스핀 바나나 블리츠
나이츠 나이츠 시리즈 올 라운드 나이토피안
울랄라 스페이스 채널 5 컨트롤 모론성인 침략
비트 젯 셋 라디오 스피드 그래피티 플로어
아미고 삼바 데 아미고 파워 마라카 매드니스
마일즈 테일즈 프로워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스핀 회오리바람
닥터 에그맨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파워 일렉트릭 스파이크 볼

3.2. 숨겨진 캐릭터

캐릭터 출연 작품 타입 올스타 해금 조건
섀도우 더 헤지혹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스피드 슈퍼 섀도우 소닉 더 헤지혹 어트랙션의 마지막 미션을 클리어
미미 슈퍼 몽키 볼 시리즈 스핀 플라워 파워 슈퍼 몽키볼 어트랙션의 8번째 미션을 클리어
리아라 나이츠 시리즈 올 라운드 나이트메어 NiGHTS into dreams… 어트랙션의 2번째 미션을 클리어
푸딩 스페이스 채널 5 컨트롤 기타 쇼다운 스페이스 채널 5 어트랙션의 1번째 미션을 클리어
젯 셋 라디오 스피드 폴리스 젯 셋 라디오 어트랙션의 마지막 미션을 클리어
알렉스 키드 알렉스 키드 시리즈 컨트롤 가위바위보 알렉스 키드 어트랙션의 미션을 클리어
길리우스 썬더헤드 골든 액스 파워 골든 히트 골든 액스 어트랙션의 미션을 클리어
에이미 로즈 소닉 더 헤지혹 시리즈 올 라운드 러브 하트 스턴 소닉 더 헤지혹 어트랙션의 2번째 미션을 클리어

4. 게임 모드

아래는 세가 슈퍼스타 테니스 게임의 게임 모드이다.
  • 슈퍼스타즈(Superstars)
세가의 유명했던 게임들을 간접적이나마 즐겨볼 수 있는 모드이다. 위에서 언급한 게임들이 나오며 이것들을 직접 플레이할 수 있는 건 아니고 테니스를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버추어 스쿼드의 경우 본 게임에서는 권총을 쓰지만 슈퍼스타 테니스의 슈퍼스타즈 모드에서는 테니스공을 총쏘듯이 한다는 것이다. 젯셋라디오 미니게임에서는 그래피티를 스프레이로 뿌리지 않고 테니스 공을 던져서 칠한다....
이 미니게임들에 나왔던 캐릭터들이 출연하긴 하지만 전혀 나오지 않는 캐릭터의 게임도 있다. 뿌요팝 피버나 아웃 런 등...그나마 아웃 런은 코트 맵이라도 있지 뿌요팝 피버는 나이츠의 코트장을 빌려서 한다.... 슈퍼스타즈 모드를 하다보면 간혹 토너먼트를 할 때가 있는데 이 토너먼트를 무사히 클리어하면 마지막에 대결했던 캐릭터를 얻을 수 있다.
  • 매치(Match)
단순히 테니스만 치고 싶을 때 이 모드를 선택하면 된다. 상대편 캐릭터도 자신이 정할 수 있으며 단식/복식 경기모드 또한 정할 수 있고 난이도나 서브순서, 게임셋 횟수 등 자신이 모두 정할 수 있는 것이 특징. 취향에 따라서 코트도 자신이 정할 수 있다. 물론 티저 영상처럼 소림 테니스(?)를 할 수는 없다.
  • 토너먼트(Tournament)
말 그대로 이긴 순서대로 하는 토너먼트 모드이다. 단식과 복식을 정할 수 있으며 단식은 5번의 토너먼트 경기를 진행하고 복식은 3번의 토너먼트 경기를 진행한다. 상대는 자신이 정할 수 없으며 경기를 거듭할 수록 난이도는 계속 올라간다. 그리고 일정 점수를 기록하면 스페셜 매치가 이어지는데 난이도가 상당히 높다. 앞과는 비교도 안될 정도. 토너먼트를 모두 클리어하면 제작진 크레딧을 볼 수 있다.
  • 게임(Games)
말 그대로 미니게임 모드이다.
  • 온라인(Online)
온라인으로 서로 다른 사람과 테니스를 즐길 수 있다. 단식/복식 여부와 코트를 고를 수 있다.
  • 옵션
게임설정이나 레코드를 볼 수 있다. 게임설정의 경우 중계 성우의 성별을 고를 수 있고 슈퍼스타 기술 사용 여부를 정할 수 있다. 전체적인 난이도 조절과 효과음, 배경음 유무를 설정할 수 있다. 레코드에서는 자신의 총 서브 횟수나 슈퍼스타 모드 클리어 확률 등등을 알아볼 수 있고 자신이 가장 많이 사용한 코트나 자주 애용하는 캐릭터, 그리고 공을 친 횟수 등등을 알아볼 수 있다.

5. 캐릭터 기술

테니스 게임이긴 하지만 기술을 이용하여 좀 더 유리하게 게임을 진행할 수 있다. 설명서에는 슈퍼스타 모드 라고 표기되어있고 옵션에도 슈퍼스타 모드 라고 표기되어 있으니 슈퍼스타 모드라고 칭한다. 각 캐릭터별로 다양한 슈퍼스타 모드가 있으며 계속 사용할 수 있는 건 아니고 게이지가 가득 차야 사용할 수 있다. 그 게이지는 캐릭터 밑 발판에 있으며, 발판의 별모양 게이지가 꽉 찰 경우 반짝반짝 빛이 나게 된다. 이 때 L1이나 R1을 눌러주면 슈퍼스타 모드가 발동된다. 슈퍼스타 모드를 사용하게 되면 공속이 빨라지기도 하고 적의 코트 영역에 방해꾼이 등장하기도 하며 공이 휘기도 한다. 기본으로 주어지는 캐릭터보다 슈퍼스타 플랜트에서 토너먼트를 통해 얻은 캐릭터들의 능력이 대체로 좋은 편이다.

6. 특징

실제 테니스에서는 쓰이지 않는 자세로 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면 한쪽 다리를 들고 친다던지, 데굴데굴 굴러가면서 친다던지 등등 다양한 자세가 많이 나오며, 다른 패드를 이용하여 지인과 같이 테니스 경기를 할 수도 있다. 슈퍼스타 모드를 사용하여 역전의 기회가 주어지기도 하며 복식 경기모드일 때는 컴퓨터들끼리 치기도 하는 현상이 일어나기도 한다.

공의 속력의 경우 서브할 때는 자신이 정할 수 있지만, 날아오는 공의 경우는 공의 위치가 어딘가에 따라 빨라지기도, 느려지기도 하며 붕 떠서 상대방에게 스매시 기회를 주는 경우가 발생하기도 한다. 키 조합에 따라 공이 조금 다르게 움직이며 코트 종류에 따라서도 조금 달라지기도 한다. 다만 게임 자체의 인기는 별로 없었던 모양.


[Mac] Mac OS X 한정[2] 국가 구분없이 발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