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6-10 21:50:19

성 파블로프 재단

파일:리버스로고.png
{{{#!wiki style="margin:0px 0px -5px; min-height: 27px; font-family: '바탕','Batang',serif; 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8px -1px -10px;"
<colcolor=#BB9D87><colbgcolor=#553D2D> 인게임 정보
게임 플레이
세계관 관련
기타
}}}}}}}}}}}} ||
1. 개요2. 특징3. 소속 인물
3.1. 위원회3.2. 재단 본부
3.2.1. 타임키퍼 소대
3.3. 라플라스 과학 연구소3.4. 제1 방어선 학교3.5. 면도날3.6. 기타 부서
4. 기타
May the peace be with you.
평화가 우리와 함께 하길.
재단의 슬로건

1. 개요

파일:F48XDx7bgAEOL7Q.jpg
St. Pavlov Foundation / 圣洛夫基金会

리버스: 1999의 등장단체. 마도학자들이 인류와의 공존을 위해 설립한 자선단체다.

2. 특징

마도학자와 인류의 공존 및 인류의 평화를 지키는 것을 목표로 하며, 전세계에서 마도술 적성이 있는 마도학자 아이들을 발굴하고 교육 및 훈련시켜 정예 마도학자로 키워낸다. 재단에서 키워지지 않은 사회 속 미등록 마도학자들을 물색 및 등록하고 있으며, 마도학자가 아닌 인류를 멸망시키려 암약하는 재건의 손을 적대단체로 규정하고 전쟁을 벌이고 있다.

자선단체라고는 하나 작중 묘사상으로는 재단에서 발의하고 집행하는 자체적인 법안들이 있고 수뇌부도 행정부, 입법부, 사법부가 각기 따로 존재하는 삼권분립 체제이며 자체적인 교육 기관과 연구 기관들이 여럿 있는 것으로 보아 해리 포터 시리즈마법 정부처럼 일종의 마도학자들의 정부로서 기능하는 것으로 보인다.

재단의 이념에 걸맞게 구성원 중에서는 고위급과 말단을 막론하고 인간도 섞여 있는데, 실제로 재단 내 로스쿨 출신이 등장하고 또 폭풍우가 도래하기 전 재단 내에서도 폭풍우 증후군에 시달려 미쳐버린 인간들이 메스머 주니어를 비롯한 치료반에게 정신 치료를 받는 묘사가 나온다.

재단 연합 위원회가 통치하며, 그 아래 여러 부서로 나뉘어 마도학자를 수색 및 통제하는 수직적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인간과 과학, 이성을 대표하는 집단(인류당)과, 마도학자와 마도학, 직관을 대표하는 집단으로 양분되어있다. 폭풍우의 영향으로 인간 인구는 감소하고, 마도학자는 각 시대마다 유입되어 증가하면서 둘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1]

마도학자에게 마도학을 쓸 권리나 연구 예산 등 여타 권한을 부여하기 때문에 많은 가난한 마도학자들이 이곳을 선망의 눈으로 바라보고 있다고 한다.

본래 1999년도에는 매우 강대한 조직이었지만 최초의 폭풍우로 인해 다수의 정예 자원을 잃은 뒤로 계속해서 폭풍우를 맞이하면서 지속적인 손실을 겪었고 재건의 손까지 상대해야 하는 입장이기에 폭풍우의 영향을 받지 않고 외부 활동이 가능한 유일한 존재인 버틴에게 타임키퍼 직위를 내려 재단을 위해 각종 임무 수행과 마도학자 탐색 및 충원을 맡기고 있다. 챕터 5부터는 버틴과 Z의 노력으로 '폭풍우 개혁: 질서와 증원' 법안이 통과되면서 본인만의 소대가 정식 편제화되어 자율성이 증가했다.

재단의 건물은 폭풍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그래서 폭풍우로 시대가 리셋되면 건물이 위치한 그 시대 국가 정부와 부지 협상을 새로 해야 하고 방공 체계도 재구축해야 하기 때문에 애를 먹는다고 한다.

아르카나의 말에 따르면 버틴을 비롯한 폭풍우 면역 인자를 가진 아이를 만들기 위해 실험을 실시했고, 폭풍우를 만든 것도 재단이라 한다. 그러나 아르카나의 말의 앞뒤가 맞지 않는 부분도 있고, 아르카나가 기만과 정신적 공격을 섞어 하는 빌런이기에 전부 진실일 가능성은 낮다. 다만, 버틴이 직접 말하고 인정한 '가치가 떨어진다 판단된 마도학자 아이들은 뒷골목이나 고아원 같은데 가차없이 버린 것' 자체는 사실일 수도 있다.

3. 소속 인물

3.1. 위원회

혹은 연합 위원회. 재단의 통치 기관이다. 표를 통해서 현실의 의회처럼 법안을 통과시키거나 논의하기도 한다.
  • 회장
    성 파블로프 재단 위원회의 회장. 노령의 남성이다. 재단 내 최고서열자이나 장기 출장이 잦고 몸이 좋지 않아서인지 재단의 지휘권을 콘스탄틴에게 거의 일임하고 있다. 챕터4에서 재단에 돌아와 콘스탄틴에게 잠시 재단에 체류할 것과 동시에 귓속말로 무언가를 전한다.[2]
  • Z
    성 파블로프 재단 위원회의 대표.
  • 의장
    성 파블로프 재단 위원회의 입법부 의장. 콘스탄틴과는 오랜 직장 동료로서 사적으로도 허물없는 관계를 보인다. 폭풍우 개혁안의 부결을 자신하는 콘스탄틴에게 Z의 움직임이 심상치 않다며 회의감을 비춘다.
  • 비서 샤론
  • 대표자(마크 할)
    Z와 함께 일하는 사무실의 대표자. 반대자에게 도발을 받고 공개 변론을 하기로 했다. 많은 준비를 하고 공격을 하여 주도권을 얻으려 했으나 페드라에게 결의안의 예산을 비판하자 대응하지 못해버렸고, 결과적으로 변론에서 패배하고 만다.
  • 위원 1(페드라 폴 곤잘레스 로사)
    Z의 의결안에 반대한다. 이후 콘스탄틴에게 보고를 한 것을 보면 애초에 연줄이 이어져있던 모양.
  • 위원 2(카츠)
    Z의 의결안에 반대한다. 그러나 이후 Z와의 대화를 통해 상황이 바뀌게 된다. 탁구를 잘 치며 탁구 학생 대표단에 있었던 적도 있다. 탁구 실력이 좋기 때문인지 그나마 Z가 연습 상대를 할만하다고 한다. Z와의 대화로 설득되어 찬성파가 된다.
  • 위원
    시카고 지부의 간부. Z의 의결안을 심사하는 과정에서 시카고 지부의 부패 문제가 제기되었고 이에 변론 회의에 참석한다. 소네트를 상대로 치열하게 변론을 이어가나 결국 패배한다.

3.2. 재단 본부

3.2.1. 타임키퍼 소대

챕터 4에서 '폭풍우 개혁: 증원과 질서' 법안이 통과되면서 정식으로 독립 부서화되었다. 게임상에서는 모든 플레이어블 캐릭터들이 소대원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여기서는 메인 스토리에서 편성이 확인된 인원들만 서술한다.
  • 타임키퍼 버틴
    타임키퍼 소대의 지휘관이자 소대장.
  • 타임키퍼 제1조수 소네트
    챕터 1부터 승진하여 버틴의 제1조수로 활동 중이다.
  • 릴리아
    챕터 4에서는 재단 본부의 교관이었으나 챕터 5부터 타임키퍼 소대원으로 편제가 이동했다.

3.3. 라플라스 과학 연구소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라플라스 과학 연구소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4. 제1 방어선 학교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제1 방어선 학교 문서
3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3.5. 면도날

재단에서 운용하는 기동부대 중 하나. 전원 인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평범한 재단 부대원들보다 좋은 장비와 마도술로 무장하고 있으며, 그 특징상 주로 긴급한 비상 상황에 호출되는 경우가 많다. 부대 성향 때문인지 구성원들도 호전적인 성격의 인물들이 많다. 팀 창단 취지가 '불필요한 것은 늘리지 말 것'이란 것으로 봐서 이름의 유래는 오컴의 면도날인 것으로 추정된다.

3.6. 기타 부서

4. 기타

  • 마도학자 우월주의인 재건의 손과 다르게 일단은 사람들을 지키려는 선역 집단이지만 유저들에게는 빌런에 준하는 어두운 단체라는 부정적 인식이 박혔다. 게임 런칭과 동시에 공개된 스토리 1~4장에서는 재단 측의 스토리 비중이 높은데다 재단의 어두운 면이 부각되는 플롯이 펼쳐지고 있고 또 주인공 버틴을 통제하고 억류하는 극단적인 모습들도 묘사되면서 이러한 인식을 더욱 강화시킨 것이 크다.


[1] 그럼에도 현재(1999년)에는 마도학자가 들어올 때 심사하는데만 한 층이 필요했을 정도인데, 지금은 규모가 감소하였기에 마도학자의 절대적인 유입의 수 자체는 과거보다는 줄은 듯 하다.[2] 자세한 내용은 불명이지만, 그 콘스탄틴이 얘기를 듣고 놀라서 뒷걸음치다 넘어질 뻔한걸 보면 회장이 부회장인 콘스탄틴보다 거대한 존재라는 걸 알 수 있다. 일단 작중에서 작은 목소리가 실제로 나오기는 하는데 '그들이 개혁안에 대해 이미―――'라는 내용이다. 뒷부분은 발음이 너무 뭉개져서 알아들을 수가 없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428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428 (이전 역사)
문서의 r20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