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4-08-23 19:40:41

서울 버스 강서03

서울 버스 강서 03에서 넘어옴
{{{#!wiki style="margin-top:-10px;margin-bottom:-10px;"<tablebordercolor=#5bb025><tablealign=center><table width=310> 파일:강서구(서울특별시) CI_White.svg
서울특별시
}}}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공항
]] [[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 [[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간선
]] [[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 [[틀:서울특별시의 맞춤버스|
맞춤
]] [[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
순환
]] [[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 [[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틀:서울시티투어버스|
투어
]]
{{{#!wiki style="margin: 0 -10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bottom: -15px;"
01 02 03 04
05 05-1 06 07
}}}}}}}}} ||
파일:8109.jpg

1. 노선 정보2. 개요3. 역사4. 특징5. 문제점6. 기타 사건사고7. 일평균 승차인원8.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3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서울 강서03 노선도.png
기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약수터) 종점 서울특별시 강서구 화곡동(약수터)
종점
첫차 05:40[1] 기점
첫차 -
막차 23:05[2] 막차 -
평일배차 오전 9~10분 / 오후 12분 주말배차 13~15분
운수사명 부민운수 인가대수 7대[3]
노선 약수터 → 삼거리 → 까치약국 → 까치시장 → 까치산역 → KT강서지사 → 곰달래아파트 → 남부시장 → 대통마트 → 강원슈퍼 → 한광고 → 명지해드는터아파트 → 미주아파트 → 방송인아파트 → 대통마트 → 남부시장 → 곰달래아파트 → KT강서지사 → 까치산역 → 까치시장 → 화곡탑건진선미아파트 → 삼거리 → 약수터(회차) → 삼거리 → 봉제산정상 → 성심사 → 대통마트 → 방송인아파트 → 미주아파트 → 명지해드는터아파트 → 한광고 → 강원슈퍼 → 대통마트 → 성심사 → 봉제산정상 → 삼거리 → 약수터
중간 종료 정류장
까치산역 1번출구 출발 미주아파트,신정고등학교23:15~23:45[4]
까치산역 4번출구 출발 신정고등학교 23:15

2. 개요

부민운수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왕복 운행거리는 약 10km.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

  • 1980년대부터 화곡2동 새마을부녀회에서 운영했던 10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이 때는 태극당과 남부연립(현재 태창아파트)을 오가는 노선(구) 동방주유소 - 경북슈퍼 - 성심사 - 삼거리 - 까치산역 구간)이었다. 1993년부터 까치운수가 설립된 후, 이를 그대로 이어서 10번이라는 번호를 부여받고 운행했다.
  • 2004년 7월 1일 서울시 버스체계 개편 때 번호만 강서03번으로 변경되었다.
  • 인가받은 노선은 신정여상(현 신정고교) → 남부시장 → 까치산역 → 약수터 → 성심사 → 대통마트 → 신정여상(현 신정고교) 이었지만 이 노선 외에 역방향 노선도 불법으로 운행했다. 복개도로 코스는 3대, 성심사 코스는 4대로 운행했는데 복개도로 코스는 성심사 코스에 비해 배차간격이 나빴다. 성심사 코스는 고지대인데다 남부시장이 시내버스 정류장과 멀기 때문에 주민들이 많이 이용했고 게다가 아침에는 배차간격을 개선한다는 명목으로 강원마트와 대성슈퍼를 직통으로 다녔다. 덕분에 방글방글, 경북하이마트, 한광고, 신정여상, 차고지 등 여러 정류장에 차가 안오는 경우도 있었다.
  • 이후 두 노선이 하나로 통합되었다. 이로 인해 대통마트에서 두 노선 모두 직진하던 것이 성심사코스는 대통에서 좌회전, 복개코스가 대통에서 우회전하게 되었다. 이로 인해 기존 승객들의 찬반양론에 시달리다가 강서구와 서울시의 결정으로 통합을 결정하게 되었다.
  • 2014년 7월에 1대가 증차되었다.
  • 2021년 4월 17일부터 4월 30일까지 화곡8동 배수분구 하수관로 종합정비공사 관계로 초록마을로 일부구간이 통제되어 빨래터세탁소 → 강서로18바길 → 까치시장 / 까치시장 → 강서로18마길 → 개나리슈퍼 로 우회운행을 하게 되었다. 우회 기간 동안에는 개나리슈퍼(까치산역 방향에 한함), 까치약국에는 정차하지 않는다.

4. 특징

  • 강서02번처럼 화곡동 고지대의 급경사 구간을 운행한다.
  • 노선 대부분이 좁은 이면도로 구간이며, 인구가 많은 화곡동 일대 특성상 차량 통행량이 많고 후술하듯 급경사, 급커브가 많아 주행이 쉽지 않다. 그럼에도 현대 에어로타운이 투입되고 있어(...) 운전 난이도가 매우 높다.[5]
  • 개나리슈퍼~대통마트 구간이 급경사 주요 구간인데, 이 구간의 절정은 봉제산정상 언덕길이다. 어느 정도냐면 장위동고개보다 더 심한 비탈길을 자랑할 정도. 거기서 과거에 사고도 났었으니(...)
  • 강서01번, 양천01번 처럼 지하철역에서 승하차하는 이용객이 엄청 많다. 퇴근시간대의 까치산역 1번출구 정류장을 보면 수십 명이 줄 서 있다.
  • 약수터 ~ 삼거리 구간은 까치산역으로 가는 차량과 성심사로 가는 차량 모두가 경유하는 곳이기 때문에 행선판을 잘 보고 타야 한다. 까치산역.남부시장 / 성심사.신정여상으로 구분한다.
  • 순환 노선이다. 기종점은 첫차 출발지(약수터)와 막차 도착지(차고지)로만 쓰인다. 따라서 BIS상의 기종점인 약수터에서 버스가 오면 대기 없이 바로 탈 수 있고, 실질적인 기종점은 버스기사가 쉬었다 가는 까치산역이다.
  • 방향에 상관없이 까치산역에서 5분 내외로 대기하다가 출발한다. 약수터 경유 신정여상행은 1번 출구, 전화국 경유 남부시장행은 4번 출구에서 대기한다.
  • 간혹 약수터 경유 신정여상행 한정으로 은창아파트~KT강서지사 구간 사이[6]에서 대기하다가 출발하는 경우도 있다.

5. 문제점

  • 노선의 대부분이 경사가 심하고, 좁은 길에 이면도로다 보니 복합적인 요인(불법 주정차, 행인 등)으로 운행 중 애로사항이 상당히 많다. 이 때문에 버스기사 입문자는 물론 경력자마저 진입장벽이 높다고 한다. 또한 정류장 거리가 지나치게 짧아 배차간격 반영이 느린 BMS로는 각 차량들의 위치 파악이 힘들어 정확한 위치 파악과 교차통행을 위해 무전기를 사용한다.[7]
  • 기사들의 휴게를 위한 공간이 까치산역인지라 까치산역에서 5분 정도 쉬었다 간다. 하지만 이런 사정까지 알 필요가 없는 일부 승객들은 이해하지 못하고 출발하지 않는다고 고성방가, 욕설 등을 내는 경우가 있다.
  • 2018년까지는 운행체계가 명확하지 않아서 배차간격 유지가 안되고, 내외적으로도 문제가 많아 기사가 없어서 파행운행을 했던 적이 있었다.[8] 2019년에서야 운행체계가 마침내 기준잡혀 정형화되면서 배차간격 편차가 적어지기도 했지만, 몇몇 기사들과 회사의 이견차가 좁혀지지 않아 이 체계가 붕괴될 위기에 처했다.
  • 2020년에 이르러 사측도 노동자들도 어떤 게 최적화된 운행방식인지를 두고 예송논쟁이 계속 펼쳐지며 결국 체계가 붕괴되고 만다. 안타깝게도 이 문제의 답이 2019년에 이미 나왔고 증명되었는데 정작 이를 눈치챈 사람이 사측 포함 한 명도 없었다.

6. 기타 사건사고

  • 2013년 8월 29일에 봉제산 언덕에서 운행사원의 운전미숙으로 뒤로 내려가면서 빌라 외벽을 들이받아 버스에 타고있던 22명이 중경상을 입었다. 관련 기사 봉제산 언덕의 경사를 생각해보면 사망자가 없는 게 정말 천만다행이다. 참고로 이 운전자는 이 사고가 있기 몇 달 전 새한교통에서도 똑같이 운전미숙으로 언덕뒤로 밀려와 어린이집을 덮친 사고를 냈으나, 이력을 감추고 또 같은 반복사고를 낸 경우다. 다행히 어린이집이 운영하지 않는 시간에 사고가 나 인명피해는 없었으나 새한교통에서 어린이집 수리비로 보험보상액 2천만 원 가량을 지불했다. 이 사고 후 처음에는 브레이크가 들지 않았다고 주장했으나 강서경찰서에서 사고 당시 차량 CCTV 영상을 근거로 추궁하자 본인의 수동기어 조작 미숙으로 사고가 일어났다고 자백했다. 결국 면허취소 처분이 내려졌다.

7. 일평균 승차인원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강서03번
<rowcolor=#ffffff> 연도 일평균 승차량 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 4,989명 -
2014년 5,064명 △ 75
2015년 5,110명 △ 46
2016년 4,886명 ▽ 224
2017년 4,707명 ▽ 179
2018년 5,297명 △ 590
2019년 5,526명 △ 229
2020년 4,306명 ▽ 1,220
2021년 4,272명 ▽ 34
2022년 4,502명 △ 230
2023년 4,394명 ▽ 108
※ 하차 인원 미포함
  • 2016년과 2017년의 인원수가 적은 이유는 상기했다시피, 시간표 기준이 안 정해졌기 때문이다(...) 2018년부터는 다시 그 수준을 회복 중이다.

8. 연계 철도역



[1] 차고지(까치산역 1번 방면) - 05:55, 까치산역 1번출구 - 06:07[2] 까치산역 4번출구 - 23:15, 신정고교 - 23:20, 까치산역 1번출구 - 23:45[3] 주말 / 공휴일 5대 운행, 현재 인력난으로 매일 4~5대 운행[4] 운행 댓수에 따라 유동적[5] 원래는 기아 콤비현대 카운티가 투입되다가 콤비가 퇴역한 이후 한동안 카운티만 돌아다녔는데, 넘쳐나는 승객 수를 감당 못해서인지 결국 에어로타운까지 투입되었다. 좁은 길에서 불법주차 차량과 보행자를 피하며 아슬아슬하게 주행하는 에어로타운을 보면 거의 곡예 수준...[6] 곰달래어르신복지센터 앞[7] 예를 들자면 xxxx호, 까치산역 출발 같은.[8] 당시 03번은 평균 5대, 많아야 6대 나왔었고 심하면 3대만 나오기도 했었다. 03번 운행을 위해 02번 기사를 차출하여 02번이 결행 했었던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