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사키와 미야노 (2022) 佐々木と宮野 Sasaki and Miyano | |||
| <nopad> | |||
| {{{#ffffff,#ffffff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작품 정보 ▼ {{{#!wiki style="margin: -5px 0px -11px"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장르 | BL, 순정만화 | |
| 원작 | 하루소노 쇼(春園ショウ) | ||
| 감독 | 이시히라 신지 | ||
| 조감독 | 우에노 소타 | ||
| 시리즈 구성 | 나카무라 요시코(中村能子) | ||
| 캐릭터 디자인 |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 ||
| 캐릭터 디자인 보좌 | 코지마 에미(小島絵美) 무라카미 아야카(村上彩香) | ||
| 미술 감독 | 마유즈미 마사키(黛 昌樹) | ||
| 색채 설계 | 카츠라기 이마리(桂木今里) | ||
| 촬영 감독 | 콘도 신요(近藤慎与) | ||
| 편집 | 시라이시 아카네(白石あかね) | ||
| 음악 | 시부에 카나(澁江夏奈) | ||
| 음향 감독 | 하타 쇼지(はたしょう二) | ||
| 음악 제작 | 일본 컬럼비아 | ||
| 음향 효과 | 이즈모 노리코(出雲範子) | ||
| 음향 제작 | 스튜디오 돈팡 | ||
| 기획 | 키쿠치 타케시(菊池 剛) 쿠도 다이죠(工藤大丈) 아오야기 마사유키(青柳昌行) | ||
| 이그제큐티브 프로듀서 | 타나카 쇼(田中 翔) 이케가미 쇼헤이(池上昌平) 호죠 마코토(北條 真) 우라사키 노부미츠(浦崎宣光) 쿠니에다 신고(國枝信吾) 쿠보타 아키라(久保田 暁) 츠츠미 텐신(堤 天心) 요시카와 아키라(吉川 明) 시노자키 후미히코(篠崎文彦) 히로사와 지로(広沢二郎) | ||
| 프로듀서 | 오구라 리에(小倉理絵) 사쿠라자와 미쿠(櫻澤美紅) 타니구치 히로야스(谷口博康) 카도 타카하루(門 貴治) 소토카와 아키히로(外川明宏) 마루야마 하지메(丸山 創) 카나니와 코즈에(金庭こず恵) 타무라 리야코(田村梨也子) 오가타 미츠히로(尾形光広) 오오쿠보 아키코(大久保明子) | ||
| 애니메이션 프로듀서 | 사이토 타카유키(齋藤隆行) | ||
| 애니메이션 제작 | 스튜디오 딘 | ||
| 제작 | 사사키와 미야노 제작위원회 | ||
| 방영 기간 | 2022. 01. 10. ~ 2022. 03. 28. | ||
| 방송국 | |||
| 스트리밍 | [[Laftel| LAFTEL ]] | ||
| 편당 러닝타임 | 24분 | ||
| 화수 | 12화 + OAD | ||
| 시청 등급 | |||
| 관련 사이트 | |||
1. 개요
일본의 만화 사사키와 미야노를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이시히라 신지, 방영 시기는 2022년 1월.2. 공개 정보
- 이시히라 신지 감독이 부감독 우에노 소타를 키워보려고 그에게 감독에 준하는 막강한 권한을 줬다고 하며, 실제로도 이시히라보다는 우에노 소타 연출 작품에 가까운 작품이다. 다만 이시히라도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거나, 아이디어를 내는 등 이런저런 도움을 주었다고 한다.
2.1. PV
| 티저 PV |
| 본 PV |
| 애니맥스 PV |
2.2. 키 비주얼
| |
| 티저 비주얼 |
3. 줄거리
처음에는 동경이었다.
여성스러운 얼굴이 콤플렉스인 고교생 미야노 요시카즈.
어느 여름날 교내에서 싸움을 하는 모습을 마주하고는 용기를 내어 싸움을 말리기 위해 나서려 했을 때
미야노의 어깨를 밀며 대신 향해 준 것은 조금 불량한 선배 사사키 슈메이였다.
그 이후 왠지 사사키가 마음에 들게 된 미야노.
거기에 사사키가 좋아하는 만화를 빌려줘 라고 말을 걸어오고-!?
그리고 사사키는 눈동자를 빛내며 BL을 말하는 미야노에게 조금씩 끌리는데..
― 애니맥스 코리아
여성스러운 얼굴이 콤플렉스인 고교생 미야노 요시카즈.
어느 여름날 교내에서 싸움을 하는 모습을 마주하고는 용기를 내어 싸움을 말리기 위해 나서려 했을 때
미야노의 어깨를 밀며 대신 향해 준 것은 조금 불량한 선배 사사키 슈메이였다.
그 이후 왠지 사사키가 마음에 들게 된 미야노.
거기에 사사키가 좋아하는 만화를 빌려줘 라고 말을 걸어오고-!?
그리고 사사키는 눈동자를 빛내며 BL을 말하는 미야노에게 조금씩 끌리는데..
― 애니맥스 코리아
4. 등장인물
#!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를#!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사키와 미야노#s-|]]번 문단을#!if 문단 == null & 앵커 != null
의 [[사사키와 미야노#등장인물|등장인물]] 부분을 참고하십시오.5. 주제가
5.1. OP
| OP 瞬き 깜빡임 | |||
| T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노래 | 미라클 침팬지(ミラクルチンパンジー) | ||
| 작사 | 오오니시 요헤이(大西洋平) | ||
| 작곡 | ZENTA | ||
| 편곡 | 미라클 침팬지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이시히라 신지 | |
| 연출 | 우에노 소타 | ||
| 작화감독 |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 ||
5.2. ED1
| ED1 いちごサンセット 딸기 선셋 | |||
| T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노래 | 사사키 슈메이(CV.시라이 유스케) 미야노 요시카즈(CV.사이토 소마) | ||
| 작사 | 모리 유리코(森由里子) | ||
| 작곡 | 타나카 히나노(田中ひなの)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콘티 | 이시히라 신지 | |
| 연출 | 우에노 소타 | ||
| 작화감독 | 후지이 마키(藤井まき) 모리모토 히로후미(森本浩文) | ||
| {{{#!folding 가사 ▼ | 振り向いた時に瞳が煌めく | |
| 후리무이타 토키니 히토미가 키라메쿠 | ||
| 뒤돌아 본 순간 눈동자가 반짝였어 | ||
| だって呼び止めてくれたからです | ||
| 닷테 요비토메테 쿠레타카라데스 | ||
| 선배가 내 이름을 불러줬으니까요 | ||
| 甘くないスイーツ二人で食べよう | ||
| 아마쿠나이 스이-츠 후타리데 타베요- | ||
| 달지 않은 간식을 둘이 같이 먹자 | ||
| こんな甘いMy heart | ||
| 콘나 아마이 My heart | ||
| 이렇게 달콤한 My heart | ||
| 放課後には一緒に帰ろう 遠回りして | ||
| 호우카고니와 잇쇼니 카에로- 토오마와리시테 | ||
| 방과후에 집에 같이 가자, 빙 돌아서 | ||
| 夕焼けにココロも染まる | ||
| 유우야케니 코코로모 소마루 | ||
| 저녁 노을에 마음도 물들어 가 | ||
| いちご色に | ||
| 이치고 이로니 | ||
| 딸기색으로 | ||
| 원어 가사 출처: | ||
5.3. ED2
| ED2 青いピアス 파란 피어스 | |||
| TV ver. | |||
| Full ver. | |||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노래 | 히라노 타이가(CV.마츠오카 요시츠구) 카기우라 아키라(CV.시마자키 노부나가) | ||
| 작사 | 타나카 히나노(田中ひなの) | ||
| 작곡 | |||
| 편곡 | |||
|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colbgcolor=#00b2f2,#00b2f2><colcolor=#ffffff,#ffffff> 콘티 | - | |
| 연출 | - | ||
| 작화감독 | - | ||
6. 회차 목록
| <rowcolor=#ffffff,#ffffff> 회차 | 제목[1] | 각본 |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총작화감독 | 방영일 |
| <rowcolor=#ffffff,#ffffff> 본편 | |||||||
| 제1화 | 初めて。 처음 | 나카무라 요시코 (中村能子) | 이시히라 신지 | 우에노 소타 | 사쿠라이 마사아키 (桜井正明) 나가타 시오리 (永田詩央里) 무라카미 아야카 (村上彩香) 오다 마유미 (小田真弓) 코이케 유카리 (古池ゆかり) | 모리모토 히로후미 (森本浩文) | 日: 2022.01.10. 韓: 2022.01.11. 하이라이트 |
| 제2화 | 好きな子。 좋아하는 애 | 우에노 소타 | 요시다 슌지 (吉田俊司) | 쇼킨지 나오코 (正金寺直子) 모리 치즈루 (森 知鶴) 와다 신이치 (和田伸一) 사와무라 토오루 (澤村 亨) | 미나가와 아카리 (皆川愛香利) 무라카미 아야카 | 日: 2022.01.17. 韓: 2022.01.18. 하이라이트 | |
| 제3화 | 先輩は。 선배는 | 오오바 사유리 (大場小ゆり) | 와타베 토시노리 (渡部穏寛) | 무라타 나오키 (村田尚樹) | 쇼킨지 나오코 코이케 유카리 모리 치즈루 | 모리모토 히로후미 | 日: 2022.01.24. 韓: 2022.01.25. 하이라이트 |
| 제4화 | 限界。 한계 | 야마다 유카 (山田由香) | 안도 히로아키 (安東大瑛) | 사쿠라이 타쿠로 (櫻井拓郎) 코지마 에미 (小島絵美) 쿠사카 타케시 (日下岳史) 키요야마 시게타카 (清山滋崇) | 미나가와 아카리 | 日: 2022.01.31. 韓: 2022.02.01. 하이라이트 | |
| 제5화 | いっこずつ。 하나씩 | 나카무라 요시코 | 우에노 소타 | 사와무라 토오루 코이케 유카리 야마시타 나츠미 (山下菜摘) 니이다 후카 (新井田風香) 마츠바라 카즈유키 (松原一之) | 모리모토 히로후미 | 日: 2022.02.07. 韓: 2022.02.08. 하이라이트 | |
| 제6화 | 気持ち。 마음 | 오오바 사유리 | 이시히라 신지 | 요시다 슌지 | 나가타 시오리 쿠사카 타케시 코이케 유카리 코지마 에미 | 日: 2022.02.14. 韓: 2022.02.15. 하이라이트 | |
| 제7화 | 困らせたくねーのに。 곤란하게 하기는 싫은데 | 야마다 유카 | 와타베 토시노리 | 야마우치 마나 (山内まな) | 무라카미 아야카 코이케 유카리 | 日: 2022.02.21. 韓: 2022.02.22. 하이라이트 | |
| 제8화 | 気づいた。 깨달았어 | 오오바 사유리 | 우에노 소타 | 쿠사카 타케시 코이케 유카리 모리 치즈루 오오타 에미 (太田衣美) 코지마 에미 나가타 시오리 타카노 토오루 (髙野 徹) 우에노 야스히로 (上野泰寛) 홍범석 (洪範錫) Studio Massket | 日: 2022.02.28. 韓: 2022.03.01. 하이라이트 | ||
| 제9화 | 先輩のこと大事にしたいって思って。 선배를 소중히 하고 싶어서 | 야마다 유카 | 와타베 토시노리 | 무라타 나오키 | 모리 치즈루 노부자네 세츠코 (信実節子) 홍범석 타카노 토오루 | 日: 2022.03.07. 韓: 2022.03.08. 하이라이트 | |
| 제10화 | 恋。 사랑 | 오오바 사유리 | 요시다 슌지 | 쿠보 미츠키 (久保美月) 오오타 에미 코지마 에미 쿠사카 타케시 오오츠키 치에 (大槻ちえ) 노부자네 세츠코 모리 치즈루 오오노 츠토무 카이가키 아키코 (檜垣彰子) | 무라카미 아야카 모리모토 히로후미 | 日: 2022.03.14. 韓: 2022.03.15. 하이라이트 | |
| 제11화 | この感情をどうしたらいい。 이 감정을 어떡하면 좋을까 | 야마다 유카 | 코이와이 레분 (小岩井礼文) | 무라타 나오키 | 코이케 유카리 나가타 시오리 미키 요시미 (三木佳美) 코지마 에미 카이가키 아키코 Studio Massket | 모리모토 히로후미 무라카미 아야카 | 日: 2022.03.21. 韓: 2022.03.22. 하이라이트 |
| 제12화 | 明日。 내일 | 나카무라 요시코 | 이시히라 신지 | 우에노 소타 | 요시이 히로유키 (吉井弘幸) 와다 신이치 마츠우라 사토미 (松浦里美) 안도 마키 (安藤真喜) 나가타 시오리 쿠사카 타케시 코지마 에미 후지타 마사유키 (藤田正幸) 쿠보 미츠키 카이가키 아키코 Studio Massket | 모리모토 히로후미 무라카미 아야카 오오타 에미 | 日: 2022.03.28. 韓: 2022.03.29. 하이라이트 |
| <rowcolor=#ffffff,#ffffff> OAD | |||||||
| 제13화 | 恋に気づく前のちょっとした話。 사랑을 깨닫기 전의 소소한 이야기 | 나카무라 요시코 | 이시히라 신지 | 코바야시 미즈키 (小林美月) | 쿠사카 타케시 코이케 유카리 모리 치즈루(森知鶴) 코지마 에미 나가타 시오리 오오츠키 치에 우에노 야스히로 쿠보 미츠키 오오노 츠토무 히네노 유코(日根野優子) Production GoodBook 카이가키 아키코 | 무라카미 아야카 모리모토 히로후미 | 日: 2022.07.27. |
7. 평가
2022년 스튜딘의 유일한 작품 + 원작의 압도적인 완성도 + S급 FX팀과 오디오팀 + 페어윈드의 음악으로 대단한 수준의 아웃풋을 보여준다.작화 만으로 보았을 땐 무난한 퀄리티. 감독 이시히라 신지가 여성향 연출 및 감독 경력도 있기 때문에 동화의 느낌은 평이하게 그려지는 편이다.
연출, VFX, CG, 컬러 그레이딩 부분에서 엄청난 퍼포먼스를 보여주는데, 우에노 소타의 연출 자체가 순정물에 있어 상성이 좋은 편인데다 A급 팀이 붙은 덕분에 영상미가 우수하다. 카메라 워크에 있어서 부드러운 모션, 심도의 적극적인 변환, 상황에 따른 자연스러운 수차의 적용 등 장면마다의 연출 역시 수준급의 모습을 보여준다. 장면마다 활용되는 적절한 파티클[2], 가산 혼합되는 이미지들, 필름 그레인이 정면으로 나오는 등[3] 상당히 파격적인 연출들을 보여준다. 색상을 강하게 사용하는 편이고, 고채도로 디졸브, 멀티플라이되는 부분이 많은것도 포켓몬 쇼크 이후 이례적인 부분이다.
또한 BL전문 음반회사 스튜딘이 아니랄까봐 이 작품 역시 오디오가 굉장한 편이다.
페어윈드 소속의 카나 시부에(澁江夏奈) 가 오리지널 스코어를 총괄하였으며, 이 덕분에 작품 전체를 관통하는 라이트모티브가 확실한 것은 물론, 작품 내에서 리프라이즈되는 스코어의 역할 역시 확실하게 부여되어 있다. 덕분에 작품 전체의 분위기 뿐만 아니라 감정선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것은 물론, 되게 친절하게 컷신마다 스코어의 길이 조절도 다 따로 해준 덕에 갑자기 배경이 비어버리는 경우도 없다. 악곡의 성향 역시 고교생의 연애 라는 주제에 걸맞게 섬세하게 구성되어 있으며, 부드러운 터치를 자랑한다.
M&E 및 다이얼로그 녹음을 스튜디오 돈쥬안(일본 온쿄 엔지니어링이 설계 및 시공한 그 녹음실이다!)에서 진행한 덕에 섬세한 표현들과 보컬의 하이톤들까지 깔끔하게 수록되어 있어 몰입감을 한층 더 높게 올려주는 편이다. 장소별 배경의 잡음조차도 세심하게 수록되어 있다.
영상화된 모든 EP에 대해 전문 DCP 프로덕션에서 제작된 DCP 가 있기 때문에, 가능하다면 DCI 플레이어 등을 이용하여 DCP를 구매해 잘 꾸려진 상영 환경에서 시청하면 작품의 가치를 훨씬 더 느낄 수 있다. [4]
8. 기타
- 최종화 방영 직후 극장판 애니메이션의 제작이 결정되었다.# 1기 완결 직후 결정을 내린 것을 보아 그대로 스튜딘을 포함한 기존 제작진이 연임할 것으로 추정되었고, 실제 그대로 투입되었다.
[1]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맥스 코리아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2] 이후 스튜딘의 BL작을 보면 분명 감독이나 연출 VFX팀이 다른데도 가산혼합으로 레이어된 파티클이 들어가곤 한다.[3] 어떤 회차는 24분 중 그레인이 들어간 회차가 10분을 넘기기도 한다.[4] 추천되는 환경은 네오DCP나 도레미DCP 등의 플레이어 + 트리노브 오디오 프로세서 + MadVR + 3판식 DLP프로젝터 + SI ZERO-G 스크린으로 구성하는 것이다. 그래도 영상 보다는 오디오의 완성도가 더 높기 때문에 프론트 스피커에 집중한 환경이라면 만족도가 더 높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