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부처손을 닮은 관엽식물}}}에 대한 내용은 [[부처손]]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처손#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부처손#|]]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부처손을 닮은 관엽식물: }}}[[부처손]]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처손#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부처손#|]]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wiki style="margin:-10px" | <tablebordercolor=#ff8c00,#7f4600> | 귤속 Citrus | }}} | ||
{{{#!wiki style="margin: -0px -11px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top: -5px; margin-bottom: -11px; word-break: keep-all" | <colcolor=#fff>독립종 | <colcolor=#fff>주요 원종 | 감귤 (만다린) · 포멜로 · 시트론 | ||
<colbgcolor=#85a900,#4c6100>시트론의 변종 및 재배품종 | 불수감 · 에트로그 | ||||
포멜로의 변종 및 재배품종 | 당유자 · 만백유 | ||||
기타 독립종 | 금귤 | 금두 · 마운트화이트라임 · 미크란타 · 의창지 · 인도귤 · 카피르라임 · 탱자 · 핑거라임 | ||||
교잡종 | 주요 교잡종 | 레몬(비터오렌지×시트론) · 비터오렌지(감귤×포멜로) · 오렌지(감귤×포멜로) · 자몽(오렌지×포멜로) | |||
오렌지의 변종 및 재배품종 | 네이블오렌지 · 발렌시아오렌지 · 블러드오렌지 · 기타 품종 | ||||
만다린의 변종 및 재배품종 | 감자 · 광귤 · 기주밀감 · 동정귤 · 병감 · 병귤 · 빈귤 · 산귤 · 사두감 · 유감 · 인창귤 · 온주밀감 · 지중해감귤 · 진귤 · 청귤 · 탄제린 · 편귤 · 하귤 · 홍귤 | ||||
기타 교잡종 | 감귤의 교잡종 | 만감류 | (만다린×오렌지): 가을향 · 깜산 · 노을향 · 달코미 · 동백향 · 레드향 · 만감 · 머콧 · 미니향 · 서지향 · 설국향 · 설향 · 쇼군 · 신예감 · 써니트 · 앙코르 · 윈터프린스 · 이예감 · 진지향 · 천혜향 · 청견 · 청희오렌지 · 카라향 · 클레멘타인 · 탐나는봉 · 탐라향 · 팔삭 · 한라봉 · 한라향 · 황금향 | ||
기타 | 시콰사 · 영귤(유자×감귤) · 유자(의창지×감귤) · 칼라만시 | 사계귤(금귤×감귤) | ||||
시트론의 교잡종 | 키라임(미크란타×시트론) | ||||
포멜로의 교잡종 | 스위티(자몽×포멜로) | ||||
레몬의 교잡종 | 베르가모트(비터오렌지×레몬) · 페르시아라임(키라임×레몬) | ||||
기타 잡감 | |||||
기타 분류기준 | 라임(형태) · 만감류(품종 그룹) · 파페다(다계통군) · 오렌지 주스(음료) · 기각(한약재) | ||||
귤속 관련 문서 | 나무: 감귤나무 · 당귤나무 · 레몬나무 · 유자나무 · 자몽나무 | 학자: 스윙글 체계 · 다나카 체계 | 고사성어: 귤화위지 · 남귤북지 · 회귤유친 | 상표: 썬키스트 · 델몬트 · 팁코 | }}}}}}}}} |
관상용 귤속 식물 | |||||
광귤 Citrus × daidai | 금귤 | 금두 Citrus japonica | 동정귤 Citrus erythrosa | 불수감 Citrus medica | 사계귤 Citrus × microcarpa | 무늬귤 [[Variegation| Variegation ]] |
불수감(불수귤) 佛手柑 | Buddha's hand | |
| |
학명 | Citrus medica var. sarcodactylus (Siebold ex Hoola van Nooten) Swingle |
분류 | |
<colbgcolor=#d7ffce,#0f4a02> 계 | 식물계 Plantae |
분류군 | 속씨식물군 Angiosperms |
진정쌍떡잎식물군 Eudicots | |
장미군 Rosids | |
목 | 무환자나무목 Sapindales |
과 | 운향과 Rutaceae |
속 | 귤속 Citrus |
종 | 시트론 C. medica |
변종 | 불수감 C. m. var. sarcodactylus |
1. 개요
불수감은 시트론의 변종이며, 열매가 성숙해 가는 도중 심피가 분리되면서 기다랗고 구불거리는 모양을 형성한다. 그 형태가 마치 부처의 손가락을 닮았다고 해 불수감(佛手柑)이라 불린다.열매의 모양새가 매우 특이한 데다가 과육도 별로 없어서 관상용 식물로 많이 쓰인다.
열매는 주로 건조시켜서 한약재로 쓰인다. 향기가 좋아 담금주, 차로 마시기도 하고, 기름을 채취해 방향제 원료로 사용하기도 한다.
중국에서는 불수감의 불(佛)이 복(福)과 발음이 유사하여 복의 상징으로도 여겨진다.
2. 맛
향기가 농밀하고 속살은 흰색이다.
식용시 아삭거리고 레몬과 비슷한 신맛이 난다.
단, 과육이 별로 없어서 관상용으로 많이 쓴다.
3. 나라별 이름
나라별 이름 | |
한국 | 불수감, 불수귤 |
중국 | 佛手柑, 五指橘, 蜜罗柑 |
일본 | ブッシュカン(仏手柑) |
영어권 | Buddha's hand, fingered citr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