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1-14 16:54:51

부산 버스 28

이 노선은 현재 폐선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선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 28번.jpg
[1]

1. 노선 정보2. 개요3. 여담
3.1. 구.28-1번
4. 대체 노선

1. 노선 정보

파일:부산광역시 휘장(1995-2023)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28번
기점 부산광역시 연제구 거제동(교대역) 종점 부산광역시 서구 충무동1가(충무동교차로)
종점행 첫차 ? 기점행 첫차 ?
막차 ? 막차 ?
평일배차 10분 주말배차 -분
운수사명 대일여객 / 태진여객 인가대수 -대
노선 교대앞 - 거제1치안센터 - 법원.검찰청 - 사직운동장 - 부산의료원 - 시민도서관 - 어린이대공원 - 부산진구청 - 서면 - 범내골 - 좌천동가구거리 - 부산진역 - 고관입구 - 성분도병원 - 부산고교 - 부산역 - 남포동 - 충무동

2. 개요

부산광역시의 폐선된 노선.

3. 여담

  • 1975년 28번 노선이 증차되었다는 기록이 있으며 당시 금성교통(현 한창여객)이 운행했다고 되어있다. 이 문서에서 설명된 노선과 동일노선으로 추정되며, 당시나 지금이나 금성교통은 초읍 기점이었으며, 세륭여객 또한 금성교통에서 분리된 업체이기 때문이다. 다만 세륭여객으로 분리 이전과 이후 세부 노선 변화가 있었는지는 불명.
  • 1987년에 세륭여객이 태진여객에 인수되면서 대일여객으로 사명을 바꿔 대일여객 이름으로 운행했고, 90년대 중순부터 태진여객도 배차에 참여했다.
  • 1999~2000년도에 월드컵대로(부산의료원 부근)[2]의 도로확장으로 초읍고개를 넘어 사직운동장~남문구(현.거제역)~교대앞~내성교차로~광혜병원~미남교차로까지 연장되어 미남교차로~충무동으로 운행되었다.
  • 2000년 중반기 쯤에 미남교차로~광혜병원~내성교차로 구간이 전면 폐지되어 교대앞~충무동으로 노선이 단축되었다.
  • 2001년 하반기부터 거제리 대조연립, 남문초등학교, 법원.검찰청을 추가로 경유하게 된다.
  • 2002년 8월 1일에 태진여객, 대일여객 측의 주박 및 공차회송 문제 때문에 때마침 초량안동네에서 회차하던 103번으로 흡수 통합되는 개념으로 폐선되었고 103번이 구.28번의 초량안동네~교대역 구간을 그대로 승계받는다.
    • 28번의 경우는 당시 대일여객과 태진여객의 간판 / 주력급 노선이었을 정도였고, 동구 초량상로 연선지역 외에도 부산진구 초읍동과 새싹로 연선지역에서도 뿌리 깊은 노선으로 81번만큼이나 인지도가 높았으며, 수익도 나쁘지 않고 신차도 곧잘 투입되는 노선이었다.[3][4] 103번에 통합된 이유도 태진여객, 대일여객이 본사와 지나치게 떨어져 있어 공차회송 및 영업소 관리에 어려움을 겪어서이기 때문이지 28번이 수익이 안 나오는 적자노선이어서가 아니었다. 다만 28-1번은 확실히 비수익노선이었고 폐선될때까지 냉방버스가 1대도 투입되지 않았다. 교대역과 가장 가까운 곳에 차고지를 두고 있는 학성여객이 재정상태만 좋았더라면 이 노선을 인수하여 현재까지도 운행되었을 가능성이 높았을 것이며, 103번 승무원들도 장거리 운행으로 인한 고생을 할 일도 없었을 것이다.
    • 상술했듯이 수요가 많았음에도 차고지 및 주박 문제로 폐선되었는데 28번의 폐선으로 시민들의 항의가 빗발쳤다고 한다. 당시 28번은 자사노선들 중에서도 수요가 제법되어 냉방차량들이 상당수였던 반면에 103번은 무냉방 차량이 절대다수였는지라 이에 대한 불만도 많았다. 뿐만 아니라 28번을 흡수한 103번을 운행하는 승무원들 사이에서도 치질 수술을 받은 사례가 여러 있었을 정도로 장거리 운행으로 엄청 고생했다고 한다.
  • 그러나 103번의 경우에도 장거리 문제[5]로 인해 2007년 5월 15일에 장림~초량안동네~부전시장입구→부산진중학교→부전역으로 노선이 단축되면서[6] 단축된 서면~새싹로~어린이대공원~부산의료원~사직운동장 구간은 구.12번 이어받았지만 수요저조로 인하여 약 109일만에 54번에 흡수되어 현재 54번이 그 명맥을 잇고 있다. 다만 54번은 교대역으로 가지 않고 연산역으로 운행되고 있다.
  • 2007년 부산 준공영제 개편 때 같은 번호 노선[7]이 신설될 뻔했다. 그러나 용화여객의 운행거부로 인해 신설이 무산되었고, 38번이 이를 대신하게 되었다.
  • 운행 당시 대일여객은 교대역 인근에 차고지를 가지고 있어 거기에서 주박했다.

3.1. 구.28-1번

영상자료(초읍~진시장 운행시절)
  • 이 노선은 신설될때부터 폐선되기전까지 그대로 초읍에서 출발하는 노선이었고 초량안동네를 미경유하고 조방앞~부산진시장을 경유하여 충무동까지 향했다. 허나 이 쪽의 경우에는 부산진시장까지 단축되었다가, 1997년도에 민락동~조방앞~초읍 구간의 83-1번이 신설되자,[8] 존재할 이유가 사라지면서 그대로 폐선되었다. 참고로 대일여객이 83-1번 배차에 참여한 적이 있었다.

4. 대체 노선



[1] 사진의 차량은 최후기형 RB520으로 사진이 찍힌 92년 기준으로 신차급은 아니지만 아직 차령이 그리 길게 지나지 않은 젊은 차량이었다. 참고로 해당 면허는 현재 169-1번에서 운행중이다.[2] 당시 초읍고개는 현재와 비교가 안될정도로 부산에서 운전하기 가장 힘든 도로였다고 전해지며, 도로가 협소하고 심지어 도로상태 또한 험했다고 한다. 그래서 시내버스 투입은 고사하고 일부 초보 택시기사들도 손님에게 양해를 구하고 이 곳 만큼은 운행을 거부했을 정도였다고 한다. 이때문에 당시 초읍 ~사직동으로 연계되었던 44번과 구.45번 모두 거제리로 돌아서 갔다.[3] 2002년에 폐선된 노선인데 신도색이 제정되고 불과 2년 사이에 신도색 차량이 몇대 투입되었을 정도.[4] 아직 무냉방차가 적지 않게 남아있던 시절 28번은 냉방차가 더 많았다. 오히려 당시에는 103번이 동원여객의 무냉방차량이 집중 투입되는 애물단지 노선이었다.[5] 2004년 당시 28번의 교대앞~충무동 전 구간을 커버하면서도 무식하게 장림동(다대동 코앞)까지도 운행하였기에 그야말로 어마무시한 노선길이를 자랑하였다. 당시 운행소요시간은 무려 230분이었지만 운행대수는 오히려 자사노선 2번(2004년도 기준)보다 1대가 더 적은 26대밖에 되지 않아 배차가 자주 깨지는건 다반사였다. 참고로 비슷한 노선길이를 자랑했던 110-1번도 운행대수가 39대였다. 그리고 이보다 더 긴 노선길이를 자랑했던 구.48번은 2대...[6] 2016년에 부암교차로~성지로~초읍고개를 거쳐 연제공용차고지까지 연장되었다.[7] 민락동~황령터널~수정산복도로~중앙.민주공원[8] 단, 83-1번은 초읍 종점 시절에 부암교차로~새싹로→성지로~부암교차로 순 단선순환 회차방식으로 운행되었다.[9] 단 이 노선은 부산진시장을 경유한다. 그리고 초량안동네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부산역, 중앙동, 남포동으로 갈때는 오히려 소요시간이 절감될 수 있다.[10] 단 이 노선은 초량안동네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오히려 소요시간은 절감될 수 있다.[A] 단 이 노선은 법원.검찰청을 미경유하며 LG사이언스홀~초읍삼거리로 가지 않는다.[A] 단 이 노선은 LG사이언스홀~초읍삼거리로 가지 않는다.[13] 단 이 노선은 부산진시장을 경유하고 초량안동네로 들어가지 않으므로 오히려 소요시간은 절감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