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calc(1.5em + 5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 일반 항공사 Full Service Carrier (FSC) | ||
| | |||
| 아에로멕시코 | |||
| 저비용 항공사 Low-cost Carrier (LCC) | |||
| 멕시카나 데 에비에이션 | 볼라리스 항공 | 비바 | |
| 지역 항공사 Regional Carrier | |||
| 아에로멕시코 커넥트 | |||
| 화물 항공사 Cargo Airline | |||
| 마스 에어 | 아에로유니온 | TUM 아에로카르가 | |
| 없어진 항공사 Defunct Airline | |||
| 멕시카나 항공 | 인터젯 | 멕시카나 클릭 | }}}}}}}}} |
| | |
| 볼라리스 Volaris | |
| 부호 | 콜사인 VOLARIS IATA (Y4) ICAO (VOI) |
| 설립 연도 | 2005년 |
| 허브 공항 | 티후아나 국제공항 과달라하라 국제공항 (국내선) 멕시코시티 국제공항(국제선) |
| 보유 항공기수 | 145(+7[1]) |
| 취항지 수 | 40 |
| 항공 동맹 | 미가입 |
| 홈페이지 | 홈페이지 |
1. 개요
| |
2. 운영
3. 노선망
대한민국의 제주항공과 비슷한 상황이라 생각하면 된다. 국내선 허브는 티후아나 국제공항이며 멕시코 내 27개의 노선을 운항하고 있다. 이외에도 과달라하라에서 21개, 멕시코시티에서 15개의 노선을 운항 중이다.그러나 국제선의 경우 티후아나에서 출발하는 노선은 국경도시 특성상 없으며 모두 과달라하라 아니면 멕시코시티 출발이다. 그리고 그 행선지는 전부 미국이다.
쿠에르나바카, 만사니요와 레이노사로 가는 노선을 운항하기도 하였으나 2008년에 레이노사, 2013년에 쿠에르나바카, 2014년에 만사니요로 가는 노선을 단항하였다.
4. 기타
- 이 항공사를 이용하면 가끔 승무원이 착용하고 있던 안전벨트를 풀어라 지시하고, 불응하면 승객을 혼내는 경우가 있다. 왜냐하면 항공연료를 주입하고 있을 가능성이 크기 때문이다. 멕시코의 항공 안전 규정이 다른 나라에 비해 좀 허술해서 그런지 승객이 타고 있는데 항공연료를 주입하는 일이 잦다.[2] 특히 한 대의 비행기로 여러 목적지를 돌아다니는 저가 항공사의 경우 그럴 가능성이 큰데 항공연료를 주입하다가 사고가 날 경우 빨리 탈출하기 위해 그러는 것이다. 따라서 이 항공사를 이용할 때에는 이 점을 주의하도록 하자.
5. 보유 기종
모두 에어버스 A320 계열로만 운영하고 있으며 A320neo를 주문하였다.| 제작사 | 기종 | 보유 대수 | 주문 대수 | 비고 |
| 에어버스 | A319-100 | 1 | ||
| A320-200 | 44 | |||
| A320neo | 55 | 3 | ||
| A321-200 | 10 | |||
| A321neo | 35 | 4 | ||
| 합계 | 145 | 7 | 평균 기령: 6.9년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