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U-Bahn linie 9 Berlin Metro Line 9 베를린 지하철 9호선 | }}} | |
| | ||||
| 노선도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지하철 | |||
| 기종점 | 슈테글리츠 구청 | |||
| 기종점 | 오슬로어 슈트라세 | |||
| 역 수 | 18 | |||
| 노선기호 | U9 | |||
| 노선번호 | 9호선 | |||
| 개업일 | 1961년 8월 28일 | |||
| 소유자 | 베를린 | |||
| 운영자 | BVG | |||
| 사용차량 | BVG F형 전동차 BVG H형 전동차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12.5 km |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규격 | Großprofil (대형) | |||
| 최고속도 | 80km/h | |||
| 슈테글리츠 구청 → 오슬로어 슈트라세 구청 주행 영상 |
1. 개요
베를린 시내 서쪽을 남북으로 지나가는 지하철 노선. 미테구 게준트브루넨 구역 오슬로어 슈트라세역에서 슈테글리츠-첼렌도르프구 슈테글리츠 구역 슈테글리츠 구청역까지 운행한다. 노선색은 주황색. 전 구간 지하이다.베를린에서 손꼽히도록 유동인구가 많은 곳을 지나간다. 특히 쿠어퓌르스텐담 - 투름슈트라세 구간과 슈테글리츠 구청 - 발터 슈라이버 플라츠 구간은 쇼핑 인파로 항상 혼잡한 구간이다.
베를린 분단이 고착화될 때 새로운 남북 종단선으로 계획되었다. 6호선과 8호선의 미테 구역 통과 구간이 언제든지 동베를린에 의해서 폐쇄될 수 있었고, 당시 일부 기지로의 회송 경로에도 6호선 동베를린 통과 구간이 포함되어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래서 동베를린을 아예 통과하지 않는 노선으로 계획되었고, 6호선과 8호선의 북부 구간 연결선로도 같이 건설되었다. 1955년에 착공하여 베를린 장벽 건설이 시작된 2주 후에 첫 구간이 개통했다.
2. 역 목록
| 역명 | 승강장 | 환승 노선 | 비고 | |
| 슈테글리츠 구청 | Rathaus Steglitz | │■│ | ● S1 | |
| 슐로스슈트라세 | Schloßstraße | │■[1] │■ | ||
| 발터 슈라이버 플라츠 | Walther-Schreiber-Platz | │■│ | ||
| 프리드리히 빌헬름 플라츠 | Friedrich-Wilhelm-Platz | │■│ | ||
| 분데스플라츠 | Bundesplatz | ■││■[2] | ● S41 ● S42 ● S46 | |
| 베를리너 슈트라세 | Berliner Straße | │■■│[3] | ● U7 | |
| 귄첼슈트라세 | Güntzelstraße | │■│ | ||
| 슈피헤른슈트라세 | Spichernstraße | │■│ | ● U3 | |
| 쿠어퓌르스텐담 | Kurfürstendamm | │■│ | ● U1 | |
| 동물원 | Zoologischer Garten | │■│ | ● U2 ● S3 ● S5 ● S7 ● S9 | |
| 한자플라츠 | Hansaplatz | │■│ | ||
| 투름슈트라세 | Turmstraße | │■│ | ||
| 비르켄슈트라세 | Birkenstraße | │■│ | ||
| 베스트하펜 | Westhafen | │■│ | ● S41 ● S42 | |
| 암루머 슈트라세 | Amrumer Straße | │■│ | ||
| 레오폴트플라츠 | Leopoldplatz | │■│ | ● U6 | |
| 나우에너 플라츠 | Nauener Platz | │■│ | ||
| 오슬로어 슈트라세 | Osloer Straße | │■│ | ● U8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