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 | | | | |
| | | | | |
| {{{#!wiki style="margin: -10px -10px" | <tablealign=center><tablebordercolor=#fff,#191919><tablebgcolor=#fff,#191919> | U-Bahn linie 6 Berlin Metro Line 6 베를린 지하철 6호선 | }}} | |
| | ||||
| 노선도 | ||||
| ||||
| 노선 정보 | ||||
| 분류 | 지하철 | |||
| 기종점 | 알트 테겔 | |||
| 기종점 | 알트 마리엔도르프 | |||
| 역 수 | 29 | |||
| 노선기호 | U6 | |||
| 노선번호 | 6호선 | |||
| 개업일 | 1923년 3월 8일 | |||
| 소유자 | 베를린 | |||
| 운영자 | BVG | |||
| 사용차량 | BVG F형 전동차 BVG H형 전동차 | |||
| 노선 제원 | ||||
| 노선연장 | 19.8 km | |||
| 궤간 | 1,435mm 표준궤 | |||
| 선로구성 | 전구간 복선 | |||
| 사용전류 | 직류 750V 제3궤조 집전식 | |||
| 규격 | Großprofil (대형) | |||
| 최고속도 | 80km/h | |||
|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 → 알트 마리엔도르프 주행 영상 |
1. 개요
베를린 시내를 남북으로 지나가는 지하철 노선. 노선색은 보라색으로 라이니켄도르프 구역의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역에서 마리엔도르프 구역의 알트 마리엔도르프역까지 간다. 알트 테겔역 -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역 구간은 지상이고, 나머지 구간은 지하이다.분단 시기에는 노선 일부분이 동베를린 영역에 속해있었기 때문에 해당 역은 베를린 지하철 8호선처럼 무정차 통과하였다. 슈바르츠코프슈트라세역[1]부터 슈타트미테역까지의 6개 역이 이에 해당했는데, 그 중 프리드리히슈트라세역은 S반 노르트-쥐트 터널 노선과의 환승을 위해 계속해서 운영되었다. 자세한 내역은 해당 역 문서 참조.
2. 역 목록
| 역명 | 승강장 | 환승 노선 | 비고 | |
| | | │■│ | ● S25 | [2][B] |
| | | │■│ | [B] | |
| | | │■│ | [B] | |
| | | │■│ | [B] | |
| | | │■│ | [B] | |
|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 | Kurt-Schumacher-Platz | │■│ | ||
| 아프리카니셰 슈트라세 | Afrikanische Straße | │■│ | ||
| 레베르게 | Rehberge | │■│ | ||
| 제슈트라세 | Seestraße | ■││■ | ||
| 레오폴트플라츠 | Leopoldplatz | ■││■ | ● U9 | |
| 베딩 | Wedding | │■│ | ● S41 ● S42 | |
| 라이니켄도르퍼 슈트라세 | Reinickendorfer Straße | │■│ | ||
| 슈바르츠코프슈트라세 | Schwartzkopffstraße | │■│ | ||
| 자연사박물관 | Naturkundemuseum | │■│ | ||
| 오라니엔부르거 토어 | Oranienburger Tor | │■│ | ||
| 프리드리히슈트라세 | Friedrichstraße | │■│ | ● S1 ● S2 ● S25 ● S26 ● S3 ● S5 ● S7 ● S9 | |
| 운터 덴 린덴 | Unter den Linden | ■││■ | ● U5 | [8][9] |
| 슈타트미테 | Stadtmitte | │■│ | ● U2 | |
| 코흐슈트라세 | Kochstraße | │■│ | [10] | |
| 할레셰스 토어 | Hallesches Tor | │■│ | ● U1 ● U3 | |
| 메링담 | Mehringdamm | │■││■│ | ● U7 | |
| 플라츠 데어 루프트브뤼케 | Platz der Luftbrücke | │■│ | ||
| 파라데슈트라세 | Paradestraße | │■│ | ||
| 템펠호프 | Tempelhof | │■│ | ● S41 ● S42 ● S45 ● S46 | |
| 알트 템펠호프 | Alt-Tempelhof | │■│ | ||
| 카이저린 아우구스타 슈트라세 | Kaiserin-Augusta-Straße | │■│ | ||
| 울슈타인슈트라세 | Ullsteinstraße | │■│ | ||
| 베스트팔베크 | Westphalweg | │■│ | ||
| 알트 마리엔도르프 | Alt-Mariendorf | │■│ | ||
2.1. 테겔 구간 장기 운행 중단
2022년 11월 7일부터 2025년 상반기까지 알트 테겔(Alt-Tegel)역부터 쿠르트 슈마허 플라츠(Kurz-Schumacher-Platz)역까지 구간이 선로 보수공사로 인하여 운행 중단된다. 대신에 해당 구간에는 버스가 운행할 예정이다. 이 구간은 1950년대 후반에 건설되었는데, 선로 노후화 문제, 특히 Seidelstr. 위를 지나가는 철교의 유지보수 문제가 심각해져서 더이상 운행할수 없는 지경에 이르렀기 때문에 전면 보수공사가 불가피하다. [11]2024년 3월에 알려진 바에 따르면, 2025년 상반기까지 공사가 끝나지 않을 것이 거의 확실하며, 2026년 개통이 유력하다고 한다. 공사 중에 예상치 못한 문제들이 계속 터져나왔기 때문이다. #
[1] 동독 시기 명칭은 '발터 울브리히트 슈타디온역'(Walter-Ulbricht-Stadion, 1951~1973)이었다가 '슈타디온 데어 벨트유겐트역'(Stadion der Weltjugend, 1973~1991)이었다.[2] S25 테겔역과 환승된다.[B] 2026년까지 공사로 폐쇄[B] [B] [B] [B] [8] 2020년 12월 4일 개통[9] U5 연장개통 이전까지는 프리드리히슈트라세와 슈타트미테 사이에 프란최지셰 슈트라세역이 있었으나 기능을 넘겨주고 폐역되었다.[10] 체크포인트 찰리 앞에 있다.[11] BVG 공지사항 참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