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06 20:01:27

베르사이유의 장미(2025년 애니메이션)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
파일:베르바라 로고.png
]]
등장인물 · 애니메이션 (TVA · 신극장판) · 창작 뮤지컬 (2024) · 외전
베르사이유의 장미
(2025)
ベルサイユのばら
파일:베르사유의 장미 신극장판_키 비주얼.jpg
<colbgcolor=#FAF7F0><colcolor=#430800> 장르 역사, 정치, 로맨스, 순정
원작 이케다 리요코
감독 요시무라 아이
주연 사와시로 미유키, 히라노 아야, 토요나가 토시유키, 카토 카즈키
콘티 ○○
연출 ○○
캐릭터 디자인 오카 마리코(岡 真里子)
각본 콘파루 토모코(金春智子)
촬영 감독 ○○
CG 및 모델링 ○○
음악 프로듀서 사와노 히로유키
음악 사와노 히로유키
KOHTA YAMAMOTO
주제곡 ○○
애니메이션 제작 MAPPA
제작 극장 애니메이션 베르사이유의 장미 제작위원회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배급사 파일:일본 국기.svg TOHO NEXT
파일:투명.png 에이벡스 픽쳐스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개봉일 파일:일본 국기.svg 2025년 1월 3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미정
화면비 ○○
상영 시간
월드 박스오피스 ○○
북미 박스오피스 ○○
대한민국 총 관객 수 ○○
스트리밍 (스트리밍 서비스사 이름) [1]
상영 등급 미정
공식 홈페이지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1. 개요2. 개봉 전 정보3. 포스터4. 예고편5. 시놉시스6. 등장인물7. OST8. 평가9. 흥행10. 기타

[clearfix]

1. 개요

이케다 리요코베르사이유의 장미를 원작으로 하는 MAPPA 제작의 신 극장판 애니메이션. 개봉 시기는 2025년. 애니메이션 감독은 요시무라 아이

2. 개봉 전 정보

2022년 9월 6일에 제작이 결정되었다.

2024년 7월 2일에 예고편이 공개되었고 2025년 개봉이 결정되었다.

2024년 10월 8일에 2025년 1월 31일로 개봉일이 결정되었다.

2024년 11월 11일 제작을 공식적으로 완료하고 개봉 한달전인 12월 8일 첫 시사회가 열리는게 결정되었다.

3. 포스터

파일:vsvi1.jpg
파일:베르사유의 장미 신극장판_키 비주얼.jpg
<rowcolor=#ffffff> 티저 비주얼[2] 키 비주얼[3]
캐릭터 비주얼
파일:vsvi4.jpg
파일:vsvi3.jpg
<rowcolor=#ffffff>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마리 앙투아네트[4]
파일:vsvi5.jpg
파일:vsvi6.jpg
<rowcolor=#ffffff> 앙드레 그랑디에 한스 악셀 폰 페르젠

4. 예고편

<rowcolor=#ffffff> 티저 PV 1탄 티저 PV 2탄
PV

5. 시놉시스

자르제 백작 가문의 대를 잇기 위해, “아들”로 길러져 남장을 한 여인 오스칼 프랑소와 드 자르제.

이웃나라 오스트리아에서 시집 온 고귀하고 우아한 왕비 마리 앙투아네트.

오스칼의 시종으로 소꿉친구인 평민 앙드레 그랑디에.

용모가 단정하고 지성적인 스웨덴의 백작 한스 악셀 폰 페르젠.

이들은 번영과 화려함을 자랑하는 18세기 후반의 프랑스・베르사유에서 만나, 시대에 농락당하면서도, 각자의 운명을 아름답게 살아간다.


'''이는, 프랑스 혁명이라는 격동의 시대 속에서,'''
「사랑과 운명의 이야기」
출처 :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6. 등장인물

파일:상세 내용 아이콘.svg   자세한 내용은 베르사이유의 장미(만화)/등장인물 문서
번 문단을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7. OST

주제가
Versailles - ベルサイユ -
Versailles -베르사이유-
MV ver.
Full ver.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노래 Ayaka
작사
작곡
편곡 UTA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삽입곡
The Rose of Versailles
singing scene short ver.
Full ver.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노래 오스칼(CV.사와시로 미유키)
마리・앙투아네트(CV.히라노 아야)
앙드레(CV.토요나가 토시유키)
페르젠(CV.카토 카즈키)
작사 후지바야시 쇼코(藤林聖子)
작곡 사와노 히로유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삽입곡
Enchanting Masquerade
singing scene short ver.
Full ver.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노래 가면을 쓴 귀족들
작사 카네하루 토모코
작곡 사와노 히로유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삽입곡
Believe in My Way
singing scene short ver.
Full ver.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노래 오스칼(CV.사와시로 미유키)
마리・앙투아네트(CV.히라노 아야)
앙드레(CV.토요나가 토시유키)
페르젠(CV.카토 카즈키)
작사 후지바야시 세이코
cAnON
작곡 사와노 히로유키
편곡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folding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wiki style="margin: -6px -1px -11px"
<colbgcolor=#AC1C23><colcolor=#ffffff> 콘티 -
연출 -
작화감독 -
}}}}}}}}} ||

8. 평가

1979년판 구작 애니메이션이 원작 만화의 애니메이션이라면 2025년 판 리메이크는 다카라즈카 가극단의 뮤지컬 베르사이유의 장미를 애니화한 작품이다. 화려한 비주얼과 음악을 즐기면서 보는 뮤지컬 영화, 다카라즈카 같은 걸 보려고 했던 관객에게는 호평이고 장절한 대하 역사 드라마 겸 마리 앙투아네트의 이야기로서 보려고 했던 관객, 원작 만화 내용을 즐기려고 했던 관객 사이에서는 불호 또는 중간 평이 나오고 있다.
  • 호평
    우선 비주얼적으로는 18세기 프랑스의 화사한 로코코 복식, 베르사유 궁전 내부 등 고증이 매우 훌륭하다는 호평을 받았다. 심지어 마리 앙투아네트의 초상화 속 드레스도 재현해내는 등 디테일에 신경 쓴 점이 보인다.

    노래 및 OST도 높은 평가를 받았고, 특히 엔딩 크레딧 곡은 주인공들의 슬픈 결말을 나타낸 점에서 감동을 주었다.

    또한 원작에서만 등장한 앙드레의 와인 사건도 다뤄졌으며, 좀더 순화시켜서 나온다.

    결말은 역사대로 오스칼, 마리 앙투아네트, 앙드레, 페르젠 모두 비극의 운명을 맞이하는데, 마리 앙투아네트의 마지막 순간은 엔딩 크레딧으로 구슬픈 노래와 함께 짤막하게 나오며 그 비극을 더욱 강조했다. 페르젠 역시 일평생 마리를 사랑함으로서 죽을 때까지 결혼하지 않았다고 한다.
  • 비판
    2시간 안에 원작 내용을 전부 다루는 건 불가능해서 원작의 전개와 서사가 대폭 생략되었고 역사 드라마로서의 가치가 낮아졌다. 차라리 2 ~ 3부작으로 구성했으면 좋았을 것이라는 반응이 많다.
  • 아쉬운 부분
    원작, 애니메이션과의 차이 중 하나는, 전작의 높은 비중의 악역인 뒤바리 부인, 폴리냑 백작부인은 아주 잠깐 등장하며, 사실상 루이 16세와 마리 앙투아네트 일가를 멸망시킨 희대의 악녀인 잔느는 전혀 등장하지 않았다. 대신 여동생 로잘리는 잠깐 등장했다.

9. 흥행

9.1. 일본

[  개봉 1주차 순위  ]
파일:2025년 5주차 일본 박스오피스.png
개봉 첫 주차에 일본 박스오피스 9위에 그쳤다.

10. 기타

  • 사실 베르사이유의 장미 리메이크는 2000년대에도 기획된 적이 있었다. 2007년 도쿄국제애니메이션페어에서 21세기판 베르사이유의 장미 파일럿 필름이 공개된 적이 있었으나 해당 작품은 베이퍼웨어가 되었다.
  • 구작 애니메이션에선 약간의 현대화가 있긴 했지만, 18세기 로코코 시기의 각종 아름다운 드레스는 물론, 베르사유 궁전의 내부 등 역사적 고증이 좋은 편인데, 신작 예고편에서 18세기 프랑스 복식이나 헤어스타일 등의 고증력이 매우 훌륭하다. 댓글에서도 '복식 전문 디자이너가 참여했나?' 거나, '이미 구작 애니메이션도 스타일 고증이 좋았는데 이제는 실제 로코코 귀족들의 그림을 애니메이션으로 그대로 보여주는 것 같다' 등 저마다 감탄하는 사람들을 쉽게 찾을 수 있다.
  • 로자리 라 모리엘은 본작에 등장할 것으로 보인다. 공식 사이트의 캐릭터 성우 페이지에서 하야미 사오리가 맡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 남편인 베르나르 샤틀레는 등장하지만, 악역들인 뒤바리 부인, 폴리냑 부인, 잔느는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1] '▶'가 링크된 주소는 해당 스트리밍 서비스에서 작품이 방송되고 있는 주소로 기입합니다.[2] 파일:베르사유의 장미 신극장판_티저 비주얼.png[3] 파일:vsvi2.jpg[4] 포스터의 의상은 대중에게 가장 유명한 장미를 든 마리 앙투아네트 초상화의 그 드레스를 완벽히 고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