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9-21 11:27:27

박연정

<colbgcolor=#4E7FBF,#4E7FBF><colcolor=#ffffff,#ffffff> 박연정
朴娟禎 | Park Yeonjeong
파일:박연정4.jpg
출생 2006년 1월 19일 ([age(2006-01-19)]세)
서울특별시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dark-style="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학력 상월초등학교 (졸업)
하계중학교 (졸업)
노원고등학교 (졸업)
종목 피겨 스케이팅
신체 165cm
링크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2. 선수 경력
2.1. 2019-20 시즌2.2. 2020-21 시즌2.3. 2021-22 시즌2.4. 2022-23 시즌
3. 기술 및 특징4. 기록5. ISU 공인 최고 점수6. 프로그램7. 커리어

1. 개요

대한민국의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

2.1. 2019-20 시즌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5위를 하며 출전권 2장을 얻었다. [1]

2019 JGP 미국 쇼트에서 클린하며 64.35점을 받았다. 이전까지 ‘2005년생 3인방’인 위서영, 이해인, 지서연에 비해 주목을 덜 받아왔었던 선수인 만큼 팬들의 관심을 끌기에 충분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살코에서 한 차례 스텝 아웃을 제외하고는 흠잡을 데 없는 수행을 하며 122.23점을 받아 프리 2위에 올랐다! 총점은 무려 186.58점으로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는 김연아 이후 최초로 주니어 데뷔 경기에서 메달을 딴 기록이다. 또한 데뷔 경기에서 185점 이상의 고득점을 기록한 것은 한국 주니어 역사상 최초다. 그렇게 유망주 반열에 올랐다.

2019 JGP 이탈리아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의 후속 트리플 토룹에서 펜스에 부딪히며 넘어지고, 단독 트리플 룹을 싱글로 처리하는 실수를 하며 12위를 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의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았고, 3연속 점프의 마지막 더블 토룹을 빠뜨리는 실수를 제외하고는 깔끔한 경기력을 보여주며 3위를 하였다. 최종 순위는 5위로 마감하였다.

2019 회장배 랭킹대회 쇼트에서 트리플 러츠에서 오버턴을 하고 트리플 룹은 싱글로 처리, 컴비네이션 점프까지 빠뜨리며 26위에 그쳐, 충격의 프리컷을 당하며 프리 스케이팅 진출에 실패했다.[2] 2020 종합선수권 쇼트에서 스텝 레벨 2를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클린하며 9위를 기록했다.

2.2. 2020-21 시즌

코로나로 인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대회가 전부 취소되어, 국내대회만 출전하였다.

2021 종합선수권에서는 쇼트 62.08점, 프리 112.11점, 총점 174.19점을 받아 8위를 기록하였으나, 2020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는 쇼트 50.78점, 프리 96.85점, 총점 147.63점을 받아 15위에 머물며 국가대표 선발에 실패했다. 종별선수권 중등부에서 4위를 기록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3. 2021-22 시즌

주니어 2년차 시즌이었던 지난 시즌이 정상적으로 치러지지 않아 대부분의 팬들은 주니어 레벨에 잔류할 것으로 예상하였으나,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선발전에 참가하지 않았다.

첫 시니어 국제대회로 2021 U.S. 인터내셔널 클래식[3]에 참가했다. 쇼트에서 점프를 모두 클린하였고 비점프 요소도 스텝 시퀀스를 제외하고 모두 레벨 4를 받으며 쇼트점수 71.07점을 받아 비공인이지만 개인 첫 70점대를 돌파했다. 프리에서는 후반 더블 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는 클린하며 141.33점을 받아 비공인이지만 개인 첫 140점대를 돌파했다. 총점 212.40점으로 비공인 200점대 돌파 및 알렉산드라 트루소바에 이은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 대회에서의 활약으로 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 추가 배정을 받았다.

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 쇼트에서 첫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으로 계획되어있던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져, 후반 트리플 플립에 더블 토룹을 붙였으나 플립에 어텐션 판정을 받아, 57.84점을 기록했다. 프리에서는 후반부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스텝 아웃을 하고 트리플 러츠+더블 토룹+더블 룹 컴비네이션 점프에서 랜딩이 삐끗함과 동시에 러츠와 연결룹에 쿼터 판정을 받았으며 트리플 플립에선 언더 판정을 받았다. 비점프 요소는 플라잉 카멜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은 것을 제외하고 모두 레벨4를 받아, 프리 점수 126.23점, 총점 184.07점으로 최종 2위를 차지했다.

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에 참가하며 시니어 그랑프리 데뷔를 했다.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 어텐션 판정을 받은 것 외에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67.00점을 받아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룹에 언더 판정을 받아 넘어지고, 트리플 플립에서도 어텐션과 언더 판정을 받아 넘어졌다. 후반부 트리플 러츠에서는 스텝 아웃을 하여 3연속 컴비네이션 점프를 뛰지 못했다. 감점 2점을 포함한 프리 점수 119.11점을 받았으며, 총점 186.11점으로 8위를 기록했다.

2021 회장배 랭킹대회 겸 올림픽 1차 선발전 쇼트에서 클린하며 66.83점을 받았다. 그러나 프리에서는 두차례 넘어지고 후반부 점프의 랜딩이 모두 불안한 모습을 보이는 등 부진하여 111.25점을 받아, 총점 178.08점으로 9위를 기록했다.

2022 종합선수권 겸 올림픽 2차 선발전 쇼트에서는 첫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져, 후반 트리플 플립에 더블 토룹을 붙여 56.48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첫 컴비네이션 점프의 연결 트리플 토룹에서 쿼터 판정을 받고, 트리플 룹과 트리플 플립에서 넘어져 감점 2점을 포함해 107.42점을 받았다. 총점 163.90점으로 13위를 기록했다.

2.4. 2022-23 시즌

SEA 오픈 트로피에서 쇼트와 프리 모두 3-2 컴비네이션 점프를 뛰었으며[4] 전체적으로 좋지 못한 수행으로 총점 136.17점으로 우승했다.

2022 스케이트 아메리카 쇼트에서 트리플 플립에 어텐션과 쿼터 판정을 받으며 넘어진 것 외에 클린하며[5] 60.04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3-2 컴비네이션 점프로 예정된 첫 트리플 러츠를 단독 처리하여 트리플 플립에 더블 토룹을 붙였고, 대부분의 점프에 언더나 쿼터 판정을 받았으며 두차례 싱글링 실수가 있었고, 비점프 요소의 레벨을 다 채우지 못해 98.54점을 받았다. 총점 158.58점으로 최종 8위를 기록했다.

2022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는 쇼트에서 더블 악셀을 두 발로 착지하고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과 언더 판정을 받으며 넘어져 53.13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2번 넘어지고 1개의 언더 판정과 1개의 쿼터 판정 등 아직 부상에서 완전히 회복하지 못한 모습을 보이면서 102.21점을 받는데 그쳐 총점 155.34점으로 19위를 기록했다. 부상으로 인해 종합선수권과 동계체전 대회를 기권하였다.

2023-24 시즌은 부상 회복을 위해 시즌을 스킵했다. 이후 보조코치 일을 한다는 근황이 알려지면서 사실상 은퇴를 한 것으로 볼 수 있게 되었다.

3. 기술 및 특징

점프 요소
도약 테크닉 전반

점프의 질이 전반적으로 좋다고는 할 수 없지만, 연결 트리플 토룹 하나만큼은 당시 한국 선수들 중 압도적으로 좋은 편이었다. 주니어 그랑프리 데뷔 무대에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을 수행했는데[* [[:파일:박연정트럿트토1.gif|
다른 경기에서 수행한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트리플 러츠의 경우 플러츠에다 풀 블레이드까지 보였고, 토를 찍을 때 유난히 힘이 많이 들어간 모습까지 노출하며 나쁜 인상을 주었지만, 바로 다음에 연결한 트리플 토룹이 매커니즘은 물론 높이, 비거리, 축 삼박자가 너무 훌륭해서 앞 점프에서 준 나쁜 인상을 만회하고도 남을 정도였다. 프리 스케이팅에서의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에서도 마찬가지로, 더블 악셀은 오른쪽 다리를 찰 때 다리의 모양이나 차는 방향이 정말 좋지 않았음에도 연결 트리플 토룹을 통해 인상을 반전시키며 안정적으로 가산점을 확보했고, 그렇게 데뷔 무대에서 곧장 메달을 땄다. 데뷔 무대를 통해 자신의 장단점을 매우 명확하게 드러낸 셈인데, 점프 자세가 좋지 못해 필히 효율적으로 근력을 활용하는 점프를 익힐 필요성이 제기되었으며 한편으로는 앞점프가 아무리 불안해도 트리플 토룹을 연결해 낼 수 있을 정도의 연결 점프 능력을 보였으므로 이 점에서는 긍정적이었다.

플립과 러츠

두 점프 모두 풀 블레이드가 있었고 에지까지 좋지 않았다. 러츠도 플러츠였지만 플립의 에지도 좋은 편이 아니어서 엣지콜을 받았다. 따라서 현행 채점법에서 적발되지 않을 수준으로라도 점프를 교정할 필요성이 있었다.
비점프 요소
스케이팅 스킬, 스텝

보완해야 할 점이 많았다. 점프 요소가 체형 변화가 왔을 때 흔들릴 여지가 보였기 때문에 시니어 진출 이후 오랫동안 경쟁력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스케이팅 스킬과 스텝 연기를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었다.

스핀 요소

우수한 유연성을 바탕으로 포스쳐가 뛰어난 스핀을 구사했으며, 그러면서도 축의 트래블링이 없었다. 다만 싯 스핀은 견고하지 못했다. 그래서 쇼트 프로그램의 과제였던 '플라잉 싯 스핀'에서 도입 이후, 싯 자세가 불안정하여 레벨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있었다.[6]
경기 운영
분명 잠재력이 있는 선수였으나 매 대회마다 기복이 심한 모습을 보였다. 시즌을 거칠수록 체력이 개선되지 못하여 계속해서 후반부 점프에서 실수하는 패턴을 보였다.

4. 기록

5. ISU 공인 최고 점수

<colbgcolor=#4E7FBF,#4E7FBF><colcolor=#ffffff,#ffffff> ISU 공인 최고 점수
쇼트 67.00(2021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프리 126.23(2021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
총점 186.58(2019 JGP 미국)

6. 프로그램

모바일에서는 편의에 따라 가로 모드를 사용하거나, 설정에서 '표 워드랩 사용 안함' 기능을 선택한 후 열람할 수 있습니다.
<colcolor=#ffffff,#ffffff><rowcolor=#ffffff,#ffffff> 시즌 쇼트(SP) 프리(FS)
<colbgcolor=#4E7FBF,#4E7FBF>
2022-23
발라드 4번
by 프레데리크 쇼팽
사랑의 찬가
by 에디트 피아프
2021-22
2020-21 Faith (Feat.아리아나 그란데)
by 스티비 원더
다크 나이트 라이즈 OST
by 한스 짐머
2019-20 I'll Never Love Again
by 레이디 가가
린지 스털링 모음곡
* Lost Girls
  • The Arena

7. 커리어

||<-6><table align=center><table bordercolor=#4E7FBF,#4E7FBF><table bgcolor=#ffffff,#1f2023><bgcolor=#4E7FBF,#4E7FBF> 국제대회:시니어 ||
대회 18–19 19–20 20–21 21–22 22–23
GP 스케이트 아메리카 8th
GP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8th
CS 컵 오브 오스트리아 2nd
SEA 오픈 트로피 1st
U.S. 인터내셔널 클래식 2nd
국제대회:주니어
JGP 이탈리아 5th
JGP 미국 2nd
국내대회
종합선수권 1stJ 9th 8th 13th WD
회장배 랭킹대회 1stJ 26th 15th 9th 19th
동계체전 1stJ
종별선수권 2ndJ 4th
JGP 선발전 5th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위첨자: J=주니어


[1] 지난 2019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유영이 6위를 기록하면서 국가 순위가 4위로 떨어졌다. 따라서 2년 연속 14장이었던 주니어 그랑프리 여자 싱글 출전권이 이 시즌엔 7장으로 절반이 줄었다. 그러나 운좋게 추가 배정 3장을 더 받아 총 10장이 되어, 연맹에서는 선발전 5위까지의 선수에게 2장씩을 배분하였다.[2] 이 때문에 국가대표에는 선발되지 못했다.[3] B급 대회이지만 2019-20 시즌까지는 챌린저 시리즈에 포함되었던 대회였다. 이 시즌에는 ISU가 주관하지 않아 점수가 공식적으로 인정되지는 않았다.[4] 시즌을 앞두고 부상으로 인해 훈련에서 3-3 컴비네이션 점프를 시도하지 못하고 있었다.[5] 3-2 컴비네이션 점프 구성이긴 했으나, 모든 비점프 요소에서 레벨 4를 받았다.[6] 싯 자세는 허벅지가 빙면과 최소한 평행할 정도까지는 앉아야 한다.[7] 김연아 - 임은수 - 유영 - 본인 순.[8] 단, 위서영이해인은 시니어 데뷔 시즌인 2020-21 시즌에 코로나로 인해 그랑프리 배정이 정상적으로 진행되기 어려웠기 때문에 시니어 2년차 시즌인 2021-22 시즌에 배정을 받게 되었는데, 2019-20 시즌의 성적을 기반으로 초청받은 것이기 때문에 지난 시즌이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곧바로 시니어 그랑프리에 출전할 수 있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9] 김나현 - 안소현 - 임은수 - 김예림 - 유영 - 김하늘 - 지서연 - 본인 순.[10] 주니어 데뷔 시즌으로 넓히면 김연아, 임은수, 이해인에 이어 4번째 메달 획득 사례다. 단, 임은수와 이해인은 모두 두번째 경기에서 메달을 획득했는데, 박연정은 데뷔 첫 경기에서 메달을 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