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정 시각 : 2025-02-17 03:42:08

박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if 넘어옴1 != null
''''''{{{#!if 넘어옴2 != null
, ''''''}}}{{{#!if 넘어옴3 != null
, ''''''}}}{{{#!if 넘어옴4 != null
, ''''''}}}{{{#!if 넘어옴5 != null
, ''''''}}}{{{#!if 넘어옴6 != null
, ''''''}}}{{{#!if 넘어옴7 != null
, ''''''}}}{{{#!if 넘어옴8 != null
, ''''''}}}{{{#!if 넘어옴9 != null
, ''''''}}}{{{#!if 넘어옴10 != null
,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if 설명 == null && 리스트 == null
{{{#!if 설명1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if 설명1 != null
{{{#!html 중국에서 흔히 쓰이던 무기}}}에 대한 내용은 [[대도(무기)]] 문서{{{#!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를}}}{{{#!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도(무기)#s-|]]번 문단을}}}{{{#!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의 [[대도(무기)#|]] 부분을}}}}}}{{{#!if 설명2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를}}}{{{#!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3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를}}}{{{#!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4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를}}}{{{#!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5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를}}}{{{#!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6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를}}}{{{#!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7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를}}}{{{#!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8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를}}}{{{#!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9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를}}}{{{#!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의 [[#|]] 부분을}}}}}}{{{#!if 설명10 != null
, {{{#!html }}}에 대한 내용은 [[]] 문서{{{#!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를}}}{{{#!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s-|]]번 문단을}}}{{{#!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의 [[#|]] 부분을}}}}}}
#!if 설명 == null
{{{#!if 리스트 != null
다른 뜻에 대한 내용은 아래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if 리스트 != null
{{{#!if 문서명1 != null
 * {{{#!if 설명1 != null
중국에서 흔히 쓰이던 무기: }}}[[대도(무기)]] {{{#!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도(무기)#s-|]]번 문단}}}{{{#!if 문단1 == null & 앵커1 != null
문서의 [[대도(무기)#|]] 부분}}}}}}{{{#!if 문서명2 != null
 * {{{#!if 설명2 != null
: }}}[[]] {{{#!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2 == null & 앵커2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3 != null
 * {{{#!if 설명3 != null
: }}}[[]] {{{#!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3 == null & 앵커3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4 != null
 * {{{#!if 설명4 != null
: }}}[[]] {{{#!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4 == null & 앵커4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5 != null
 * {{{#!if 설명5 != null
: }}}[[]] {{{#!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5 == null & 앵커5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6 != null
 * {{{#!if 설명6 != null
: }}}[[]] {{{#!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6 == null & 앵커6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7 != null
 * {{{#!if 설명7 != null
: }}}[[]] {{{#!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7 == null & 앵커7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8 != null
 * {{{#!if 설명8 != null
: }}}[[]] {{{#!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8 == null & 앵커8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9 != null
 * {{{#!if 설명9 != null
: }}}[[]] {{{#!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9 == null & 앵커9 != null
문서의 [[#|]] 부분}}}}}}{{{#!if 문서명10 != null
 * {{{#!if 설명10 != null
: }}}[[]] {{{#!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s-|]]번 문단}}}{{{#!if 문단10 == null & 앵커10 != null
문서의 [[#|]] 부분}}}}}}

<colbgcolor=#003153><colcolor=#FFFFFF> 박도
朴鍍 | Park-do
파일:박도 작가.jpg
출생 1945년
경상북도 구미시
거주지 강원도 원주시 치악산[1]
국적
#!if 행정구 == null && 속령 == null
[[대한민국|{{{#!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대한민국}}}{{{#!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속령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특별행정구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행정구}}}{{{#!if 출력 != null
}}}}}}]]
#!if 국명 == null && 행정구 == null
[[틀:국기|{{{#!wiki style="display: inline; color: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 middle; border: .0625rem solid #ddd;" dark-style="border-color: #383b40;"
[[파일: 기.svg|width=24]]}}} {{{#!if 출력 == null
속령}}}{{{#!if 출력 != null
}}}}}}]]
본관 밀양 박씨
학력 구미초등학교 (졸업)
구미중학교 (졸업)
중동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국문학과 / 학사)

1. 개요2. 생애
2.1. 학창 시절2.2. 교사 시절2.3. 작가 및 언론인 시절
3. 저서
3.1. 장편소설3.2. 산문집3.3. 역사유적답사기3.4. 근현대사 사진집3.5. 어린이 도서
4. 여담


1. 개요

파일:박도 글방.jpg
대한민국작가이자 언론인.

2. 생애

2.1. 학창 시절

1945년, 경상북도 구미시에서 태어났다. 이후 구미초등학교, 구미중학교를 다녔다. 이후 서울로 전학을 가 중동고등학교를 다녔으며, 동아일보 세종로보급소 관할 종로구 사직동 신문배달원이였다고 한다. 이후 고려대학교 국문학과에 합격하여 다녔다.

2.2. 교사 시절

여주제일중학교, 오산중학교, 중동고등학교, 이화여자대학부속고등학교에서 무려 33년간 교직 생활을 했다고 한다. 또한 1988년에는 노태우 정부 100일 기념으로 '보통교사'로 초청된 적도 있다고 한다.

2.3. 작가 및 언론인 시절

한국작가회의 회원이자 오마이뉴스 기자가 되었으며, 치악산에 박도 글방을 만들어 글쓰기에 전념하고 있다.

3. 저서

3.1. 장편소설

  • 『사람은 누군가를 그리며 산다』
  • 『용서』
  • 『허형식 장군』
  • 『전쟁과 사랑』

3.2. 산문집

  • 『비어 있는 자리』
  • 『일본기행』
  • 『안흥 산골에서 띄우는 편지』
  • 『그 마을에 살고 싶다』
  • 『백범 김구 암살자와 그 추적자』
  • 『어느 해방둥이의 삶과 꿈』

3.3. 역사유적답사기

  • 『항일유적답사기』
  • 『누가 이 나라를 지켰을까』
  • 『영웅 안중근』

3.4. 근현대사 사진집

  • 『지울 수 없는 이미지』(전 3권)
  • 『나를 울린 한국전쟁 100장면』
  • 『사진으로 엮은 한국독립운동사』
  • 『일제강점기』
  • 『개화기와 대한 제국』
  • 『미군정 3년사』

3.5. 어린이 도서

  • 『대한민국의 시작은 임시정부입니다』
  • 『김구, 독립운동의 끝은 통일』
  • 『독립운동가, 청년 안중근』

4. 여담

  • 중동고등학교 재학 시절, 동아일보의 신문을 배달하는 배달부였다고 한다.
  • 박도의 선부께서는 박정희의 형인 박상희와 친분이 두터웠다고 한다.
  • 대한민국 대통령 무려 여섯명과 여러번 악수를 나눈 적이 있다고 한다.[2]

[1] 글쓰기에 전념하기 위해 갔다고 한다. 또한 자신의 저서에서 역사적 인물들을 평가할 때, 스스로를 '강원도 산골의 한 서생'이라 칭하기도 한다.[2] 특히 노태우노태우 정부 시절, 보통교사로 초청되어 임기 중에 만났다고 한다. 당시 박도는 작가나 언론인이 아닌 교사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