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right,#003399 0%, #005296 20%, #005296 80%, #003399); color: #fff" {{{#!wiki style="margin: 0 -10px -5px; min-height: 26px" {{{#!folding [ 펼치기 · 접기 ] {{{#!wiki style="margin:-6px -1px -11px" | 초대 | 제2대 | 초대2기 | 제3대 |
요나탄 모츠펠트 | 라르스에밀 요한센 | 요나탄 모츠펠트 | 한스 에녹센 | |
제4대 | 제5대 | 제6대 | 제7대 | |
쿠피크 클레이스트 | 알레카 하몬 | 킴 킬센 | 무치 보우루프 에게데 | |
제8대 | ||||
옌스프레데리크 닐센 |
<colcolor=#fff> | |
| |
<colbgcolor=#005296> 본명 | 무치 이네쿠날루크 보우루프 에게데 Múte Inequnaaluk Bourup Egede |
출생 | 1987년 3월 11일 ([age(1987-03-11)]세) |
그린란드 누크 | |
재임기간 | 제7대 그린란드 총리 |
2021년 4월 23일 ~ 2025년 3월 28일 | |
배우자 | 사라 빌만 에게데 |
자녀 | 3명 |
학력 | 그린란드 대학교 (자퇴) |
소속 정당 | [[이누이트 공동체당| 이누이트 공동체당 ]] |
1. 개요
제7대 그린란드 총리. 이누이트 공동체당의 대표이기도 하다.2. 이름
여타 나무위키 문서에서 현재 적용하고 있는 그린란드어의 한글 표기 방식을 준용하여, 이름인 'Múte'는 그것의 현대 표준 그린란드어 표기인 'Mutsi'에 대응되는 대로 '무치'라 표기하고 있다. 전체 이름의 실제 발음은 그린란드어 부분은 그린란드식으로, 덴마크어 부분은 덴마크식으로 읽어 대략 '뭇치 이너쿠날:룩 포우롭 에:어더'[mut͡sːi inɜquˈnaːluk ˈpou̯ʁɔp ˈeːəðə]
정도가 된다.3. 생애
누크 출신으로 나르사크와 시시미우트에서 자랐으며, 카코르토크 김나지움[1]에서 고등학교를 졸업하였다.2007년 그린란드 대학교에서 문화사·사회사학과를 전공하였으나 2013년 자퇴하고 가업인 MK Agro[2]를 그 아버지인 오토 에게데(Otto Egede)로부터 이어받게 되었다. 에게데는 이 사업을 2016년까지 운영하였다.
같은 해 그린란드 청년 의회(Inuusuttut Inatsisartui)의 의원이 되었으며, 특히 2013년부터 2015년까지는 청년 공동체당(Inuusuttut Ataqatigiit)의 대표직을 역임하였다.
2015년 덴마크 총선 당시 이누이트 공동체당 소속으로 폴케팅에 입후보하였으나[3] 낙선하였다.
2016년부터 2018년까지는 그린란드 정부의 천연자원 및 고용노동부[4] 장관직을 역임했으며, 동시에 2017년에는 일시적으로 주택인프라 및 지역개발부 장관직 또한 겸임하였다.
2018년 12월 1일부로 사라 올스비를 이어 이누이트 공동체당의 대표로 선출되었다.
2021년 그린란드 총선 당시 36.6%의 지지율로, 이누이트 공동체당이 이나치사르투트의 제1당을 차지하게 되었다. 이어 4월 23일부로 그린란드 총리로 취임하여, 당시 34세로 그린란드 역사상 최연소 총리가 되었다.
같은 해, 그린란드 공로 훈장인 네르소르나트(Nersornaat) 금장을 수여받았다.
2022년 4월부로 행정부를 새로 구성하였는데, 이를 '에게데 2기 내각(Second Egede cabinet)'이라 칭한다.
2025년 그린란드 총선에서는 민주당의 옌스프레데리크 닐센이 총리로 당선됨에 따라, 에게데 내각은 막을 내렸다. 이후 무치 에게데는 재정세무부 장관직을 역임하게 되었다.
4. 정치 성향
- 이누이트 공동체당의 대표인 만큼 민주사회주의를 지지한다고 볼 수 있으며, 또한 그린란드의 독립을 첫 번째 목표로 공언한 바 있다. 《무치 B. 에게데, 대표로 당선(Múte B. Egede siulittaasunngorpoq)》, 2018년 12월 1일, KNR
5. 그 외
사라 빌만 에게데(Sara Biilmann Egede)와 결혼하였다. 슬하에 네 명의 자녀가 있으나, 개중 두 명은 전처 티나 솀니츠(Tina Chemnitz)와의 자녀이다.[1] 그린란드/교육 문서 참조. 정식 명칭은 쿠야타 고등학교(Kujataani Ilinniarnertuunngorniarfik)이다.[2] 사료 회사이다.[3] 폴케팅은 페로 제도와 아울러 그린란드 측을 대변할 의원을 각각 두 명씩 항상 의원으로 포함하고 있다.[4] 2025년 기준 현재의 산업‧자원‧에너지 및 치안‧평등부(Inuutissarsiornermut, aatsitassanut, nukissiuutinut, inatsisit atuutsinneqarnerannut naligiissitaanermullu naalakkersuisoq)와 사회‧고용노동 및 내무부(Isumaginninnermut, suliffeqarnermut nunamullu namminermut naalakkersuisoq) 가운데 일부 기능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겠다.[5] 루프 사건(영: Spiral case / 덴: Spiralsagen / 그: Spiralilersuisimaneq)이란 1960~1970년대 덴마크 정부의 주도 하에 비밀리에 그린란드인 여성들에게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한 사건을 이른다. 그린란드/인구 문서 참조.